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Quality Variation Dynamics between Artificial Reservoir and the Effected Downstream Watershed: the Case Study

인공댐과 그 영향을 받는 하류하천의 수질변동 역동성 : 사례 연구

  • Han, Jung-Ho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mporal trends of water chemistry and spatial heterogeneity between the dam site (Daecheong Reservoir, S1) and the downstream (S2$\sim$S4) using water quality dataset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during 2000$\sim$2007. Water quality, based on eight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varied largely depending on the years, sampling sites, and the discharge volume. Conductivity and nutrients (TN and TP)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the downstream (S4) rather than the dam site during the monsoon. Spatial variation increased toward downstream (S4) from Daecheong Reservoir (S1). Also, BOD and COD increased toward downstream. Because of input of nutrient and pollutant nearby S1, lentic ecosystem in monsoon, BOD and COD were slightly increased. whereas relatively decreased in S4, lotic ecosystem in monsoon, by dilution effect of nutrient and pollutant by discharge from upper dam, S1. Spatial variation of SS increased toward downstream (S4) by the side of Daecheong Reservoir (S1). Based on the dataset,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point source tributary streams is required for better water quality of downstream. Monthly characteristics of DO showed the lowest value in the monsoon that tend to increase water temperature. DO was lowest in October at S1 because turbid water, input to the Daecheong Reservoir in the monsoon affect to the postmonsoon period. In contrast, water temperature increased toward summer monsoon, in spite of some differences showed between S1 and S4 environment. Overall,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downstream region have close correlation with discharge amount of Daecheong Reservoir. Thus, those characteristics can explain that discharge control of upper dam mainly affect to the water quality variation in downstream reach.

본 연구는 대청댐 방류에 따른 하류 하천에 대한 수질의 시, 공간적 변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0$\sim$2007년까지 8년간 측정된 환경부 수질측정망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8개의 수질변수를 이용하였으며, 이들의 수질 특성은 연별, 조사지점별, 댐 방류량별로 큰 변이를 보였다. 전기 전도도와 영양염류인 TN, TP는 계절 및 월별 분석에 의하면 하류 하천인 S4에서 장마기에 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지점별로 분석에서 대청댐(S1)에서 하류 하천(S4)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BOD와 COD의 경우도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장마기에 정수대(Lentic ecosystem)인 S1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영양염류 및 기타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소폭 상승하나 유수대(Lotic ecosystem)인 S4에서는 상류부 댐의 방류로 인하여 영양염류 및 기타 오염물질이 희석효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SS의 지점별 특성을 보면, 장마기에 S1에 비하여 하류인 S4에서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대전시에서 흘러나오는 지천의 영향이 하류 수질악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DO의 월별 특성으로는 수온이 상승하는 장마기에 가장 낮은 값을 보여 수온과 상반되는 양상을 보였다. S1에서는 장마가 끝난 10월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장마기 대청호로 중층 유입된 호수수가 장마 후기에 반영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면, 수온의 월별 특성은 장마기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지점별로 댐내의 호수수와 최하류 하천수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하류하천의 수질특성들은 상류댐의 방류량과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고, 이런 특성은 상류부 댐의 방류량 조절이 하류 하천의 수질변화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아, 안광국. 2006. 영산강 수계의 이화학적 수질에 관한 시공간적 변이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9(1): 73-84
  2. 김동군, 서윤수, 송준상, 이문호, 최재덕, 박건현, 최광수. 1984. 대청호 부영양화에 관한 종헙연구. 국립환경연구소. 서울
  3. 김환기, 김태근. 1996. 원격탐사에 의한 대청호의 수질 관리방안. 대한환경공학회지 18: 1383-1396
  4. 박종근. 2005. 대청호의 수질 환경요인과 영양단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8(3): 382-392
  5. 배대열, 안광국. 2006. 생물학적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수화학 분석에 의거한 갑천생태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9(2): 198-208
  6. 배대열, 양은찬, 정승현, 이재훈, 안광국. 2007. 대청호에서 종적구배에 따른 영양염류 및 엽록소의 역동성. 한국육수학회지 40(2): 285-293
  7. 서동일. 1998. 대청호의 성층현상에 의한 부영양화 특성과 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0(9): 1219-1234
  8. 신재기, 강창근, 황순진. 2003. 팔당호에서 수중 탁도의 일 변동과 고탁수의 입자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36(3): 257-268
  9. 신재기, 조경제, 오인혜. 1999. 대청호에서 수환경 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변동. 환경생물 17(4): 529-541
  10. 신재기, 조경제. 2000. 금강 중.하류에서 AGP에 의한 수질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3(3): 244-250
  11. 신재기, 허진, 이흥수, 박재충, 황순진. 2006. 표층수를 방류하는 저수지(용담호)에서 몬순 탁수환경의 공간적 해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933-942
  12. 안광국, 신인철. 2005. 산간 계류성 하천의 계절적 수질변동에 대한 몬순강우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8(1): 54-62
  13. 안광국, 양우미. 2007. 금강 수계의 수질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40(1): 110-120
  14. 오희목, 김도한. 1995.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발생에 대한 단기적 예측. 한국육수학회지 28(2): 127-135
  15. 이정준, 이정호, 박종근. 2003.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 발달과 환경요인 변화와의 상관관계. 한국육수학회지 36(3): 269-276
  16. 이종호. 1998. GIS를 적용한 호수 수질예측-대청호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0(3): 151-166
  17. 정세웅, 김유경. 2005. 상류 댐 플러싱 방류가 금강의 겨울철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저감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1(6): 609-616
  18. 정승현, 안치용, 최애란, 장감용, 오희목. 2005. 대청호에서 강우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관계. 환경생물 23(1): 57-63
  19. 한의정, 김태근, 정동환, 천세억, 김신조, 유순주, 황종연, 김태승, 김명희. 1998. Landsat TM 영상자료를 이용한 대청호의 영양상태 평가. 환경영향평가 7: 81-91
  20. An, K-G. 2000a. Dynamic changes of dissolved oxygen during summer monsoon. Korea Journal of Limnology 33: 213-221
  21. An, K-G. 2000b.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 in-lake phosphorus. Korea Journal of Limnology 33: 222-229
  22. An, K-G. 2001. Hydrological significance on interannual variability of cations, anions, and conductivity in a large reservoir ecosystem. Korea Journal of Limnology 34(1): 1-8
  23. An, K-G. and D.S. Kim. 2003. Response of lake water quality to nutrient inputs from various streams and in-lake fishfarms. Korea Journal of Limnology 149(1-4): 27-49
  24. An, K-G. and J.R. Jones. 2000.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in ionic salinity and suspended solids in a reservoir infl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ogia 436: 179-189 https://doi.org/10.1023/A:1026578117878
  25. An, K-G., J.W. Seo and S.S. Park. 2001. Influences of seasonal rainfall on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ditions near the intake tower of Taechung reservoir. Korea Journal of Limnology 34: 327-336
  26. APHA, AWWA and WE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USA
  27. Barillier, A., J. Garnier and M. Coste. 1993. Experimental reservoir water release impact of the water quality on a river 60 km downstream (upper seine river, France), Wat. Res. 27(4): 635-643 https://doi.org/10.1016/0043-1354(93)90173-F
  28. Dodds, W.K., J.R. Jones and E.B. Welch. 1998. Suggested classification of stream trophic state: distributions of temperate stream types by chlorophyll,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Wat. Res. 32(5): 1455-1462 https://doi.org/10.1016/S0043-1354(97)00370-9
  29. Forsberg, C. and S. Ryding.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iv fur Hydrobiologie 89: 189-207
  30. Perkins, B. and J.R. Jones. 1994. Temporal variability in a midwestern stream during spring. Verh. Internat. Verein. Limnol 25: 1471-1476
  31. Shin, J.K. and S.J. Hwang. 2004. Development and Dynamics of Turbid Water in the Lotic and Lentic Ecosystem. Korea. Annual Meeting Congress, Korean Society of Limnology in 2004
  32. Shin, J.K., S.J. Hwang and K.J. Cho. 2002. Phosphorus Flux from the Sediment and its Behavior Through Hypolimnetic Discharge in a Large Reservoir in S. Korea (Taechong Reservoir). Proceedings of ISRLE. Japan
  33. Tanaka, N., T. Osugi, Y. Nanami and M. Okano. 2004. Methods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for Downstream of Dams. In Proceedings for Symposium on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for Sustainable Dam Projects. ICOLD 72nd Annual Meeting, Seoul, Korea. 45p
  34. Ward, J.V. and J.A. Stanford. 1983. The Serial Discontinuity Concept of Lotic Ecosystems, p. 29-42. In: Dynamics of Lotic Ecosystems (Fontaine, T.D. and S.M. Bartell, eds.). Ann Arbor, Michigan, USA: 284p., illustr
  35. Wetzel, R.G. and G.E. Likens. 1991. Limnological Analysis. 2nd ed., Spring-Verlag New York, Inc. USA. p. 1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