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Land Use Considering Regional Economic Sphere

광역경제권 설정을 고려한 지역경제성장과 토지이용에 관한 공간연관성 분석

  • 최열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현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08.06.18
  • Accepted : 2008.07.30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association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land use considering 5 plus 2 regional economic sphere (Capital region zone, Chungchung zone, Honam zone, Daekyung zone, Dongnam zone and kangwon zone, Jejudo zone) in Korea. The factor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re GRDP and the rate of self-finance and land use, especially industrial and manufactering zone. The data for this research are obtain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site etc. For this, the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SUR), as a kind of simultaneous equation model, is employed as empirical analysis.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patial association of the capital region zone and other zones is complementary. but Honam zone and Dongnam zone or Daekyung zone is competitive. We conclude from this study that the policy of regional development will be considered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land use. Also, this study found that Economic growth of regional economic sphere will be achieved from that of cities within zone and the results will be helpful to policy makers and regional planners when establishing regional planning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5+2 광역경제권' 설정에 따라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동남권, 강원도, 제주도 등의 7개 권역간 그리고 권역내 도시들간의 공간연관성을 지역총생산(GRDP)과 재정자립도, 그리고 토지이용(land use)중에서 경제성을 띄는 공업 및 상업지역비율을 분석변수로 하고 SUR방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먼저, 1인당 GRDP에 관한 광역경제권역간 공간연관성에서 수도권은 대체로 충청권과 강원도를 제외한 나머지 권역간 그리고 권역내 도시들간 공간관계는 전반적으로 보완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재정자립도에 관한 권역간 공간연관성은 1인당 GRDP와 거의 유사한 공간연관성을 보였지만 권역간에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권역은 다소 적었다. 한편 토지이용측면에서 공업지역비율에 관한 권역간 공간연관성은 대경권과 동남권이 보완관계를 나타내었다. 권역내 도시들 사이에는 대체로 경쟁관계보다는 보완관계 양상을 띄었다. 예상과는 달리 상업지역비율에 대한 권역간, 권역내 공간관계는 공업지역비율에 대한 공간연관성과는 유사함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광역경제권설정이 권역간 뿐만아니라 권역내 도시들간의 공간연관성을 고려한 권역별 지역경제공간 창출 그리고 균형잡힌 국토 공간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수, 송석현(2003) 매체와 산업광고비 예측에 관한 방법론: SUR와 패널분석을 중심으로, 광고학 연구, pp. 194-196
  2. 김해경, 이명숙(2005) 경제 및 금융자료를 위한 시계열 분석, 경문사, pp. 449-450
  3. 윤융희(1998) 영호남지역갈등의 원인과 감소방안, 사회과학, 제10집, 경북대학교, pp. 1-4
  4. 윤재호(2002) 전국 도시근로가구의 집계교통수요함수 분석, 국토계획, 제37권, 제4호, p. 168
  5. 윤진우, 김의준, 박승규(2003) 한국의 지역간 경쟁 및 보완관계 분석, 국토계획, 제38권, 제7호, pp. 217- 226
  6. 이희연(1983) 지역성장과정에 있어서의 상호의존성체계, 지리학, 제28호, pp. 18-34
  7. 이희연(1984) 지역성장의 공간적 이론과 지역개발정책, 국토계획, 제17권, 제1호, pp. 204-221
  8. 임석(2006) Impa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Regional Growth,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 주재욱(2001) 도시 토지이용이 도시성장과 소득배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0. 최열, 김현(2008) 2SLS를 이용한 지역재정 및 예산과 성장잠재력간의 상관분석, 국토계획, 제43권, 제4호, pp. 47-59
  11. 최태림, 김의준, 박승규(2004) 지역경제성장의 공간연계성 분석, 국토계획, 제39권, 제3호, pp. 111-118
  12. Harry. W. Richardson (1973) Regional Growth Theory, Macmillan, pp. 86-88
  13. Magalhaes, Andre, M. sonis and Geffrey J.D. Hewings (2001) "Regional Competition and Complementarity reflected in relative Regional Dynamics and Growth of GSP: a Comparitive Analysis of the Northeast of Brazil and the Midwest States of the U.S.", Structure and Structural Change in Brazilian Economy, Aldershot: Ashgate, pp. 120-150
  14. Marquez, Miguel A., Julian Ramajo and G.J.D. Hewings (2002) Regional inter connections and growth dtnamics : The spanish case, Regional Economic Applications Laboratory, University of Illinois
  15. Peter W. J. Batey (2000) Regional Competition, Springer
  16. Robert J. Stimson (2006)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Springer
  17. Suahail Nazara, Geoffrey J.D. Hewings, Michael Sonis (2006) An exploratory analysis of hierarchical spatial interaction : the case of regional income shares in Indonesia, Journal of Geograph system, 8, pp. 253-268 https://doi.org/10.1007/s10109-005-0016-3
  18. Virendra, K. (1987)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Equations Model, Marcel Dekker, pp. 6-9
  19. Zeller, A (1962) An Efficient Method of Estimating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s and Test for Aggregation Bias.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