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itional Accuracy Analysis of Permanent GPS Sites Using Precise Point Positioning

정밀절대측위를 이용한 상시관측소 위치정확도 분석

  • 강준묵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부) ;
  • 이용욱 (대한측량협회) ;
  • 김민규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박준규 (충남대학교 건설방재연구소)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Researches about 3-D Positioning system using GPS were carried out many-sided by national organs, laboratories, the worlds of science. And most of researches were development of relative positioning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s. Relative positioning has a merit, which can eliminate error in received signals. But its error increase due to distance of baseline. GPS absolute positioning is a method that decides the position independently by the signals from the GPS satellites which are received by a receiver at a certain position. And it is necessary to correct various kinds of error(clock error, effect of ionosphere and troposphere, multi-path etc.). In this study, results of PPP(Precise Point Positioning) used Bernese GPS software was compared with notified coordinates by the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order to analyze the positional accuracy of permanent GPS sit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results of AUSPOS - Online GPS Processing Service for comparison with relative positioning.

상대측위는 좌표가 정확히 알려진 측점을 기준으로 다른 측점의 좌표를 상대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으로 측지분야 및 정밀측위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DGPS(Differential GPS) 기법은 일정한 거리 내에서 위성과 수신기의 공통오차를 소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선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오차가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GPS 절대측위는 상대측위와는 달리, 원하는 측점의 수신기에서 수신한 GPS 위성들의 신호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측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이때 관측된GPS 신호에는 위성시계 오차, 전리층 및 대류권 통과에 따른 오차, 다중경로 오차 등 위치 결정에 영향을 주는 여러 오차 요인들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보정해 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Bernese GPS Software 5.0을 이용한 정밀절대측위 방법과 AUSPOS - Online GPS Processing Service를 이용한 상대측위 방법으로 국토지리정보원의 GPS 상시관측소 관측자료를 처리하고 이를 국토지리정보원의 고시성과와 비교.분석하여 정밀절대측위를 이용한 정밀위치결정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그 효용성을 제시 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묵,김욱남,박정현,이은수(2001),GPS절대측위 정확도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19권 제1호, 한국측량학회, pp. 1-8
  2. 강준묵, 이용욱, 박정현 (2001), GPS/GLONASS 조합에 의한 절 대측위 정밀도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19권 제1호, 한국측 량학회, pp. 9-18
  3. 강준묵, 박정현, 이은수 (1998), IGS의 GPS 데이터를 이용한 초 장기선 정밀도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8권, 제3-3호, 대한토목학회, pp. 293-300
  4. 송동섭, 윤홍식 (2006), Gipsy-Oasis II를 이용한 지적위성기준 점의 절대 좌표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6권 제2D호, 대한토목학회, pp. 317-324
  5. 이용창 (1999), 정밀절대측위(PPP)기법에 의한 GPS 기준점 좌 표의 산정, 한국측지학회지, 제17권 제2호, 한국측량학회, pp. 145-152
  6. 이은수, 엄대용, 이용욱 (2007), GPS 상시관측소의 절대좌표 경 향 분석, 한국지적학회지, 제23권 제1호, 한국지적학회, pp. 143-155
  7. http://www.ngi.go.kr
  8. http://www.oso.chalmers.se/-loading/
  9. ftp://IGSCB.JPL.NASA.GOV/pub/product/
  10. http://www.aiub.unibe.ch/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