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종애사(端宗哀史)의 후광효과를 적용한 영월팔경의 스토리탤링 전략

A Study on Storytelling of Yeongweal-palkyung Applied by Halo Effect of King Danjong' Sorrowful Stor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발행 : 2008.08.31

초록

본 연구는 단지 지명도 부족과 관광 여건의 변화에 따른 홍보 전략용으로 급조, 지정된 신영월십경 지정에 따른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영월의 관광 문화자원의 대부분이 단종과 관련되어 었다는 사실에 착안하였다. 이에 따라 익히 알려진 '단종에 대한 슬픈 역사'와 유배지 영월의 문화자원이 갖는 지명도 등의 후광효과를 통해 미개발 관광콘텐츠 영월팔경의 형식과 내용을 검토하여 "문화경관 영월팔경"이라는 경관콘텐츠의 스토리텔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월팔경이라는 문화경관 텍스트와 <단종애사> 라는 역사콘텐츠의 조응적 관계성 모색을 통한 장소와 역사적 현장 경관의 동일성을 통한 의미와 이야기 전달과정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영월의 자연문화경관을 공간적 텍스트화하기 위한 틀 짜기(framing)와 켜 짜기(layering)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스토리뿐만 아니라 텔링이 텍스트 향유의 지배적 요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에피소드 등의 이야깃거리를 탐색하고 경관 주제의 모티브로 발굴하고자 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스토리텔링 방식을 다양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텍스트의 구조 안에서 재맥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몰입 경관요소를 장소, 대상 그리고 시점으로 구분하여 현장화 하였다. 또한, 경관 몰입요소를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와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 요소 등의 미시 콘텐츠를 제시함으로써 '영월팔경-단종애사'의 이야기성, 현장 장소성 그리고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상호관계성을 고려한 영월팔경 스토리텔링 전략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방안이 실제 영월 관광의 대안이자 전략으로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경관 연출의 리얼리티를 역동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시점의 설정과 경관 루트 연계방안 그리고 내레이션 시나리오가 갖추어져야 하며, 영월의 자연 및 풍수적 관점에서의 형국 인식과 단종 관련 역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경관해설가의 양성이 필요하며 인터넷과 디지털상용화 전략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With the awareness that Sinyeongwol Sipgyeong(ten scenic spots in Yeongwol) were designed too hastily and only for PR purposes after the change in the tourism environment, this paper indicates that most tourism and culture sources in Yeongwol are related to King Danjong, the six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proposes a 'Storytelling Plan' for the landscape content called 'Cultural Landscapes - Yeongwol Palgyeong(eight scenic spots in Yeongwol)' after reviewing types and content of Yeongwol Palgyeong through the halo effect of the well-known sad history of King Danjong and the cultural value of Yeongwol. The significance of the unity of the historic site and neighboring landscape is focused on by investigating the anaphoric relations between cultural landscape texts('Yeongwol Palgyeong') and historic content(the sad history of King Danjong). For this, the cultural lnddscape of Yeongwol has been framed and layered to make spatial texts. To emphasize the 'Telling' as well as the 'Story,' interesting episodes have been reviewed to discover a motive. To diversify the 'Telling' methods, absorptive landscape factors have been classified as 'Place,' 'Object' and 'Visual Point.' In addition the storytelling of Yeongwol Palgyeong was exa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ory and background of 'Yeongwol Palgyeong - Sad Story of King Danjong' and the interaction of a variety of cultural content by suggesting micro-content such as infotainment and edutainment as absorptive landscape factors. In order to make the storytelling plan available in practice as an alternative plan for Yeongwol Tourism, a visual point should be properly set to make the landscape look sufficiently dynamic. In addition, real landscape routes and narration scenarios should be prepared as well. Professional landscape interpreters who are well informed of the natural features of Yeongwol and the history of King Danjong should be brought into the project, and Internet and digital technology-based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도민일보(2002) 곧은 솔숲.비단 푼 동강에 반한다. 2002년 8월 27일자
  2. 권영운(2003) 디지털 스토리텔링 특성의 광고 적용 가능성. 영산대학교 영산논총 11: 383-402
  3. 김강산(2006) 태백산신이 된 단종. 강원민속학 20: 361-385
  4. 김병하, 김연갑(1996) 정선아리랑. 범우문고. p.282
  5. 김의숙(1997) 단종 신앙과 제의 연구. 강원문화사연구 2: 133-170
  6. 김종하, 배현미(2006) 현대팔경의 선정특성에 따른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1(2): 179-189
  7. 류인순(1990) 강원지방 인물전설 연구. 江原文化硏究 10: 56-65
  8. 박기수(2007)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생산적 논의를 위한 네가지 접근법. 한국언어문화 32: 5-26
  9. 안장리(2005) 지역경관의 문화콘텐즈 개발을 위한 토대 구축. 열상고전연구 21: 145-171
  10. 오경환(2002) 조경공간의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스토리텔링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오동춘(1973) 성삼문의 사상연구: 충의가 및 수양한탄가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16: 76-109
  12. 유동환(2006) 불교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츠화 현황과 전략 연구. 동국대학교 전자불전 8: 71-105
  13. 이광수(1929) 단종애사. 이광수전집 4: 483
  14. 이기현(1996) 석북 신광수 문학 연구. 도서출판 보고사. pp.218-222
  15. 이윤선(2005) 진도아리랑의 기원 스토리텔링과 문화 마케팅. 목포대학교 도서문화 23: 239-271
  16. 이정재(2003) 단종 복위와 무녀 충신 연구. 한국민속학 38: 387-432
  17. 이창식(2002) 영월민요의 정체성과 전승방안. 한국민요학 10: 209-239
  18. 전명숙(2007)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관광콘텐츠 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VII-C: 777-780
  19. 전종한(2006) 지역 문화의 해석에 있어서 경관연구의 함의. 중원문화논총 10: 65-87
  20. 정용수(2006) 밀양의 누정자료 조사연구와 그 콘텐츠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당논총 36: 209-238
  21. 최명환(2006) 단종설화의 전승양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최혜수, 조문식, 하경희(2006). 단종문화축제의 참여 동기와 축제 이미지간의 관계 연구. Tourism Research 22: 165-187
  23. 최혜실(2004) 문학작품의 테마파크화 과정 연구; '소나기마을'과 '만해마을'을 中心으로. 語文硏究 32(4): 285-305
  24. 최혜실(2006) 문화콘텐즈, 스토리텔링을 말하다. 삼성경제연구소: p.105
  25. 표용태(2006) 영월지역 문화관광자원의 개발방안 연구. 안양대학교 사회과학연구 12: 217-243
  26. 한승옥(2001) 이광수 역사소설 <단종애사> 연구. 한중인문과학연구 6: 468-487
  27. 홍성익(2005) 보덕사 창건연대에 관한 연구. 강원문화사연구 10: 93- 111
  28. http://culturecontent.com/service2006/content_detail/image_detail.as
  29. http://land.culturecontent.com
  30. http://yeongwol.kccf.or.kr/home/main/history.php?conf_kccf_add r=yeongwol&menuinfo_code=culture&CULTURE_IDX=51
  31. http://ywe.yw.go.kr/tour/index.htm
  32. http://ywtour.com/kor/CMSView.php?pid=355
  33. hyyoo@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