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in Acute Pyogenic Arthritis of the Knee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에서 관절경적 치료 후 결과

  • Lee, Jung-Hw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Yoon, Kyoung-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Bae, Dae-Ky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im, Jeong-Weon (Sports Medicine center, East-West Neo Medical Center, Kyung Hee University) ;
  • Park, Soo-Yeon (Sports Medicine center, East-West Neo Medical Center, Kyung Hee University)
  • 이정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 ;
  • 윤경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 ;
  • 배대경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 ;
  • 김정원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스포츠의학센터) ;
  • 박수연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스포츠의학센터)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Purpose: We analyzed the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in acute pyogenic arthritis of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00 to January 2005, we reviewed 16 cases(15 patients) of acute pyogenic arthritis of the knee on which arthroscopic treatment was done. The mean age was 61.9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0.5 months. There were 8 cases with diabetes or degenerative osteoarthritis and 14 cases with acupuncture or intraarticular injection history. Results: Causative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7 cases. The average postoperative antibiotics were used intravenously for 25.5 days and per orally for 22.5 days. There were 11 complications; 5 cases of partial ankylosis, 2 cases of secondary arthritis, 1 case of chronic osteomyelitis and 3 cases of death. Patients with over 3 week immobilization had higher rate of stiffness of knee joint(p=0.032)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ymptom to treatment duration and the incidence rate of complications(p=0.293). The cases of which the causative organism was detected had higher incidences of complications(p=0.034). Conclusion: The incidence of joint stiffness was higher in the patients of longer immobilization. More complications were detected in the cases of which the causative organism is detected.

목적: 슬관절에 발생한 급성 화농성 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후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7월에서 2005년 1월까지 16예(15명)의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61.9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0.5개월이었다. 당뇨병이나 퇴행성 관절염 등의 기존 질환이 있었던 경우가 8예 였으며 과거력상 슬관절에 침을 맞거나 관절내 주사를 시행 받은 경우가 14예였다. 결과: 원인균의 동정이 가능했던 예는 7예(43.8%)였다. 술 후 정맥 내 항생제를 평균 25.5일 사용하였으며 경구 항생제를 평균 22.5일 사용하였다. 슬관절 강직 5예, 이차성 관절염 2예, 슬관절 주위 만성 골수염 1예, 사망 3예 등 총 11예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수술 후 3주 이상 부목 고정을 시행한 경우 슬관절 강직이 유의하게 많았으나(p=0.032) 증상 발현 후 1 주일을 기준으로 치료까지의 기간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93). 배양 검사 상 원인균이 동정된 경우 더 많은 합병증이 발생하였다(p=0.034). 결론: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후 관절 강직의 발생 빈도와 고정 기간과 상관 관계가 있었다. 합병증 발생 빈도는 증상 후 치료까지의 기간과는 연관이 없었으나 원인균의 동정된 여부와는 연관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