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Ames, B.N. 1989. Endogenous oxidative DNA damage, aging, and cancer. Free Radical Res. Commun. 7: 121-128 https://doi.org/10.3109/10715768909087933
-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744
- Fang, Y.Z., S. Yang and G. Wu. 200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nutrition. Nutrition 18: 872-879 https://doi.org/10.1016/S0899-9007(02)00916-4
- Gray, J.I. and J.R. Dugan.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5.tb02248.x
- Kato, H., C. Lee, N.V. Kim and S.B. Hayase.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 Chem. 51: 1333-1338 https://doi.org/10.1271/bbb1961.51.1333
- Kimura, Y., H. Okuda, T. Okuda, T. Hatano, I. Agrat and S. Arichi. 1985. Studies on the activities of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from medicinal plants and drug. Effect of extracts of leaves of Artemisia species and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on lipid metabolic injury in rats fed peroxidized oil. Chem. Pharm. Bull. 33: 2028-2034 https://doi.org/10.1248/cpb.33.2028
- Mabry, T.J., K.R. Markham and M.B. Thomas. 1970. The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Journal of Molecular Structure 10: 320
- Nam, S.M., J.G. Kim, S.S. Han, S.J. Kim, M.E. Chung and C.K. Chung. 1999.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ethanol extracts on lowering serum and liver lipids in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28: 199
- 강윤한, 박용곤, 오상룡, 문광덕. 1995. 솔잎과 쑥 추출물의 기능성 검토. 한국식품과학회지 27: 978-983
- 김은영, 백인희, 김정현, 김성란, 류미라. 2004.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지 36: 333-338
- 신춘혜. 2001. Rumex crispus의 에칠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공학회지 16: 592-602
- 우정향, 정헌상, 유정식, 장영득, 이철희. 2008. 자생 쑥부쟁이속 식물 4종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1: 52-59
- 이상준, 정하열, 이인경, 유익동. 1999. 쑥의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Flavonoid 들의 분리 및 동정과 이들의 항상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1: 815-822
- 이승은, 성낙술, 박춘근, 성정숙. 2002. 시판 한약재에 대한 항산화 활성 검정.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0: 171-176
- 이승은, 성낙술, 방진기, 박춘근, 성정숙, 송진. 2003. 한국산 약용 식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1: 127-134
- 임진아, 윤보원, 백승화. 2007. 배암차즈기 메탄올 추출물의 항 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5: 183-188
- 정기태, 주인옥, 최정식, 홍재식. 2000. 오미자종자의 항산화성, 항균성, 아질산염소거능. 한국식품과학회지 32: 928-935
- 정병선, 이병구, 심선택, 이정근. 1989. 쑥씨 중의 정유성분이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4: 417-424
- 정성제, 이진희, 송효남, 성낙술, 이승은, 백남인. 2004.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색.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47: 135-140
- 정혁, 김상기, 김상국, 성미영, 김현정, 김범학, 김유영. 2004. 흡연시 인삼, 쑥, 솔잎 추출물이 폐 세포의 구조와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공학회지 19: 138-142
- 차배천, 이혜원, 최무영. 1998. Nut류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생약학회지 29: 28-34
- 최소라, 주인옥, 유동현, 송영은, 장익, 류정. 2007. 사철쑥의 수확 시기에 따른 생육특성과 주성분 변화.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5: 189-193
- 최용민, 정봉환, 이준수, 조용구. 2006. 쑥 수집종의 항산화력. 한국작물학회지 51: 209-214
- 한승호, 우나리야, 이송득, 강명화. 2006. 국내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4: 49-55
- 황윤경, 김동청, 황우익, 한용봉. 1998. 쑥(Artemisia princeps Pampan) 추출 성분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한국영양학회지 31: 799-808
-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신일상사, 서울. pp. 285, 371
- 허근, 이상일, 박종민, 최종원. 1987. Scoparone이 Mouse 간(肝) Xanthine Ox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자원문제연구 6: 119-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