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tomic Localization of Neurovascular Bundle at the Level of the Korean Knee Joint: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한국인의 슬관절에 위치한 신경-혈관 다발의 해부학적 위치: 자기공명영상 연구

  • Kim, Yeung-Jin (Department of Orthopaedics Surgery, Gunsan Medical Center of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
  • Kim, Tae-Kyun (Department of Orthopaedics Surgery, Gunsan Medical Center of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
  • Yang, Hwan-Deok (Department of Orthopaedics Surgery, Gunsan Medical Center of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
  • Kim, Hyoung-Joon (Department of Orthopaedics Surgery, Gunsan Medical Center of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
  • Shim, Sung-Woo (Department of Orthopaedics Surgery, Gunsan Medical Center of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 김영진 (원광대학병원 운영 군산의료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태균 (원광대학병원 운영 군산의료원 정형외과학교실) ;
  • 양환덕 (원광대학병원 운영 군산의료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형준 (원광대학병원 운영 군산의료원 정형외과학교실) ;
  • 심성우 (원광대학병원 운영 군산의료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anatomical localization of neurovascular bundle at the level of the korean knee joint using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and minimize the risk of neurovascular injury from arthroscopy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he transverse and central axes were described on axial MRI scans of 100 korean knee joints. The distance between the neurovascular bundle and central axis was measured. The differences in neurovascular bundle localization according to sex and side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evaluated with SPSS(ver. 10.1). The influence of sex was evaluated by t-test. The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side was evaluated by paired t-test. Significance was considered as p<0.05. Results: Whereas neurovascular bundle localization was lateral to the central axis in 94 cases(94%), it was on central axis in 6 cases(6%).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sex and side(P>0.05). Conclusion: Preoperative evaluation of neurovascular bundle with MR axial scans may prevent neurovascular injury when performing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nd interventions on the posterior horns of menisci.

목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한국인 슬관절 부위에 위치한 신경-혈관 다발의 해부학적 위치를 연구하여 슬관절의 관절경 수술 시에 발생하는 신경-혈관 다발 손상의 발생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00례의 한국인 슬관절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축스캔에 횡축과 중앙축을 그려서 신경-혈관 다발과 중앙축의 거리를 측정하였고, 성별과 좌, 우측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통계학적인 검증은 SPSS(ver. 10.1)을 이용하였고, 성별의 차이는 t-test를, 좌, 우측 위치에 따른 차이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유의 수준 0.05에서 판정하였다. 결과: 한국인 슬관절의 신경-혈관 다발은 94례에서 중앙축의 외측에 위치하였고, 중앙축에 6례 위치하였고, 중앙축의 내측에는 한례도 관찰되지 않았다. 성별과 좌-우측 에 대한 비교 연구에도 통계학적으로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이나 연골판의 후각부 수술 시에 자기공명영상으로 신경-혈관 다발의 위치를 미리 파악하여, 중심축에 있다면 신경-혈관 다발의 손상에 대해서 주의가 요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