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dural Morphine for Pain Control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in Hospice Ward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이용한 통증 조절

  • Lee, Jang-Eun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Hur, Ki-Hoon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ang, Yoo-Jin (Departments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Jeon, Yon-Soo (Departments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Lee, Ok-Kyung (Departments of Hospice,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Shim, Byoung-Yong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im, Hoon-Kyo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이장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내과학교실) ;
  • 허기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내과학교실) ;
  • 강유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마취통증의학교실) ;
  • 전연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마취통증의학교실) ;
  • 이옥경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과) ;
  • 심병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내과학교실) ;
  • 김훈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9.01

Abstract

Purpose: Epidural morphine infusion has been used to control pain in cancer patients whose cancer pain can not be controlled high dose intravenous morphine injection. To study the effectiveness and side effects of epidural morphin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pain in terminal patients at Hospice Ward, we evaluated the change in morphine equivalent daily dose for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of epidural morphine infus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4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ntinuous epidural morphine between 2001 and 2004 at Hospice Ward of St. Vincent's Hospital. Results: The median of baseline morphine equivalent daily dose was 615 mg, whereas the median dose of initial epidural morphine was 16 mg. The median of morphine daily equivalent daily dose dropped from 615 mg to 274 mg in one week after epidural morphine infusion therapy (P-value=0.000). The median survival from the time of the first catheter insertion was 35 days. In 6 patients, the catheter was removed due to complications, however the catheter was reinserted in 3 patients. Conclusion: Cancer pain management by epidural morphine infusion is very effective method with low rate of severe complication.

목적: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시행 받은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통증 조절의 효율성과 안전성,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4년 3월까지 3년간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시행한 24명에 대해 환자의 일반 특성과 모르핀 등가용량, 기저 질환, 도관의 거치기간 등에 대해 후향 적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은 위암, 췌장암이 각각 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막외 모르핀 주입 부위는 흉추가 15명으로 가장 많았다. 시행 당시의 기저 모르핀 등가 용량(morphine equivalent daily dose, MEDD)은 615 mg이었다. 경막외 모르핀 주입을 시행 받고 1주일 뒤의 MEDD는 274 mg으로 효과적인 통증 조절이 가능하였다(P-value=0.000). 경막외 도관을 제거한 환자는 6명으로 이중 3명은 재 삽입하였다. 도관의 감염으로 인하여 제거한 환자는 2명이었다. 결론: 호스피스 병동에서 시행한 경막외 지속적 모르핀 주입은 진행한 암 환자의 통증 조절에 효율적이었으며 도관의 위치 변동, 감염으로 인하여 제거한 경우가 있었으나 조절 가능한 합병증이었다. 다만 1일 주사용 모르핀 요구량이 100 mg일 때 경막하 모르핀 주입법을 통한 통증 조절을 권하더라도 동의를 얻는데 걸리는 기간 중 기저 질환의 악화 등으로 인한 투여 모르핀 용량의 증량으로 경막외 모르핀 주입 당시 평균 MEDD는 615 mg이었다. 향후 환자 및 보호자들에게 경막외 모르핀 주입의 효율성과 안전성에 대한 정보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