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하천의 지형태 자료와 영상정보를 이용한 수체적 시험평가

Estimation of Storage Capacity using Topographical Shape of Sand-bar and High Resolution Image in Urban Stream

  • 이현석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이근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투고 : 2008.02.13
  • 심사 : 2008.03.28
  • 발행 : 2008.05.31

초록

최근 도시하천의 환경생태학적 접근이 활발히 진행중에 있으며, 특히 하천의 유지수량 확보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하천의 지형태 현장조사 자료와 영상정보를 연계한 수체적 평가기법을 제안하였으며, 갑천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도시하천의 지형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사주와 초지에 대한 지형측량을 실시하였으며, 수체적 계산에 영향을 주는 수면부에서의 경사특성을 분석한 결과 사주는 0.024, 초지는 0.220로서 초지가 사주에 비해 약 10배 높은 경사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IKONOS 영상으로부터 사주와 수체에 대한 분광특성과 최소거리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류하였으며, 수체적 계산을 위해 Median 필터를 통한 일반화를 통해 수체적 계산을 위한 사주영역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하천내 지형태 조사자료와 영상에서 추출한 사주영역을 GIS 공간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도면화하였으며, 영상 촬영시점의 수위를 1m로 가정했을때의 수체적은 $225,258m^3$로서, 사주의 경사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수체적($251,599m^3$)에 비해 약 10.5%의 수체적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Recently,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pproaches is in progress in urban stream, especially the guarantee of instream flow become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water volume estimation method utilizing the topographical shape data obtained by field investigation and satellite image to manage the urban stream efficiently. The data obtained at Gap River is the study area are analysed and those results are as belows. First, surveying to investigate topographic shap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 is carried out. In details, the gradient characteristics from water surface to bottom in case of sand area and in case of grass area are 0.013 and 0.065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gradient characteristic of grass area is five times bigger than that of sand area. Besides, IKONOS image is classified by spectrum analysis and Minimum Distance Method and the sand area extraction method by the generalization method as Median filter is suggested to calculate water volume. Finally, mapping process on the sand area extracted from the topographical shape field data in river and satellite images is carried out by the GIS spatial analysis. And on the assumption that the water level was 1m at that time when satellite image was taken, the water volume was $225,258m^3$. It is clarified that the effect of water volume improvement was about 10.5% in comparison with water volume that had no consideration on the gradient characteristics of sand-ba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남(1995) 항공사진을 이용한 하상미지형의 판독,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 박근애, 이미선, 김현준, 김성준(2004) 항공사진을 이용한 하천형태 및 하천부지 변화추세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5D호, pp. 815-821
  3. 이민부, 김남신, 이광률, 한욱(2005) 위성영상을 이용한 대동강과 재령강의 하도변화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한국지형학회, 제12권, 제1호, pp. 91-102
  4. 장동호(2005)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홍수 전후의 하도내퇴적환경 변화탐지, 한국지형학회지, 한국지형학회, 제12권, 제3호, pp. 49-58
  5. 조명희(2005)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북한서한만 지역의 간석지 분광특성 및 변화탐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8권, 제2호, pp. 44-54
  6. 환경부(2002) 하천복원 가이드라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 Burrough, P.A. and McDonnell, R.A. (1998) Principle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8. Fonstad, M.A. and Marcus, W.A. (2005) Remote sensing of stream depths with hydraulically assisted bathymetry (HAB) models, Geomorphology, Vol. 72, pp. 320-339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5.06.005
  9. Lo, C.P. and Yeung, A.K. (2002) Concepts and Technique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492 p
  10. Marcus, W.A., Legleiter, C.J., Aspinall, R.J., Boardman, J.W., and Crabtree, R.L. (2003) High spatial resolution hyperspectral mapping of in-stream habitats, depths and woody debris in mountain streams, Geomorphology, Vol. 55, pp. 363-380 https://doi.org/10.1016/S0169-555X(03)00150-8
  11. Milton, E.J., Gilvear, D.J., and Hooper, I.D. (1995) Investigating river channel changes using remotely sensed data, In: Gurnell, A., Petts, G.E. (Eds.), Changing River Channels. Wiley, Chichester, pp. 277-301
  12. Ramasamy, S.M., Bakliwal, P.C., and Verma, R.P. (1991) Remote Sensing and river migration in western India, Int. J. Remote Sensing, Vol. 12, pp. 2597-2609 https://doi.org/10.1080/01431169108955288
  13. Robert, G.B. and David J.G. (1999) Quantifying geomorphic and riparian land cover changes either side of a large flood event using airborne remote sensing, Geomorphology, Vol. 29, pp. 307-321 https://doi.org/10.1016/S0169-555X(99)000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