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USN Based Mobile Object Tracking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Missing Child

미아방지를 위한 USN 기반 보호대상 이동체 위치확인 시스템

  • Published : 2008.10.15

Abstract

The missing child problem is no more a personal problem. It became a social problem that all parents must consider. To this, this study applies USN/RFID technology integrated with GIS for the prevention of missing child. Although RFID is not designed for location sensing, but now it is regarded as a device to facilitate real time location awareness. Such advantages of RFID can be integrated with 4S(GIS/GPS/LBS/GNSS) achieving much synergy effects. In order to prevent kidnapping and missing chil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issing child preventing system using a ubiquitous computing system. Therefore, the missing child prevent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using high-tech such as RFID, GPS network, CCTV, and mobile communic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missing child prevention system can be improved through an accurate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This study propose and test a location sensing system using the active RFID tags. This study verifies technical applied service, and presents a system configuration model. Finally, this paper confirms missing child prevention system utilization possibility.

미아문제는 아이를 가진 모든 부모들이 고민해야 되는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아이에 국한되지 않고 치매노인, 정신장애자 등 노약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보호자가 없을 시에 동일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공공부문의 문제들은 시급히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미아방지 문제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분야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USN 기반 RFID와 통신망(유선망, 이동통신망, 유/무선 인터넷, 휴대인터넷 등) 기술을 융합하여 보호대상 이동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동체 위치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미아 관련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호 대상체(어린이, 노인, 정신장애자, 애완동물, 상품, 미술품, 그 외 보호 대상자 및 대상물품)의 정확한 위치 추적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미아방지 서비스 시스템은 정확한 위치 추적 기술을 통해 그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RFID 시스템 적용방안, 시설물 선정 및 설치방법, 위치추적 방법, 서비스 솔루션 수행과정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테스트베드를 통한 실험을 통해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손형철, "GPS 이동통신망의 통합을 이용한 이동국의 위치결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2-3, 2003
  2. 최재원, "측위기준점을 이용한 무선랜의 실내측위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1-15, 2006
  3. Nissanka B. Priyantha, Anit Chakraborty, Hari Balakrishnan, "The Cricket Location-Support System," 6th Annual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Computing and Networking (MOBICOM), Aug., 2000
  4. LIONEL M. NI, YUNHAO LIU, YIU CHO LAU, ABHISHEK P. PATIL, "LANDMARK: Indoor Location Sensing Using Active RFID,"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vasiv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PerCom'03), pp. 701-710. Oct., 2004
  5. 차맹규, 장안진, 이재빈, 유기윤, "Active RFID 가로등을 이용한 이동체 실시간 위치결정기법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제27권, 제1D호, pp. 152-156, 2007
  6. 이성호, 민경욱, 김재철, 김주완, 박종현, "위치기반서비스 기술동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보고서, 전자통신 동향분석 제20권 제3호 pp.33, 2005
  7. H. Kong, Y. Kwon, T. Sung, "Comparisons of TDOA Triangulation Solutions for Indoor Positioning," The 2004 International Symposium on GNSS/GPS, GNSS, Australia,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