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al achievement in Korea (I) : Realities, constraints, possibilities and prospects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 (I): 교육의 현실, 한계와 가능성, 그리고 발전방향

  • Received : 2008.01.24
  • Published : 2008.02.28

Abstract

The special issue of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focuses on the educational achievement in Korea. This article reviews the following five themes: (1) Theoretical analysis of educational achievement; (2) Educational achievement of Korean adolescents; (3) Delinquency among Korean adolescents; (4) Cultural context and cross-national comparisons; and (5) Korean society and future prospects. This article analyzes the outcome of the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sia's Educational Miracle. First, this article examines the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facing Korean society and education. Second,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are examined. Third, background and focus of the publication of the special issue are reviewed. Finally,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the special issue ar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the need for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are outlined.

2008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특집호'는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라는 대 주제를 중심으로, (1) 성취의 이론적 토대, (2)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 (3)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4) 문화적 배경과 국가간 비교, (5) 한국 사회의 맥락과 과제라는 하위주제들을 다루는 다섯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이번 특집호의 배경이 된 '2006 아시아 교육의 기적 국제학술대회'를 개관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한국 교육의 현실을 SWOT 접근의 틀에 기초해서 약점, 위협, 기회, 강점 요인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둘째, 2006 국제학술대회의 목표와 의의를 검토하였다. 셋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특집호 제작의 배경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검토를 기반으로 2006 국제학술대회 및 특집호의 한계와 가능성이 진단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발전방향에 대한 모색으로서, 한국 사회에서 교육적 성취와 삶의 질의 문제 및 토착심리 연구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영균, 박영신, 김의철 (2006). 청소년과 부모세대간 문화갈등 요인분석 및 문화소통 증진 방안.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6-02-05,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청소년개발원.
  2. 박영신 (2007).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2007년도 한국교육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초청 심포지엄, 우리 학생들은 행복한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학습 환경 디자인, 85~125.
  3. 박영신, 김의철. (2002). 한국 사회의 교육적 성취: 현상과 심리적 기반.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6(4), 325~351.
  4. 박영신, 김의철 (2004a).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5. 박영신, 김의철 (2004b). 한국의 청소년 문화와 부모자녀관계: 토착심리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6.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 (2004).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3), 37~59.
  7.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 이상미, 권혁호, 양계민 (2000). 초 중 고등학생의 생활만족도 차이와 형성 및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1), 94~118.
  8. 이종한 (2006). 한국 심리학의 과제와 전망. Paper presented at the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p.93~95. October 28-29, Inha University, Korea.
  9. 조선일보 (2007년 10월 17일). 자식 낳아 대학졸업까지 2억3199만원 들어: 보건사회연구원 조사, 3년새 16.8% 늘어. A14면.
  10. 조정아, 임순희, 정진경 (2006). 새터민의 문화갈등과 문화적 통합 방안.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6-02-06, 한국여성개발원, 통일연구원.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 성과와 과제: 2003 TIMSS와 OECD/ PISA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자료 ORM 2004-26.
  12.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200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 특집호, '한국 심리학의 정체 성과 도전: 토착심리학과 문화심리학적 접근'.
  13.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 특집호, '한국 사회와 안전문화'
  14.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 특집호, '한국 사회에서의 청소년 문제행동'.
  15.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특집호, '한국 사회의 신뢰와 불신'.
  16.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 특집호, '한국 사회의 삶의 질'.
  17.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특집호.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
  18. 한성열, 이종한, 금명자, 채정민, 이영이 (2007).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와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2), 33~54.
  19. 허회숙, 김의철, 박영신 (2007). 사회적 지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성취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등 교사 연수에 대한 종단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007년도 제 3차 학술대회 자료집, 189~197.
  20.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김의철, 박영신, 양계민 역 (1999).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이론적 기초와 발달적 분석. 서울: 교육과학사.
  21. Hong, S. Y. (2006). Creating of a World of Possibilities: The role of universities in the global era. Plenary address at the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p.3~5. October 28-29, Inha University, Korea.
  22. Hwang, K. K. (2006). Confucianism, relationalism, and achievement. Plenary address at the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p.26. October 28-29, Inha University, Korea.
  23. Kim, U. & Park, Y. S. (2004). Indigenous psychologies. In C. Spielberger (Ed.), Encyclopedia of applied psychology, vol 2. 263~269. Oxford: Elsevier Academic Press.
  24. Kim, U. & Park, Y. S. (2006). Investment in children and educational miracle in Korea: An example of a new paradigm of research in educational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Plenary address at the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p.33. October 28-29, Inha University, Korea.
  25. Kim, U., Park, Y. S., Kwon, Y., & Koo, J. (2005). Values of childr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ocial change in Korea: Indigenous, cultur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4(3), Special Issues, 338~354.
  26. Kim, U., Yang, K. S., & Hwang, K. K. (Eds.) (2006).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Understanding people in context. 24~48. New York: Springer.
  27. Na, K. H. (2006). The statu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in Metropolitan City of Inchon: Goal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Plenary address at the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p.6~8. October 28-29, Inha University, Korea.
  28. Noor, N. (2006). Women and higher education in Malaysia. Plenary address at the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p.55~56. October 28-29, Inha University, Korea.
  29. Park, Y. S., & Kim, U. (2004). Paths to academic achievement, delinquency and life-satisfaction: Longitudinal analysis of influences of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cultural factors. Keynote address at the 17th International Congress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ross-Cultural Psychology. p.11~12. August 2-6. Shaanxi Normal University, Xi'an, China.
  30. Spielberger, C. (Ed.) (2004). Encyclopedia of applied psychology, vol 2. 263~269. Oxford: Elsevier Academic Press.
  31. Sumiya, S. (2006).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learning motivation and basic academic abilities: Lessons from the results of longitudinal surveys in Japan. Plenary address at the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p.67~68. October 28-29, Inha University,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