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euze's Cinema Philosophy and Kant

들뢰즈 영화철학 연구 - 칸트적 계기를 중심으로

  • 진기행 (부산외국어대 영상미디어학과)
  • Received : 2008.01.04
  • Accepted : 2008.02.04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chieved role of Kant philosophy in restructuring Deleuze philosophy from either a positive or effective perspectives. On top of this foundation, I will demonstrate the major part largely unknown in a composing structural elements of Deleuze philosophy as follows: 1. I will draw a bird's-eye view of the triad of Bergson, Nietsche, and Spinoza regarding Deleuze philosophy. Especially I will spare time in analyzing Deleuze's late works like and then demonstrate the structure of Deleuze movie philosophy. 2. The line of Kant's position in that circumstance will be clarified as well. 3. Through that, the meaning of Kantian attempt and its effect will be examined. Finally the connecting Kant with various levels of Deleuze's Copernicusian revolutions based on will certainly bring about a meaningful fruitific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들뢰즈 영화철학의 구축에 있어서 칸트 철학이 행한 역할을 효과적 내지 긍정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 그것을 통하여 들뢰즈 영화철학의 구성요소 중에서도 그다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칸트적 계기를 재조명해 보려는데 있다. 논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들뢰즈 영화철학에 대한 베르그송, 니체, 스피노자라는 소위 '들뢰즈 3인방'을 배려하면서 그 조감도를 작성해 보려고 한다. 특히 들뢰즈의 말년의 주저인 "Cinema 1, 2권"을 중심으로 그 책의 구성을 분석하면서 들뢰즈의 영화철학의 구조를 파악하려고 한다. 2. 칸트 철학이 그 배열 안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가를 검증해 보려고 한다. 3. 거기로부터 들뢰즈 영화철학에 있어서 칸트적 계기의 의의 및 효과를 드러내 보려고 한다. 본고의 귀결이 칸트를 들뢰즈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로서의 '사고의 이미지'론과 여러 가지 차원에서 결부지울 수 있다면 우리의 시도는 달성되었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외국어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