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sign of Official Costume of 16th Century Gineyo in Scholar's Banquet;Focusing on the Image Design for Cultural Contents

16세기 조선 기녀의 일반 연회(宴會) 규정복식 고증 디자인 연구;문화콘텐츠용 이미지 작업을 중심으로

  • Choi, Hae-Yool (Dept. of Fashion Design & Apparel Industry, Institute for better living, Wonkwang University)
  • 최해율 (원광대학교 패션디자인. 산업전공학과/생활자원개발연구소)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official costume of Joseon Ginyeo in the scholar’s banquet in 16th century, thereby making correct historical animation, drama costumes, and various costume contents. Every Ginyeo in and wore a long yellow coat with short front edge. 'Dan-ei', Ginyeo’s court costume, had very similar shape except color and collar, therefore the size of Dan-ei was adapted to design a yellow coat for drama actress. Ginyeo’s Jogori in these paintings was wide and long enough to cover undervelly under the edge of yellow coat, but It was designed more slim and long for better appearence and comfortable movement in my work. A skirt of Ginyeo was designed with circumference of about 360cm and length of about 105cm according as a skirt style of Joseon ladies in 16th century. Ginyeo's Jam(hairpin) was consist of a vase, a plum blossom, and a lotus pattern. And, a wide underpants with a single suspender, portable pouch, Un-hae(women’s shoes) with low heel are needed for drama actress in the role of Ginyeo. In this design, it is very important to save an estimate and time, select suitable mordern fabrics, reform discomportable points, express a charater’s role, and make a trendy appearence.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복식 2천년. 서울: 신유문화사
  2. 국립중앙박물관. (2005). 호조낭관계회도. 자료검색일 2008, 3. 1, 자료출처 http://www.museum.go.kr/kor/
  3. 김영재. (2004). 이응해 출토복식의 바느질법과 특성. 충주 박물관 (편),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157-166). 서울: CMCad
  4. 국역 조선왕조실록. (2004). KoreaA2Z 동방미디어 한국학데 이터베이스연구소. 자료검색일 2008, 3. 22, 자료출처 http://www.koreaa2z.com/sil99/index.html
  5. 남후선. (2000). 朝鮮 後期 宮中舞踊服飾의 服色思想 硏究(I) −육화대, 무산향, 춘앵전을 중심으로−. 복식, 50(4), 73−87
  6. 도량형 환산표. (2002). 공구사랑. 자료검색일 2008, 03. 24, 자료출처 http://www.mok09.co.kr/data/change.htm
  7.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 편. 대전: 금강인쇄사
  8. 박재선. (2003). 呈才 服飾 色彩에 관한 硏究.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백두현. (2006). 청주출토 순천김씨 의복 및 간찰. 문화재청 (편), 문화재대관: 중요민속 자료 (2) 복식자수 편 (pp.274-281). 대전: 금강인쇄사
  10. 성현, 신말평, 유자광. (1493). 악학궤범. 민족문화추진회 옮김 (1978). 국역 악학궤범 I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1. 송미경. (2007). 17세기 전기 여자 염습의(殮襲衣)의 일례−김 확 배위 동래정씨(1567-1631)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10(2), 129−140
  12. 심연옥. (2004). 이응해 출토복식 직물연구. 충주박물관 (편),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pp. 169-199). 서울: CMCad
  13. 아세아문화사. (1983). 朝鮮王朝法典集書:經國大典. 서울: 아세아문화사
  14. 이은주. (2000). 16세기 중엽의 上衣類에 대한 조형적 고찰 −경북 안동시 정상동 一善 文氏 묘 출토복식을 중심으 로−. 아시아민족조형학보, 1(5), 119−140
  15. 이정섭. (2002). 문중 유물의 성격과 특징−경북 북부지방의 전적과 고문서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편), 선비, 그 멋과 삶의 세계 (pp. 150-160). 서울: 대성당인쇄사
  16. 이혜자. (2007). 17.18세기 耆老宴圖의 官僚服飾 硏究. 복식, 57(5), 112−122
  17. 장민정. (2004). 조선시대 기녀복식(妓女服飾) 연구. 한국외 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정옥임, 김경희. (2002). 궁중 무용의상에 관한 연구−유럽 일 반 복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복식, 52(7), 123−138
  19. 조선희. (2005). 전통신의 조형미와 제작실태에 관한 연구(I) −운혜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8(3), 55−63
  20. 조효숙. (2006). 청원 전 박장군묘 출토유물. 문화재청 (편), 문 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 편 (pp. 318-329). 대전: 금강인쇄사
  21. 조효순, 원혜은. (2004). 사극 드라마 의상제작에 관한 연구 −제국의 아침과 무인시대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7(3), 99−111
  22. 최경희. (2006). 조선 중기 기녀복식에 관한 연구−진주 '논개' 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최해율. (2001). 몽골여자복식의 변천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서울: CMCad
  25. 한국국학진흥원. (2002). 선비, 그 멋과 삶의 세계. 서울: 대성당인쇄사

Cited by

  1. A Study on Fashion Souvenir Ornament Design for Female Dolls with the Application of Relic and Painting Motifs in the Late Goryeo Period -Focus on Investigated Design and Costume Coordination- vol.37, pp.5, 2013, https://doi.org/10.5850/JKSCT.2013.37.5.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