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uble Bundl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by the Tibial Inlay Method - Technical note -

경골 내재술식을 이용한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 수술 기법 -

  • Lee, Yeong-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Nam, Il-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Moon, Gi-Hy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Ahn, Gil-Ye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Lee, Sang-Ch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이영현 (포항 성모병원 정형외과) ;
  • 남일현 (포항 성모병원 정형외과) ;
  • 문기혁 (포항 성모병원 정형외과) ;
  • 안길영 (포항 성모병원 정형외과) ;
  • 이상충 (포항 성모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ouble bundle posterior cruciate ligament(PCL) reconstruction using Achilles allograft by the tibial inlay method and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11 cases who had PCL reconstruction using this method and were followed for more than 2 years after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Our series consists of 11 cases of PCL reconstruction due to chronic posterior instability of knee and acute PCL rupture. The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using the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scoring system, posterior stress radiographs and the maximum posterior displacement using a KT-1000TM arthrometer. Results: The average preoperative posterior displacement in 90 degree flexion stress radiograph was measured 13.4 mm and in 10 degree flexion the average posterior displacement using the KT-1000TM arthrometer was measured 11.4 mm. Postoperatively the 13.4 mm reduced to 4.4 mm and the 11.4 mm reduced to 3.9 mm. According to IKDC scoring system, 9 cases(81.8%) were satisfied. One case showed limitation of flexion with mild stiffness in the knee and another one case was not improved the posterior instability sufficiently and no complication of allograft was noticed. Conclusion: The double bundle PCL reconstruction using Achilles allograft by the tibial inlay method is a useful method for acute PCL rupture and chronic posterior instability of the knee including failed PCL reconstruction, because it will also make the posterior stability in the extension and 90 degree flexion position, and avoid the grafted tendon abrasion by acute turn of tibial tunnel.

목적: 아킬레스 동종 이식건을 사용하여 경골 내재술식으로 시행한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소개하고, 이 방법으로 수술하여 2년 이상 추시 관찰한 11예의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만성 후방 불안정성과 급성 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11예에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고, 임상적 분석 방법으로는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평가법을 사용하였으며, 후방 전위 방사선 소견 및 KT-1000TM arthrometer를 이용한 전위 검사법을 이용하여 평가 하였다. 결과: 90도 굴곡위 후방 전위 방사선 사진 및 10도 굴곡위 KT-1000TM arthrometer 에서의 결과는 술 전 평균 각각 13.4 mm, 11.4 mm에서 술 후 평균 각각 4.4 mm, 3.9 mm로 호전되었다. 또한 IKDC 평가법에서는 9예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1예에서 굴곡 시 경미한 관절 강직이 발생하였고, 나머지 1예에서 후방 불안정성이 충분히 교정되지 못하였다. 동종 이식건으로 인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아킬레스 동종 이식건을 사용하여 경골 내재술식으로 시행한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급격한 경골 터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식건의 마모를 피할 수 있고, 슬관절 굴곡위 뿐만 아니라 신전위에서도 후방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슬관절의 후방 십자 인대의 급성 파열 및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재발된 불안정성을 포함한 만성 후방 불안정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