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lip Behavior of Coated High Tension Bolted Joints

도장처리한 고장력볼트 연결부의 미끄러짐 특성에 관한 연구

  • 경갑수 (한국해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이승용 (충주대학교 토목공학부) ;
  • 김기현 (롯데건설(주) 명지대교 건설공사현장 강교팀)
  • Received : 2008.04.16
  • Accepted : 2008.07.28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Coating the high tension bolted frictional joint has been generally allowed for anti-corrosion purpose. However in case of painting on paying surface of the high tension bolt, the influence on a slip strength of the joint depending on precision of painting has remained controversial. The study thus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slip behavior on high tension bolted frictional joint when applying ceramic painting, which has been currently developed. A slip test was conducted on a high tension bolted frictional joint specimen on which ceramic painting has been applied and a slip load and slip coefficient were measured. Based on result, the safety and usability of ceramic painting-applied high tension bolted frictional joint was evaluated. As a result, a difference to some extent by specimen in terms of load-displacement when a slip occurred was observed but an average slip coefficient appeared to have exceeded 0.4, which is the design frictional coefficient set forth in the specification. To secure the safety and usability of ceramic painting-applied high tension bolted frictional joint, it'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tandard for painting as well as to revise the relevant specification.

강구조물의 현장연결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장력볼트 마찰이음은 연결부의 부식 방지를 위해 도장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마찰면에 도장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도장의 정도가 이음부의 미끄러짐 내력에 미치는 영향이 문제로 된다. 본 연구는 마찰면에 새로운 도장형식인 세라믹계 도장사양을 적용한 경우의 고장력볼트 마찰이음부의 미끄러짐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은 소정의 세라믹 도장사양을 적용한 고장력볼트 마찰이음 시험편을 대상으로 미끄러짐 시험을 실시하여 미끄러짐 하중 및 미끄러짐 계수를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세라믹계 도장사양을 실시한 고장력볼트 연결부의 안전성 및 사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미끄러짐 발생시의 하중-변위 특성은 각 도료사별로 다소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평균 미끄러짐 계수는 도로교표준시방서의 설계기준인 마찰계수 0.4를 초과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세라믹계 도장을 실시한 고장력볼트 연결부의 안전성과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세 도장조건에 대한 기준의 제정 및 시방서의 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도로교통협회(2005) 도로교표준시방서
  2. 한국도로교통협회(2005) 도로교설계기준
  3. 이승용, 경갑수, 장동일(1999) 방청처리한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릴렉세이션 및 미끄러짐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9권, 제-5호, pp. 697-705
  4. 이승용, 장동일(1998)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정적 및 피로거동에 관한 연구(I)-마찰면의 표면처리 조건의 영향.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8권, 제-4호, pp. 507-515
  5. AASHTO (2002) Standard Specification for Highway Bridges
  6. AISC (1978) Specification for the Design, Fabrication and Erection of Structural Steel for Buildings
  7. Eurocode (2003) Part 1-8, Joints
  8. ISO (1997) ISO 10721-1, Steel Structures - Part 1, Materials and Design
  9. 日本道路協會 (2002) 道路橋示方書.同解說, II鋼橋編
  10. 日本道路協會 (1980) 道路橋示方書.同解說, II鋼橋編
  11. 日本建築學會 (2002) 鋼構造設計規準
  12. 日本土木學會 (2006) 高力ボルト摩擦接合継手の設計.施工.維持管理指針(案). pp. 46
  13. 地內武文 (1990) ジンクリッチペイントを塗布した現場手部の長期載荷試驗. 首都高技報 第24號, pp. 395-396
  14. 南邦明, 森猛, 杉谷陸夫 (2004) 摩擦面の性狀が高力ボルト摩擦接 合手のすべり耐力に及ぼす影響. 土木學會第59回年次學術講演集, I-587
  15. 脇山廣三, 菊川春三, 勘坂幸弘 (1985) 摩擦面にジンクリッチペイ ントを塗裝した高力ボルト摩擦接合部のすべり實驗およびリラ クゼ一ション實驗(塗膜厚の影響について).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東海), pp. 751-752
  16. 成宮隆雄, 百瀨敏彦 (1988) 高力ボルト摩擦接合手の設計と耐力. 宮之技報, 4號, pp. 14-27
  17. 水野浩, 谷啓司 (1998) 高力ボルト手部の合理化設計に挑戰. 川田技報, Vol. 17, pp. 106-107
  18. 平井敬二, 田章, 堀園義昭 (1993) ジンクリッチペイントを施した高力ボルト摩擦接合部に關する實驗的硏究. 西日本工業大學紀要, Vol. 23, pp. 45-54
  19. 杉谷 (2005) 鋼板表面處理狀況を考慮した高力ボルト摩擦接合手のすべり係數の檢討. 法政大學大學院修士論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