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문학적 가뭄지수와 가상가뭄훈련에 의한 저수지의 최적 물 공급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Water Supply using Virtual Drought Exercise with Hydrological Drought Index

  • 서형덕 (국립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정상만 (국립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이주헌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Seo, Hyeong-Deok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eong, Sang-Ma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Seong-Joo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Lee, Joo-He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Joongbu University)
  • 발행 : 2008.10.29

초록

가뭄은 장시간동안 강수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자연현상이며, 지역에 따라 해마다 여러 가지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1994$\sim$1995년과 2001년에 발생한 가뭄은 피해가 매우 심각하였으며 중.소규모의 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냈을 뿐 아니라 상당한 경제적인 손실도 발생하였다. 하지만 가뭄관리계획에 의해 저수지를 통한 최적의 물 공급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피해들을 최소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저수지 운영을 위한 전문가시스템을 개발하여 수문학적 가뭄지수인(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MSWSI) 값과 저수지 유입량과의 연계를 통한 가상가뭄모의운영(Virtual Drought Exercise, VDE)을 실시한 후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가뭄단계에 따른 댐 운영대안을 제시하였다. 가상가뭄모의운영으로 여러 가지 가뭄사상에 대한 효과적인 장 단기 대안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가뭄기간동안 최적의 물 공급방안을 준비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Drought is a natural phenomena caused by long time lack of precipitation causing varying damages in several regions which increases yearly. Specifically, in 1994$\sim$1995 and 2001 severe drought occurred in almost every region of Korea. Small and medium sized water supply reservoirs exposed their bottoms and also raised considerable economic losses. In spite of this fact, damages and impacts from the drought can still be minimized by well defined drought management plans with optimal management of water supply facilities. Throughout this research, integrated drought information system is proposed to used in monitoring the drought of Korea in real time. And the expert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water supply facilities has developed using Shared Vision Model (SVM) to enable the Virtual Drought Exercise (VDE). To find a better way to manage water during drought and to develop the enhanced abilities to respond to drought, virtual drought exercise is the most effective approach and process. The proposed process of virtual drought exercise using integrated drought information syste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prepare the optimal water supply plans during the drought.

키워드

참고문헌

  1. 과학기술부 (2003). 용수수급 최적화를 위한 가뭄관리 시스템 개발, pp. 28-122
  2. 김영오 (1998). “수자원 관리를 위한 Object-Oriented Simulation Software들의 소개.”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1권, 제6호, pp. 21-25
  3. 권형중, 박현진, 홍대의, 김성준 (2006). “SWSI 가뭄지수를 보완한 준분포형 수문학적 가뭄평가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8호, pp. 645-658 https://doi.org/10.3741/JKWRA.2006.39.8.645
  4. 박명기, 김재한, 정관수 (2001). “Hedging Rule을 적용한 가뭄대비 다목적댐 운영률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I), pp. 578-583
  5. 신용노, 맹승진, 고익환, 이환기 (2000). “모의기법에 의한 홍수기 저수지 운영 모형 개발(I).”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6호, pp. 745-755
  6. 이용대, 김재희, 김승권 (2002). “댐군 연계 운영을 위한 객체 지향적 최적 운영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pp. 673-678
  7. 이주헌, 정상만, 김성준, 이명호 (2006a). “가뭄모니터링시스템 구축 : 1. 정량적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가뭄지수의 적용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9호, pp. 787-800 https://doi.org/10.3741/JKWRA.2006.39.9.787
  8. 이주헌, 정상만, 김재한, 고양수 (2006b). “가뭄모니터링시스템 구축 : 2. 정량적 가뭄모니터링 및 가뭄전망기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9호, pp. 801-812 https://doi.org/10.3741/JKWRA.2006.39.9.801
  9. 이주헌, 이길재 (2006c). "국가 가뭄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3호, pp. 29-36
  10. 정상만, 류재현, 이주헌, Palmer, R.N. (2003). “유역의 최적 물배분을 위한 공영시각모형의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3B호, pp. 191-199
  11. 정상만, 이주헌, 안중근 (2004). “Shared Vision 모형을 이용한 용수수급의 안정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7호, pp. 569-579
  12. 한국수자원공사 (2004). 가뭄관리모니터링체계 수립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pp. 49-80
  13. 한국수자원공사 (2006a). 가뭄관리정보체계 수립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pp. 438-473
  14. 한국수자원공사 (2006b). 통계연보(2005), 한국수자원공사
  15. Keyes, A.M., Palmer, R.N. and Werick W. (1995). “Practicing for Droughts, Guidelines for Virtual Exercise." Proceedings of the 22nd Annual Conference, ASCE, Cambridge, Massachusetts, pp. 1005-1008
  16. Kim, Y.O., Eum, H.I., Kim, S.U. and Lee, K.S. (2002).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operation system for the Nak-dong River basin in Korea.” 2002 Annual Meeting of Japan Society of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JSHWR, Sendai, Japan. pp. 270-275
  17. Palmer, R.N., Keyes, A.M., and Fisher, S.M. (1993). "Empowering Stakeholders through Simulation in Water Resources Planning." Proceedings of the 20th Annual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Conference, ASCE, Seattle, pp. 451-454
  18. Palmer, R.N., Reese, A.G., and Nelligan-Doran, S.E. (2001). "Tied by water." Civil Engineering, ASCE, Vol. 71, No. 2, pp. 50-53

피인용 문헌

  1. The probabilistic drought forecast based on ensemble using improvement of the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vol.49, pp.10, 2016, https://doi.org/10.3741/JKWRA.2016.49.10.835
  2. Development and Effective Analysis of Termination Criteria at Each Drought Response Stage in a Multipurpose Dam vol.18, pp.5, 201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