Abstract
The simple equation of GIUH are frequently used in many researches instead of the derived equation of GIUH. However it is still unknown whether the simple equation of GIUH is adaptable for estimating IUHs for basins with various geomorphologic condition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simple equation of GIUH, in this research, four basins which were Bangrim, Sanganmi, Museong, and Byeongcheon were selected and each basin was assumed as the third and fourth stream order basin according to variable resolutions. After than, IUHs were estimated using the derived and simple equations of GIUH. Eight to sixteen hydrographs were estimated from the each IUH, compared with observed graphs. In case of that the basin is assumed as a third order stream, the derived equation underestimated the peak flows while the simple equation overestimated them. When the basin is assumed as a fourth order stream, the simple equation generally overestimated the peak flows whereas the derived equation produced peak flows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peak flow. Moreover, the simple equation showed various deviations in accuracy whereas the derived equation produced stable results. Based on the fact found from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rived equation of GIUH brings better results than the simple equation of GIUH to estimate IUHs for ungauged basins.
GIUH 유도식 대신 삼각형 가정의 간략식이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지형매개변수를 가진 유역에서 GIUH 간략식의 적용성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지도의 해상도를 변화시켜 방림, 상안미, 무성, 병천 등 4개 소유역을 각각 3차와 4차 하천유역으로 나타내고, GIUH 유도식과 간략식을 사용하여 각 유역의 순간단위도를 산정하였다. 각각의 순간단위도에 $8{\sim}16$개의 호우사상을 적용하여 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관측 유량과 비교하였다. 대상유역들을 3차 하천유역으로 가정하였을 경우, 유도식은 첨두유량을 관측값보다 작게, 간략식은 크게 산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상유역들을 4차 하천유역으로 가정하였을 경우, 유도식은 관측값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략식은 관측값보다 크게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략식은 유역에 따라 관측값에 대한 정확성의 편차가 크게 나타난 반면, 유도식은 편차가 작고 안정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계측 유역에서 순간단위도를 산정할 때는 간략식보다는 유도식을 사용하는 것이 모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