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casting Export Loaded Container Throughput of Incheon Port

인천항의 수출 적컨테이너화물 물동량 추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make projection of the demand for export loaded container throughput originating at Incheon port in Korea over the period in question. Systematic analysis is used as a forecasting method instead of quantitative analysis. First of all, the method explores coincident indicators which may reflect the square measure of neighboring industrial complexes which originate/destinate general cargo in export traffic trends. It is noted that in terms of the export loaded container throughput, per unit production scale is intermediated transforming from square measure of production facilities to freight weight in Korea. Consequently, the future progress of the volume can be anticipated relying on the development schemes for developing square measure out of the total square of the industrial complexes. Thus, moving-into percentage of the industrial complexes, percentage of business categories, percentage of capacity and percentage of passing through via Incheon port are adopted and the future traffic demand is projected taking advantage of them.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물동량 전망에 적용한 방법론이 아닌 개별 항만별 예측방법을 적용하여 인천항에서 경유하는 수출 화물 물동량을 전망하였다. 물동량 전망에 있어 기존의 통계적, 계량경제학적인 분석 대신 시스템 분석을 적용하였다. 대부분의 기존연구에서 적용하였던 총량적 접근방법은 전국의 총 화물물동량을 각 품목별 특성에 따른 계량모형을 통해 추정한다. 이는 전국권역을 기반으로 항만 O/D에 따라 향후 권역별 항만 개발계획 및 개별입지변화를 반영하여 체계적인 방법으로 배분함으로써 전국 항만의 물동량을 도출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방법론이 아닌 개별항만의 주변상창이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산업단지의 현황을 토대로 물동량을 도출해 내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는 인천항을 배후권역으로 하는 수출 화물의 기종점인 배후산업단지의 소요면적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조사하였다. 이는 수출의 대부분을 창출하는 산업단지의 소요면적을 파악하여 이에 원단위를 적용함으로써 산단별 입출되는 물량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에 산단별 분양률, 업종비중, 가동률, 그리고 산단별 수출 비중을 적용하여 인천항의 수출 화물 물동량을 전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전망치와 비교를 함으로써 연구방법론의 다양화와 비교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성과를 거두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