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eet Transit Network Analysis and Evaluation

노면 대중교통노선 평가틀 구축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8.05.16
  • Accepted : 2008.05.29
  • Published : 2008.07.31

Abstract

If designed properly, street transit systems can provide many useful functions with the flexibility of serving an unlimited range of locations throughout an urban area. Over the last decades urban regions of Korea cities have seen rapidly changing travel patterns and urban conditions. Under this circumstance transit planners need frequent evaluations of its street transit routes so as to restructure or modify them ratio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hanging network influences passengers, operators, as well as the city itself. However, there is no proper framework with which to evaluate the street transit network comprehensively. This paper develops and provides a framework including criteria and indicators for evaluating street transit networks. Five criteria, such as network size, network structure, service requirements, efficiency of operation and the relationship to the city are presented. A number of indicators and measures representing each criteria are then suggested. As a practical example, an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ree minibus networks in Busan are presented, utilizing the developed measures and indi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of great use for planners responsible for transit route planning, particularly for planning of new or analysis of existing routes; their comparison with routes/networks of various cities.

적절히 설계되고 계획된 버스 혹은 마을버스와 같은 노면 대중교통수단은 그 노선의 유연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도시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노면 노선망은 그 특성 상 고정된 괘도 노선망에 비해 변화가 심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노선체계개편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노선 망의 변화는 이용자, 운영자 그리고 도시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노선 망에 대한 적절한 분석과 평가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선 망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가능케 하는 유용한 평가틀의 미비한 이유로 노선설계 시 적절한 분석과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면 대중교통노선망의 분석, 비교와 평가를 위한 틀 구축을 목적으로 노선 망 크기, 노선망 구조, 노선망의 서비스수준, 노선망의 운행효율성과 도시와의 관계라는 5가지 카테고리의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각 기준에 따른 정량적인 평가 지표를 제시하였다. 지표의 적정성을 고려하여 개념적이고 이론적인 접근을 최소화하고 현실적으로 사용 가능한 지표를 정립하고자하였으며 제시된 지표를 부산광역시 3개 지자체 마을버스 노선망을 대상으로 그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기존노선의 분석과 평가, 노선설계 및 계획 시에 유용한 설계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도시 간 비교 평가 연구 등 학문적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준식 외 1명(2007) 대중교통 노선망 설계에 관한 해석적 연구의 모형 구조와 풀이,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5권 제6호, pp. 129-140
  2. 부산광역시(2005) 부산광역시 대중교통체계개선 실행용역, 최종보고서, 대한교통학회
  3. 부산광역시(2007) 시내버스 표준운송원가 산정 및 마을버스 운행 실태조사.분석 등 용역 : 제2편 마을버스운행실태조사.분석, 최종보고서, 시케인엔지니어링
  4.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0) 제2기 지하철 전면 개통에 따른 시내버스노선체계의 개편 구상, 연구보고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5. 이상용 외 1명(2003) 시내버스노선체계 평가를 위한 정량적인 지표의 설정 및 적용,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4호, pp. 29-44
  6. 이승재 외 2명(1999) Set Covering 이론을 이용한 시내버스 최적 노선망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7권 제2호, pp. 137-147
  7. 한종학 외 2명(2005) 버스 노선망 설계를 위한 평가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2호, pp. 161-171
  8. Federal Transit Administration (1995) Bus Route Evaluation Standards; A synthesis of Transit Practice, TCRP Synthesi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USA
  9. Giannopoulos, G.A. (1989) Bus Planning and Operation in Urban Areas: A Practical Guide, Gower Publishing Company, USA
  10. Tomazinis, A.R. (1975) Productivity, Efficiency and Quality in Urban Transportation Systems, Lexington Books
  11. Vuchic R.V. et al. (1988) Characteristics of Metro Networks and Methodology for their Evaluation, Presented i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Meeting,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USA
  12. Vuchic, R.V. (1970) Transit Operating Manual, DOT, Commonwealth of Pennsylvania,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