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iability Analysis of Caisson Type Quaywall

안벽구조물의 신뢰성 해석

  • Yoon, Gil-Lim (Coastal Engineering & Ocean Energy Research Department,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Kim, Dong-Hywan (Department of Ocean Construction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Hong-Yeon (Coastal Engineering & Ocean Energy Research Department)
  • 윤길림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
  • 김동현 (군산대학교 해양건설공학과) ;
  • 김홍연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인하대)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Reliability analyses of Level I, II and III for bearing capacity, overturning and sliding of quaywall a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ir safety levels depending upon its failure modes, and sensitivity analyses of each design variable are performed to find their effects on safety levels of quaywall. Reliability indices was 1.416 for both level II and III for case study I, and with 2.201 and 1.880, respectively, for the case study II at the critical loading conditions. Thus we were able to know that Level II (FORM) approach is good enough to use in practical design. Generally, it was found that probabilities of failure of quaywall were higher for sliding and bearing capacity failure modes and lower for overturning failure mode. From sensitivity analyses, the most influential design variables to reliability index of quaywall were coefficient of friction, residual water pressure and resistance moment for the sliding, overturning and bearing capacity failure modes, respectively. Especially, the sensitivity of reliability index due to inertial force and dynamic water pressures, which include a large COV when earthquake occurs, did not change greatly.

본 논문에서는 안벽구조물에 대한 지지력, 전도 및 활동에 대한 파괴모드별 수준 I, II & III의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파괴모드에 따른 적절한 설계기법을 적용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고 케이슨식 안벽 설계시 확률변수가 신뢰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신뢰지수 산정결과, 최대위험시의 사례연구 I의 경우, Level II와 III 방법 모두 1.416, 사례 II의 경우, 각각 2.201과 1.880로써 Level II (FORM) 및 Level III의 시뮬레이션 방법이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체로 케이슨식 안벽은 주요 파괴모드중 지지력과 활동에 대한 파괴확률이 비교적 크고 전도에 대한 파괴확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감도 분석 결과, 신뢰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확률변수는 활동, 전도 및 지지력 파괴모드에서 각각 마찰계수, 잔류수압 및 저항모멘트로 나타났다. 특히, 지진시 변동계수가 큰 관성력 및 동수압은 민감도 변화가 크지 않아 변동계수와 민감도에 관련된 기존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현, 윤길림, 박우선 (2003). '지진토압의 위상차를 고려한 케이슨안벽의 신뢰성 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15권 4호, pp. 242-248
  2. 김동현, 조홍연, 김두기, 조병일 (2007). '잔교식 안벽구조물의 확률론적 지진위험도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19권 3호, pp. 237-243
  3. 서경덕, 권혁민, 윤현덕 (2002).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한 방파제 소파블록의 신뢰성 설계',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학술대회지, pp. 82-91
  4. 윤길림 (2004). '차세대 항만 설계기술 개발(IV)', 한국해양연구원 연구보고서, 해양수산부
  5. 윤길림, 이규환 (2005). '신뢰성 기법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침하해석', 한국지반공학회 가을학 술발표회 논문집, pp. 87-100
  6. 윤길림, 채광석, 신재설, 이훈연 (2005). '항만구조물 사례분석을 통한 안정해석법 설계기준',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220-226.
  7. 윤길림, 이규환, 채광석 (2004). '확률 및 신뢰성 개념을 도입한 지반설계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지반조사위원회 특별세미나 논문집, pp. 73-105
  8. 이철응 (1999). '경사제 피복재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성 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11권3호, pp. 165-172
  9. ENV (1998). 'urocode 8: Design of structures for earthquake resistance'
  10. H. Yoneyama, S. Shiraishi and T. Uwabe (2000). ' Study on Load Factors of Seismic Loads on Limit State Design Method for Port and Offshore Structures in Japan' 8th ASCE Specialty Conference on Probabilistic Mechanics and Structural Reliability
  11. Kweon, Hyuck-Min, Suh, Kyung-Doug and Lee, Young-Yeol (2003). '마루높이 설정을 위한 월파확률의 신뢰성 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학술대회지, pp. 376-381
  12. T. Nagao, Y. Yoshinami, T. Sanuki and M. Kamon (2001). 'ケソン式岸壁の外的安定に關 る信賴性設計法の適用' 構造工學論文集 Vol. 47A.
  13. 財團法人 沿岸技術硏究センタ (2007). '港灣構造物 設計事例集(下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