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hancement of Geomorphology Generation for the Front Land of Levee Using Aerial Photograph

항공영상을 연계한 하천 제외지의 지형분석 개선 기법

  • 이근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이현석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황의호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고덕구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Received : 2007.12.20
  • Accepted : 2008.04.10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ology to link with aerial photos for advancing the accuracy of topographic survey data that is used to calculate water volume in urban stream. First, GIS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 as Inverse Distance Weight (IDW) and Kriging was applied to construct the terrain morphology to the sand-bar and grass area using cross-sectional survey data, and also validation point data was used to estimate the accuracy of created topographic data. As the result of comparison, IDW ($d^{-2}_{ij}$, 2nd square number) in Sand-bar area and Kriging Spherical model in grass area showed more efficient results in the construction of topographic data of river boundary. But the differences among interpolation methods are very slight. Image classification method, Minimum Distance Method (MDM) was applied to extract sand-bar and grass area that are located to river boundary efficiently and the elevation value of extracted layers was allocated to the water level point value. Water volume with topographic data from aerial photos shows the advanced accuracy of 13% (in sand-bar) and 12% (in grass) compared to the water volume of original terrain data. Therefore, terrain analysis method in river linking with aerial photos is efficient to the monitoring about sand-bar and grass area that are located in the downstream of Dam in flooding season, and also it can be applied to calculate water volume efficiently.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의 수체적 계산에 이용되는 지형측량자료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영상정보를 연계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사주와 초지에 대한 지형을 구축하기 위해 횡단측량자료로부터 IDW와 크리깅과 같은 GIS 공간추정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생성된 지형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검정점 측량자료와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사주에서는 2차 제곱의 IDW가 초지영역에서는 크리깅 구형모델이 하천내 지형구축에 효과적이었으나, 보간법간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천에 분포하고 있는 사주와 초지에 대한 영역을 효과적으로 고려하기 위해 최소거리법을 적용하여 영상을 분류하여 Water Level Point의 수위값을 적용하였다. 사주와 초지영역을 영상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생성한 지형자료로부터 분석한 하천내 수체적은 영상정보를 활용하지 않은 기존의 지형에 비해 사주는 20%, 초지는 13%의 정확도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영상정보를 연계한 하천지형분석기법은 홍수시 댐하류에 분포하는 사주와 초지영역에 대한 모니터링 및 하천내 수체적 계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남(1995) 항공사진을 이용한 하상미지형의 판독,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 박근애, 이미선, 김현준, 김성준(2004) 항공사진을 이용한 하천형태 및 하천부지 변화추세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5D호, pp. 815-821
  3. 양인태, 김동문, 천기선(2006)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의 퇴적/침식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4권, 제1호, pp. 37-45
  4. 이민부, 김남신, 이광률, 한욱(2005) 위성영상을 이용한 대동강과 재령강의 하도변화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한국지형학회, 제12권, 제1호, pp. 91-102
  5. 정화철, 양승룡, 김연준, 정명기, 윤상일(2002) 측량학, 구미서관
  6. 한국수자원공사(2004a) 2004년 용담댐일원 하천유량측정 수문조사 보고서
  7. 한국수자원공사(2004b) 용담시험유역에서 수리학적 하도추적에 의한 하천유량 산정
  8. 한국수자원공사(2004c) 하천유사량조사기법
  9. 환경부(2002) 하천복원 가이드라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 Burrough, P.A. and McDonnell, R.A. (1998) Principle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1. Johnston, K., Ver Hoerf, J.M., Krivoruchko, K., Lucas, N. (2001) Using ArcGIS Spatial Anlyst, ESRI Press
  12. Milton, E.J., Gilvear, D.J., and Hooper, I.D. (1995) Investigating River Channel Changes Using Remotely Sensed Data, In: Gurnell, A., Petts, G.E. (Eds.), Changing River Channels. Wiley, Chichester, pp. 277-301
  13. Ramasamy, S.M., Bakliwal, P.C., and Verma, R.P. (1991) Remote Sensing and river migration in western India, Int. J. Remote Sensing, Vol. 12, pp. 2597-2609 https://doi.org/10.1080/01431169108955288
  14. Robert, G.B. and David J.G. (1999) Quantifying geomorphic and riparian land cover changes either side of a large flood event using airborne remote sensing, Geomorphology, Vol. 29, pp. 307-321 https://doi.org/10.1016/S0169-555X(99)000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