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ynecologic Patients' Recognition of Radiation Exposure in Gyeongbuk Area

경북 지역 산부인과 환자의 방사선피폭 인식

  • 박정규 (영남대학교 대학원 의공학과)
  • Published : 2008.08.28

Abstract

As the radiological medical instruments have been competitively developed in recent years, its utilization for the patient treatment has been expanded. The medical examination using the radia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so that it i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factor of increasing the radiation exposure. In this study, the recognition about the radiation exposure was analyzed for 555 gynecologic patients in 8 secondary and tertiary medical centers in Gyeongbuk from November 17 to April 19, 2007. The results are follow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recognition for the radiation by age and education (p<0.05),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about the radiological instruments by age and occupation (p<0.05), and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 analysis by age and occupation (p<0.05). As the result of analyzing a correlation of the radiation's harmfulness, recognition, psychological state and exposure prevention, there was the correlation of 0.572 between the harmfulness and recognition, the correlation of 0.740 between the harmfulness and the psychological state, and the correlation of 0.477 between the harmfulness and the exposure prevention. It was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with the radiological instrument and information identification (p>0.05).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could be known that the mental threat factor was more included than the physical threat from the position of gynecologic patients who were sensitive to the radiation. Accordingly, radiological technologist who manages the radiation needs to let the patient or its guardians recognize the degree of physical harmfulness exactly.

최근에는 최첨단 방사선 의료장비들이 경쟁적으로 개발 되고 있어 환자 진료에 그 이용이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이는 방사선 피폭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이 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11월17일부터 2008년 4월 19일까지 경상북도에 있는 8개 2차, 3차 의료기관에서 산부인과 내원 환자 555명을 대상으로 방사선 피폭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사선의 인식에서는 연령과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방사선 장치의 인식은 연령과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정보 파악 분석에서도 연령과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방사선의 유해성과 인식, 심리상태, 피폭방지에 대하여 각각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한 결과 유해성은 인식과 0.572, 심리상태와 0.740, 피폭방지와 0.477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방사선 장치와 정보 파악과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 방사선에 민감한 산부인과 내원 환자들의 입장에서 신체적 위협보다는 정신적인 위협요소가 더욱 더 많이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방사선을 취급하고 관리 하는 방사선사는 환자나 보호자에게 방사선의 인체 유해 정도를 정확하게 인식 시켜 줄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재기, "임신과 의료 방사선", ICRP 간행물 84 번역물, pp.15-20, 2006.
  2. 이선엽, 의료기관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 관리 실태와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보건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97.
  3. 김태선, 권병천, 전주섭, "의료용 방사선 피폭에 관한의식조사", 전국방사선사종합학술지, 제41권, 제1호, pp.121-122, 2006.
  4. S. Akio, "About the outline about the radiation pamphlet for the citizen," The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f KTJ Radiological Technologists, Vol.41, p.88, 2006.
  5. 강원한, 방사선 진단 서비스에 대한 병원 이용자의 의식 및 만족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93.
  6. 김종현, 간호사의 방사선 피폭에 관한 의식조사, 인제 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7. 박종곤, "일반인들을 위한 방사선 의학 분야의 홍보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 한일방사선사공동학술대회지, 제39권, 제1호, pp.130-150, 2004.
  8. 권대철, "X-RAY 이동 촬영시 간호사의 방사선 피폭 인식도에 관한조사", 대한 방사선사협회지, 제25권, 제1호, pp.377-388, 1999.
  9. 여진동, 방사선 기술 분야에서 방사선 피폭 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94.
  10. 김성수, "X선 촬영조건에 따른 피폭선량 조사 연구", 한방기학지, 제21권, 제2호, pp.19-25, 1998.
  11. 김유현, "진단 방사선검사에서 환자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방사선기술과학회지, 제28권, 제3호, pp.241-248,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