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ng System for Responsible Days of Schedule Delay for Construction Projects through Time Impact Analysis

건설공사 공기지연 영향분석을 통한 책임일수 산정체계 구축방안

  • Received : 2008.03.17
  • Accepted : 2008.07.12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Recently, construction projects are being gradually changed to large projects with complicated work processes. As a result, claims are increasing as well. Of these, the claims by delayed construction duration are given much weight in the general construction claims.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es to estimate damages due to delay are carried out in research institutes by analyzing the causes of schedule delay. A system to easily estimate responsible days by analyzing the complicated processes needs for project manager.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based on the time impact analysis method, which can utilize the consequential analytical method with the consideration of reduced construction period. The suggested methodology is verified by comparing with actual data of case study by the computerized system for estimating the responsible days.

최근의 건설공사는 복잡한 공정으로 이루어진 대형공사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클레임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공기지연을 사유로 한 클레임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지연사유를 분석하여 책임일수를 산정하는 기법들이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복잡한 지연 분석과정을 자동화하여 책임일수 산정결과를 손쉽게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이 있는 시간경과에 따른 분석방법을 기반으로 결과론적 분석방법과 단축일수를 고려한 방법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책임일수 산정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례 데이터를 적용하여 실제 분석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민, 이재섭(2004) 생산성을 고려한 공기지연 분석방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0권, 제4호, pp. 153-160
  2. 권정민, 이재섭(2003) 계층적 계획프로세스를 이용한 공기지연 분석방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8호, pp. 187-194
  3. 김동진, 이재섭, 이현수(1998) 동시발생 공기지연을 포함한 건설 공사 공기지연 클레임 분석방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1호, pp. 1139-1146
  4. 김동진 외 4명(1999) 건설공사 공기지연 일수 분석방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5권, 제9호, pp. 113-122
  5. 김영재(1999) 건설공사 공기지연 클레임의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5권, 제7호, pp. 117-127
  6. 김영재, 김경래, 신동우(2003) Delay Section 개념활용을 통한 공기지연 클레임의 지연주체별 지연일수 분석모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7호, pp. 187-194
  7. 김영재 외 4명(2004) 건설공사 공기지연 분석방법의 사례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5권, 제6호, pp. 129-137
  8. 김영재 외 3명(2004) 건설공사 동시발생 공기지연 분석방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0권, 제6호, pp. 141-148
  9. 김종한, 김경래(2007) 건설공사 공기지연 책임구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시.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릭학회, pp. 60-67
  10. 모용운(2001) 외국의 공기지연 분석기법 비교를 통한 국내 건설 공사용 공기지연 분석모델의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pp. 7-8
  11. 모용운, 김영재, 김경래(2002) 국내 공공건설공사 공기지연 분석 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2호, pp. 131-138
  12. 박준기(1999) 건설클레임론. 대한건설협회, 일간건설사, pp. 291-293
  13. 이상범, 이영민(2003) 국내 건설프로젝트의 공기지연에 의한 지체상금 산정방법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5호, pp. 145-152
  14. 이재섭(2005) 계약당사자 모두에게 책임이 있는 공기지연의 해석 방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1권, 제8호, pp. 165-172
  15. 이재섭(2006) 작업 생산율을 고려한 공기지연 분석방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2권, 제9호, pp. 230-210
  16. 이정호, 김정훈, 성낙원, 김영석(2002) 웹 기반의 공기지연 클레임 분석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12호, pp. 133-142
  17. 장봉조 외 5명(2007) 발주자 손실기반 지체상금 산정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8권, 제1호, pp. 150-158
  18. 한승헌(2006) 대형 건설사업의 공기지연분석: 경부고속철도 건설사업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5호, pp. 839-848
  19. 한종관, 진상윤, 김예상(2003) 시공자 중심의 주요 공종별 공기지연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3호, pp. 163-170
  20. Assaf, S.A, Mohammed Al-Khalil and Muhammad Al-Hazml (1995) Causes of delay in large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J.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ASCE, Vol. 11, No. 2, pp. 45-50 https://doi.org/10.1061/(ASCE)0742-597X(1995)11:2(45)
  21. Bubshait, A.A. and Cunningham, M.J. (1998) Comparison of analysis methodologies. J.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4, No. 4, pp. 315-322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8)124:4(315)
  22. George R. Stumpf, PE (2000) Schedule delay analysis, Cost Engineering, Vol. 42, No. 7, pp. 32-43
  23. Tarek Hegazy and Kehui Zhang (2005) Daily windows delay analysis. J.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31, No. 5, pp. 505-512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5)131:5(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