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nalytical Framework of Value Added Logistics throughout closed-loop logistics

부가가치 물류의 분석적 체계에 대한 연구

  • 손병석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김윤정 ((사)한국물류창고협회 전략기획팀) ;
  • 김태복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meaning of "added value" refers to the contribution of the factors of production, i.e., land, labor, and capital goods, to raising the value of a product and corresponds to the incomes received by the owners of these factors. The importance of added value in service industry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o economic growth, even in logistics industry. But, it is hard to find out the previous studies providing a clear definition and framework for designing and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Value Added Logistics(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meaning of extended VAL that extensively includes activities initiating and operating the reverse logistics under the closed-loop logistic scheme, and to suggest the framework that describes the partnerships among participants involving in operating the value added logistics. Also, in this paper, we emphasize on the need for investigation of added value logistics definition and framework based on previous academic studies, and examine various value added logistics service activities of current leading 3PL companies across the world. Finally, we suggest the analytic framework for value added logistics throughout closed-loop logistics.

부가가치는 기본적인 활동 외에 부가적으로 창출되는 가치를 의미하며, 이는 기업 경영의 핵심적인 목표일 것이다. 이처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국내외 기업들은 아웃소싱, M&A, 핵심역량 강화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부가가치는 물류활동에 있어서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국내외 많은 물류기업들은 차별적인 부가가치 물류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물류환경 변화를 고려한 부가가치 물류를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순방향 물류(Forward Logistics)와 소비자가 반품 배출한 제품을 서비스하거나 재활용하는 역방향 물류(Backward Logistics) 상에 일어나는 각 활동 주체들 간의 물류활동(보관, 포장, 하역, 수송, 정보)과 부가적인활동(단순가공, 조립, 라벨링 등)의 전이(reposition)와 재구축(reengineering)을 통해 전체 물류네트워크의 이익과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키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부가가치 물류의 개념적 정의와 기업의 전략적 측면을 고려한 부가가치 물류의 분석적 체계를 제시하였다. 이것은 부가가치 물류가 창출될 수 있는 활동 영역을 상위의 공급망 계획과의 연관성, 순방향 물류와 역방향 물류, 취급 품목(상품, 재활용, 재활용품) 등을 고려하여 구분한 것이다. 그리고 물류네트워크 상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각 활동 주체들 간의 물류활동 흐름을 가치경로(Value Route)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가치경로를 통한 물류네트워크 상의 부가가치 활동과 기대효과를 몇몇 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물류기업들의 경쟁력 이슈인 부가가치 물류에 대하여 정의하고, 부가가치 물류의 창출을 분석적 체계와 가치경로를 통해서 논리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부가가치 물류활동과 관련된 자료 수집이 용이하지 않아 역방향 물류를 포함한 부가가치 활동에 대한 정량적인 수치나 평가 기준 등을 제시하지 못한 연구의 한계가 있다. 향후, 부가가치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자료가 확보된다면, 물류네트워크 상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 활동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부가가치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