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MENT OF CLASS Ⅲ MALOCCLUSION WITH HORSESHOE APPLIANCE : CASE REPORT

Horseshoe Appliance를 이용한 Ⅲ급 부정교합의 치험례

  • Hong, Ha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Park, Jae-Hong (Institute of Oral Bi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Choi, Yeong-Chul (Institute of Oral Bi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Kim, Kwang-Chul (Institute of Oral Bi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홍한영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박재홍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생물학연구소) ;
  • 최영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생물학연구소) ;
  • 김광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생물학연구소)
  • Published : 2008.05.30

Abstract

In mixed dentition there exists many empty spaces in the arch due to eruption of permanent teeth and exfoliation of primary teeth. The empty spaces makes it difficult to apply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Horseshoe Appliance can be used effectively at this stage, holding the whole dentition in one piece. It covers every surface of erupted teeth and prevents extrusion and rotation of single tooth. By using intermaxillary elastic force, remodeling of the alveolar bone is opposite in each arch. In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horseshoe appliance, forward growth of maxilla, labioversion of maxillary incisors and linguoversion of mandibular incisors were obtained. Minimum downward and clockwise rotation of mandible was shown, so increasing anterior facial height was minimized.

성장기 아동의 치열은 대부분 혼합 치열로, 이 시기에는 유치 탈락 또는 계승치 미맹출로 인해 치열에 빈 공간이 많아지고, 계승치가 맹출되었다 하더라도 고정성 장치를 부착시키고 강한 호선을 적용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이런 치료 진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orseshoe 장치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치열에 빈 공간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장치 제작이 가능하며, 치열 상태와 무관하게 전 치열을 하나로 묶어준다. 그리고 구강내에 이미 맹출된 치아의 모든 치면을 피개하므로 치아의 정출과 회전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악간 고무줄의 힘에 의해 치조골의 골개조가 상악과 하악 치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유도된다. 경희대학교 치대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서, Horseshoe Appliance를 이용하여 III급 부정교합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Krogman WM : The problem of timing of facial growth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eriod of the changing denti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37:253-276, 1951. https://doi.org/10.1016/0002-9416(51)90086-3
  2. Ast DB, Carlos JP, Cons NC : The prevalence of malocclusion among senior highschool students in upstate New York.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51:437-445, 1965. https://doi.org/10.1016/0002-9416(65)90241-1
  3. Lew KK, Foong WC, Loh E : Malocclusion prevalence in an ethnic Chinese population. Aust Dent J, 38:442-449, 1993. https://doi.org/10.1111/j.1834-7819.1993.tb04759.x
  4. Chan GKH : Class III malocclusion in Chinese (Cantonese); Etiology and treatmen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65:152-157, 1974. https://doi.org/10.1016/0002-9416(74)90176-6
  5. Susami R, Asai Y, Hirose K, et al. : The prevalence of malocclusion in Japanese school children. J Jap Orthod Soc, 31:319-324, 1972.
  6. 임한호, 윤영주, 김광원 : 악교정술을 요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교정학회지, 28:189-201, 1998.
  7. 서정훈 : 교정과 환자 외래 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5:719-722, 1977.
  8. 양원식 :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8:811-820, 1990.
  9. Dietrich UC : Morphological variability of skeletal Class III relationships as revealed by cephalometric analysis. Trans Eur Orthod Soc, 131-143, 1970.
  10. Jacobson A, Evans WG : Mandibular prognathism.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66:140-171, 1974. https://doi.org/10.1016/0002-9416(74)90233-4
  11. 성재현 : 성장기 아동의 반대교합 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2:117-126, 1982.
  12. 정규림, 박영국, 이영준 등 : Horseshoe 장치에 의한 교정 치료. 명문출판사, 서울, 96-99 , 2001.
  13. 한지혜, 김재곤, 백병주 등 : Horseshoe appliance를 이용한 III급 부정교합의 교정적 접근.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2(4):675-681, 2005.
  14. William RP : Contemporary Orthodontics. Mosby Co., St. Louis, 208-214, 1986.
  15. Yang KH : Treatment of Class III maolocclusion with the horseshoe appliance: case reports in growing patients. J Clin Pediatr Dent, 22:1-8, 1997.
  16. 정규림 : 임상치과교정학. 명문출판사, 서울, 182-190, 1998.
  17. Nagahara K, Murata S, Nakamura S, et al. : Prediction of the Permanent Dentition in Deciduous Anterior Crossbite. Angle Orthod, 71:390-395, 2001.
  18. 양규호, 임성이 : III급 부정교합 치료에 이용되는 Horseshoe appliance의 제작법 및 치료 증례.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2(2):443-454,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