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새만금호 완공에 따른 수질변화 모의

Water Quality Simulations After Completion of Saemangeum Reservoir Construction

  • 서승원 (군산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전공) ;
  • 이화영 (군산대학교 대학원 해양산업공학과)
  • 투고 : 2007.07.30
  • 심사 : 2007.11.27
  • 발행 : 2008.01.31

초록

방조제 공사 이후 제한된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통으로 물리 환경이 크게 변화된 새만금호 내부의 수질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EFDC 모델을 이용한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수동역학 모델링 결과는 새만금 외해역의 순환양상 및 호 내부의 superelevation을 재현하는 등 관측결과와 부합된다. 방조제 공사 이전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수질 모델링의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만경 및 동진강 유량과 조간대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민감도 분석도 실시되었다. 여름철 만경 동진강 입구역의 수심 평균된 DO 농도는 방조제 완공 이후 배수갑문을 통한 외해측과의 해수교환 영향력의 감소로 오염물질 배제 기능이 상실되고 상시 침수 조간대의 확대로 인한 SOD 소비의 영향으로 인해 2 mg/L 정도 까지 떨어진다. 그러나 호 중앙부는 개방된 배구갑문을 통해 소통되는 해수의 영향으로 인해 DO의 저하가 크게 심화되지 않는다. 새만금 방조제 완공 후, 만경 동진강 입구역 부근의 저층에서 급격한 산소소비로 여름철 연직방향의 DO 분포는 표저층간 6~7 mg/L의 큰 격차를 보이는 등 새만금호의 상류부 저층에서는 상당한 수질저하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Water quality simulations on the Saemangeum inner reservoir have been carried out using EFDC model to understand water quality variations caused by abrupt physical changes due to closing of tidal barrier. According to hydrodynamic simulation, model reproduces not only outer regional dynamics but also inner superelevation very well.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water quality models accomplished using observed data taken before closing. Also sensitivity tests regarding riverine discharges and tidal flats were done. Due to enlarging of always wet zone caused by super elevation on inner tidal flats, predicted DO decreases at that region as a result of SOD. Moreover shrink of mixing zone after closing of dike causes deteriorating of water quality showing DO as 2 mg/L during summer at Mangyeong and Dongjin estuaries, however it does not spread to middle part of the reservoir. Vertical stratification occurs after closing and shows vertical differences in DO concentration at least 6 mg/L to 7 mg/L in summer season. Most part of the reservoir is getting stratified and it leads to an oxigen deficit zone near bottom.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재원, 조홍연, 정신택, 권혁민(2002) 만경강.동진강 유역의 오염물질 유출모델링,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4권, 제2호, pp. 108-115
  2. 군산지방해양수산청(2005) 군.장 신항만 남측안벽(3공구)축조공사 각종실험보고서(제 1권 수치모형 실험 및 해양생태계 모델링)
  3. 김종구, 유선재(2001) 새만금지역 하구갯벌의 유기물 분해능력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10권 제5호, pp. 315-321
  4.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2004) 새만금 수질예측 모델연구(현장 적용 및 최적관리)
  5. 농업기반공사 새만금사업단(2005) 새만금 내측의 수심측량 성과 및 수질관측자료. 사신에 의함
  6. 박상근(1998) 마산만의 온도모의를 위한 와학산계수의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7. 박준건, 김은수, 김경태, 조성록, 박용철(2006) 만경강 하구역의 유기탄소 거동 및 분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한국해양환경공학회, 제9권, 제3호, pp. 131-140
  8. 서승원, 김정훈(2003) 급격한 저니토 교란이 인공하구호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5권, 제1호, pp. 39-50
  9. 서승원, 김정훈, 유시흥(2002) 배수갑문을 통해 부분 개방된 하구호에서의 순환과 수질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4권, 제2호, pp. 136-150
  10. 서승원, 조완희(2007) 새만금호 완공전후의 수동역학 변화 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제3B호, pp. 361-369
  11. 서승원, 조완희, 이화영(2006) 새만금 방조제 완공이후 해수 소통에 따른 수질 변화, 한국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12. 신범식, 김규한(2007)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갯벌의 수질정화능력 산정, 한국해양공학회지, 한국해양공학회, 제21권, 2호, pp. 42-49
  13. 유선재, 김종구(1999) 갯벌의 오염물질 정화능력평가. 한국수산학회지, 한국수산학회, 제32권 제4호, pp. 409-415
  14. 이화영(2007) 새만금호 완공에 따른 수질변화 모의,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15. 조홍연, 채장원, 전시영(2002) 진해.마산만의 성층화 및 DO 농도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 14권, 제4호, pp. 295-307
  16. 해양수산부(2005)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 요약 보고서 (4차년도), 한국해양연구원
  17. 환경부(1999) 해양환경 감시 및 평가 기술: 연안수질 평가 및 예측 기술 개발 (최종보고서), 한국해양연구원
  18. 환경부, 과학기술처(1997) 해양환경 감시 및 평가 기술: 연안수질 평가 및 예측 기술 개발(제 2단계 1차년도 연차보고서), 한국해양연구원
  19. Bowie, G.L., Mills, W.B., Porcella, D.B., Campbell, C.L., Pagenkopf, J.R., Rupp, G.L., Johnson, K.M., Chen, P.W.H., Gherini, S.A., and Chamberlin, C.E. (1985) Rates, constants and kinetics formulations in surface water quality modeling (Secodnd edition), Report EPA/600/3-85/040, U.S. EPA, Athens, GA, USA
  20. Cerco, C.F. and Cole, T.M. (1994) Three-dimension eutrophication model of Chesapeake bay: Volume 1, main report. Technical Report EL-94-4, U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21. Craig, P.M. (2004) User's manual for EFDC_Explorer : A pre/post processor for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22. DiToro, D.M. and Fitzpatrick, J.J. (1993) Chesapeake bay sediment flux model, contact report EL-93-2, U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23. Gladstone, W., Hacking, N., and Owen, V. (2006) Effects of artificial openings of intermittently opening estuaries on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of the entrance barrier.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7, pp. 708-720 https://doi.org/10.1016/j.ecss.2006.01.008
  24. Hamrick, J.M. (1992)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mputer code: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aspects, SRAMSOE #317.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Gloucester Point, VA
  25. Nakata, K. and Hata, K. (1994) The estimation of water purification on tidal flat, Journal of water environment technology, Vol. 17, No. 3, pp. 158-166(in Japanese)
  26. Odum, H.T. (1985) self-organization of ecosystem in marine ponds receiving treated sewage, UNC Sea Grant SG-85-04
  27. Park, K., Kuo, A.Y., Shen, J., and Hamrick, J.M. (1995)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eutrophication model (HEM-3D): description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 process submodels, SRAMOSE No. 327, VIMS/SMS, SWM, VA
  28. Smith, D.E., Leffler, M., and Mackiernan, G. (1996) Oxygen dynamics in the Chesapeake bay: A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Maryland Sea Grant Book
  29. Zheng, L., Chen, C., and Zhang, F.Y. (2004)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model in the Satilla River Estuary, Georgia. Ecological modelling, Vol. 178, pp. 457-482 https://doi.org/10.1016/j.ecolmodel.2004.0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