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에르케고르의 절망의 형태와 삶의 단계의 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of the Types of Despair with the Stages of Life in Kierkegaard's Thought

  • 투고 : 2008.01.05
  • 심사 : 2008.02.04
  • 발행 : 2008.02.29

초록

이 글은 키에르케고르의 실존 단계와 절망의 형태의 대응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키에르케고르의 철학적 심리학의 주제는 절망과 불안이다. 키에르케고르는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다루었고, 불안은 "불안의 개념"에서 다루었다. 키에르케고르는 절망과 불안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을 통해서 인간 실존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키에르케고르의 인간 이해를 위해 먼저 그의 절망 개념을 주로 다루고, 불안에 관해서는 절망의 이해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선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논구하고자 한다. 절망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죽음에 이르는 병"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물론 "죽음에 이르는 병"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의 방법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지만, 추상적인 이해에 그칠 염려가 있다. 왜냐하면 키에르케고르는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필연성과 가능성과 같은 서로 대립되는 요소로 구성되는 자기의 존재론적 틀을 통해서 절망의 여러 형태를 추상적으로 논하고 있기 때문이다. 절망에 대한 이런 추상적 설명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것이냐 저것이냐", "두려움과 떨림" 등과 같은 저서들에 나오는 여러 실존의 양상들과 절망의 형태를 대비하면서 논구하는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절망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언뜻 보기에 관련이 없는 듯이 보이는 키에르케고르의 여러 저서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논자는 절망의 형태와 실존 단계에 대한 키에르케고르의 이해를 밝히고자 한다.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Kierkegaard's existential stages and the forms of despair. the subjects of Kierkegaard's philosophical psychology are despair and anxiety. He studies the forms of despair in Sickness Unto Death, and anxiety in The Concept of Anxiety. He seeks to elucidate the human existence by way of the psychological inquiry on despair and anxiety. I will primarily study Kierkegaard's concept of despair in order to make out his understanding of human existence and, then, inquire into his concept of anxiety supplementarily. Until now, many studies on Kierkegaard's concept of despair have been carried out mainly focusing on his Sickness Unto Death. Of course, those studies focusing on his Sickness Unto Death are meaningful in a sense, but have a limit of abstract understanding, since Kierkegaard argues many forms of despair abstractly through the ontological form of the self which is constituted by the opposing constituents such as necessity and possibility. In order to understand his abstract explanation about despair, I think, we have to compare various modes of existence and the forms of despair which are portrayed in Either/Or and Fear and Trembling. Therefore, I will enquire into his seemingly unrelated works synthetically and elucidate his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 of the forms of despair and the stages of existenc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군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