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IES PREVALENCE AND OCCLUSAL VARIATION OF CHILDREN WITH DECIDUOUS DENTITION IN CHONNAM SEASHORE AREA

전남 해안지역 유치열기 아동의 치아우식 및 교합양상에 관한 연구

  • Jung, Su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 Yang, Kyu-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 Choi, Nam-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 Kim, S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 Lim, Hoi-Jeong (Department of Orthodontic,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정성호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 연구소 및 2단계 BK 21사업단) ;
  • 양규호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 연구소 및 2단계 BK 21사업단) ;
  • 최남기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 연구소 및 2단계 BK 21사업단) ;
  • 김선미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 연구소 및 2단계 BK 21사업단) ;
  • 임회정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대학원 교정학교실, 치의학 연구소 및 2단계 BK 21사업단)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ntal caries prevalence and occlusion pattern of children with deciduous dentition in Chonnam seashore area. Two thousand two hundred seventy two kindergarten children ranged 3 to 5 years of age were examin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ate of children with caries experience(dmf rate) in deciduous teeth was 66.8% at 3 years of age, 77.7% at 4 years of age, and 83.5% at 5 years of age and showe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p>0.05). 2. The mean number of decayed, missing, filled deciduous teeth(dmft index) was 3.62 at 3 years of age, 4.73 at 4 years of age, and 5.96 at 5 years of age and showe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p>0.05). 3. Most of the caries-prevailed tooth was mandibular 2nd primary molar and showed 39.48% at 3 years of age, 49.73% at 4 years of age, and 63.85% at 5 years of age. 4. The caries-experienced teeth in order were as follows : mandibular 2nd primary molar with 52.34%, mandibular 1st primary molar with 45.61%, maxillary 2nd primary molar with 38.81%, and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 with 38.86%, respectively. 5. In sagittal primary molar relationship, Class 1 occlusion pattern was 53.26%, Class 2 pattern was 1.41% and Class 3 pattern was 30.02%, respectively. Right Class 2 and Left Class 3 pattern was not observed.

본 연구는 전남 해안지역에 거주하는 유치열기 아동의 치아 우식 발생 양상과 빈도 및 유구치 교합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해안지역에 소재하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만 3-5세 순수 유치열기 아동 2272명을 대상으로 각 치아 및 치면별 우식 발생 양상과 교합 관계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치우식경험자율(dmf rate)은 3세에서 66.8%, 4세에서 77.7%였으며 5세에서 83.5%로 나타났으며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우식경험유치지수(dmft index)는 3세에서 3.62개, 4세에서 4.73개이었으며, 5세에서 5.96개로 나타났으며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우식의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유치는 하악 제2유구치로 3세 39.48%, 4세 49.73%, 5세 63.85%로 나타났다. 4. 전체 연령을 대상으로 보았을 때 우식 경험률은 하악 제2유구치 52.34%, 하악 제1유구치 45.61%, 상악 제2유구치 38.81%, 상악 유중절치 38.36%, 상악 제1유구치 30.04%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여주고 있다. 5. 유구치 교합관계에 있어 좌우 양측이 Class 1 pattern인 경우가 53.26%를 차지하였으며, Class 2 pattern인 경우가 1.41%, Class 3 pattern인 경우 30.02%로 나타났으며 우측이 Class 2 pattern이고 좌측이 Class 3 pattern은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aste L, Selwitz R, Oldakowski R, et al. : Coronal caries in the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1-17 years of age : United States, 1988-1991. J Dent Res, 75:631-641, 1996.
  2. O'Sullivan DM, Tinanoff N : The association of early dental caries patterns in preschool children with caries incidence. J Public Health Dent, 56:81-83, 1996. https://doi.org/10.1111/j.1752-7325.1996.tb02401.x
  3. Seppa L, Hausen H, Pollanen L, et al. : Past caries recordings made in public dental clinics as predictors of caries experience in early adolescenc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7:277-281, 1989. https://doi.org/10.1111/j.1600-0528.1989.tb00635.x
  4. Kaste LM, Marianos D, Chang R, et al. : The assessment of nursing caries and its relationship to high caries in the permanent dentition. J Public Health Dent, 52:64-68, 1992. https://doi.org/10.1111/j.1752-7325.1992.tb02245.x
  5. Raadal M, Espelid I : Caries prevalence in primary teeth as a predictor of early fissure caries in permanent first molar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30-34, 1992.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2.tb00669.x
  6. 보건복지부 : 2000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보건복지부, 2001.
  7. 김종배 : 유아구강보건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치대논문집, 6(2):7-18, 1982.
  8. 김종배, 백대일, 문현수 등 : 한국의 발치원인비중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1):17-28, 1982.
  9. 국민구강보건연구소 : 국민구강건강조사보고, 1995.
  10. 김수동, 임동우, 김종배 등 : 한국학동의 유치영구치 우식 경험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1:101-104, 1973.
  11. 김무길 : 대도시인의 구강보건실태 및 상대구강보건의료수요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4:19-44, 1979.
  12. 한세현 : 충청북도"H"초등학교 아동의 치아우식증에 관한 계속적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3:959-964, 1985.
  13. 한세현 : 충청북도"H"초등학교 아동의 치아우식증에 관한 계속적 연구(II). 대한소아치과학회지, 17:79-85, 1990.
  14. 김희찬, 문혁수, 김종배 : 한국인 구강건강실태 관한 조사 연구. 서울치대논문집, 16:17-47, 1992.
  15. 정은영, 이광희, 김대업 등 : 거주지역 특성에 따른 어린이 의 우식활성과 우식 유발요인의 차이.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4:610-627, 1997.
  16. 양규호 : 경남지구 아동의 d.m.f. : D.M.F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1:59-66, 1973.
  17. Carlsen DB, Meredity HV : Biologic variation in selected relationship of opposiong posterior teeth. Angle ortho, 30:162-173, 1960.
  18. Bogue EA : Some results from orthodontia on deciduous teeth. J Am Med Assoc, 1:267-269, 1908.
  19. 양규호 : 광주지역 유치열기 아동의 교합양상에 대한 역학적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3(4):946-953, 1996.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Oral Health Surveys, Basic Methods. 4th ed. Geneva 1997.
  21. 김종배, 최유진 : 공중구강보건학. 개정판. 서울:고문사, 43-84,1992.
  22. 김종배, 최유진, 백대일 등 : 예방치과학, 개정판, 고문사, 29-42, 1992.
  23. East B, Rohlen : Some epidemiological aspect of tooth decay. Am j Pub Health Nations Health, 32(11):1242-1250, 1942. https://doi.org/10.2105/AJPH.32.11.1242
  24. Ekman A : Dental caries and related factors-a longitudinal study of Finnish immigrant children in the north of Sweden. Swed Dent J, 14(2):93-99,1990.
  25. Raadal M, Espelid I : caries prevalence in primary teeth as a predicter of early fissure caries in permanent first molar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30-34, 1992.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2.tb00669.x
  26. 한국인 치과질환 실태조사 보고서, 사단법인 대한치과의사협회, 1989.
  27. 김종배, 백대일, 문혁수 등 : 국민구강건강조사보고서, 1991.
  28. 나수정, 조영임, 김진범 : 유아들의 유치우식증 실태와 우식활성검사의 상관관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2(4):299-316, 1998
  29. 박창현, 정태성, 김 신 : 소도시 거주 미취학 아동의 치아우식 실태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8(2):300-309, 2001.
  30. 손동수 : Occlsion of the primary dentition in Korea (2차보고). 대한소아치과의사학회지, 16(11):867-872, 1978.
  31. 전광선 : 유치열의 교합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5(1):19-25, 1978.
  32. 양규호 : 한국인 유치열기 아동의 교합에 관한 연구. 전남의대잡지, 24(3):379-397, 1987
  33. 양규호 : Berlin지역 아동의 유치열 부정 교합 양상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16:479-493, 1987.
  34. Foster TD and Hamiltton MC : Occlusion in primary dentition. Study of Children at $2\frac{1}{2}$ to 3 age. Brit Dent J, 126:76-79,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