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Aspects Reflected on E-learning Programs in the U.S.

미국 이러닝 프로그램들에 반영된 심리적 특성 탐색

  • Received : 2008.10.15
  • Accepted : 2008.12.09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Many e-learning programs in Korea use lecture as a main instructional method. A meta-analysis study reports that e-learning programs using lectures were the most ineffective. In addition, man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distance education contend tha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is the key to the success of e-learning. These imply why we can easily find many people who don't have good impression about e-learning. The quality of e-learning depends on the application of appropriate pedagogy.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learning programs in the Republic of Korea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flected on the e-learning programs in the U. S. that have been improved through design research for a long time. The result shows that the e-learning programs in the U. S. have five major psychological aspects, i.e., reflective think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knowledge construction, situated action, and utilizing multiple representations.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e-learning programs in the Republic of Korea need to reflect learning principles such as learning by doing, situated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우리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대부분의 이러닝 프로그램들은 강의법을 주된 교수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닝 환경에서 강의법은 가장 효과적이지 못한 교수방법이라는 메타분석 연구결과 및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만이 이러닝 프로그램의 성공을 보장할 수 있다는 학자들의 주장은 강의법 위주의 이러닝 프로그램의 학습효과에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결국, 이러닝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과 그 효과는 어떠한 페다고지를 적용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설계 연구(design research)를 통해 질적 개선을 추구하고 있는 미국의 이러닝 프로그램들이 어떠한 심리적 특성들을 공통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내 이러닝 프로그램들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미국의 이러닝 프로그램들은 공통적으로 구성주의 교육철학의 배경을 가지고 반성적 사고, 협력적 상호작용 공간, 지식 구성, 맥락적 행위, 외적 표상의 활용 등의 심리적 특성들을 강조하고 있었다. 즉, 경험주의 학습, 상황학습, 협력학습, 복합표상 학습 등은 국내 이러닝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학습원칙들일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