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칸 연출을 기반으로 한 인터랙티브 디지털 만화 연구

Application of Interactive Digital Comics Directing for Comics Frame-Manner

  • 김치훈 (상명대학교 만화 애니메이션 학부) ;
  • 허영 (상명대학교 만하 애니메이션 학부)
  • 발행 : 2008.07.28

초록

만화는 종이 매체를 기반으로 출간되는 전형적인 만화형태의 출판만화와 인터넷 환경을 기반으로 서비스되는 디지털만화로 구분 할 수 있다. 디지털만화는 현재 각종 대형포털이나 다양한 웹사이트에 서비스되고 있으며, 만화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만화는 기존의 종이에 인쇄된 내용이 단순히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본다는 출력의 상이함 외에는 디지털 특징을 부각한 것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그에 따라 디지털만화에서 디지털을 적용한 만화연출 연구와 디지털만화의 새로운 실험 등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출판만화의 특징인 칸 연출법에 디지털콘텐츠의 핵심인 ‘인터랙티비티’를 적용한 만화연출을 통해 디지털만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그에 대한 방안으로써 인터렉티브를 적용한 ‘사용자 편집 방식의 이야기 전달’과 ‘프레임 클릭 방식’을 통해서 디지털만화의 여러 대안 중 하나를 제안한다.

It devides that a comic book is based on paper and the other one is serviced through the medium of internet. Each one called conventional form of comic book and digital one. Currently digital comics are published on the various portals and WEB sites and they become one of the comic media and service. However, it is simply uploaded scan-images of comic book on monitors instead of paper. This is just only difference of output form of comics and it does not bring out any digital feature. Now we need a new comic research and experiments that are applied characters of digital for the conventional comic directing. Thus this research presents that the new possibility of digital comics with the core of digital contents, interactivity is applied for comic frame-manner and user customized storytelling.

키워드

참고문헌

  1. 안수철, 만화연출, 글논그림밭, p.22, 1997.
  2. 아스카와 마스히로, "극화의 시작 -다쓰미 요시히로와 일본 대안만화의 초기풍경", 새만화책, Vol.1, pp.227-228, 2006.
  3. Scott McCloud, 김낙호 , 만화의 이해, 시공사, p.75, 2002.
  4. 박인하, "한국만화의 지형의 변화와 디지털만화", SICAF 컨퍼런스 자료집, 2007.
  5. 박인하, "위대한 캣츠비 평론", 애니북스, p.220, 2005.
  6. 전경란, 컴퓨터 게임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분석,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p.62, 2003.
  7. G. Andrew, 김치훈,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p.280, 2006.
  8. 김영근, 안성혜 "디지털 만화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구조에 관한 연구", 게임&엔터테인먼트논문지, Vol.2 No.2, p.3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