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통연계환승 보행자 컨시어지를 위한 공간 DB 구축 방안 - 광명역 환승센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Geospatial DB for the Connectivity Transfer Pedestrian Concierge Service

  • 강경훈 ((주)한국공간정보통신 한국공간정보연구소) ;
  • 이승택 ((주)한국공간정보통신 첨단교통물류사업본부) ;
  • 오승 ((주)한국공간정보통신 한국공간정보연구소) ;
  •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투고 : 2008.06.23
  • 심사 : 2008.07.22
  • 발행 : 2008.09.30

초록

환승센터내 보행공간은 이용자들의 다양한 활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이용자가 보행에 소모되는 통행비용이 증가하게 되면 환승센터로의 접근을 기피하게 되고 이는 환승센터의 이용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소로서 작용될 수 있다. 이에 환승센터를 이용하는 보행자에게 실시간으로 의미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보행 이동을 보조하여 환승을 목적으로 한 이용자의 혼란과 통행비용에 관한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면 연구의 가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를 비롯하여 우리나라에서도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전제로 하여 환승센터내 보행자에게 의미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방안과 이를 공간지도로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 Pedestrian Space in the transit transfer center is compositively made of a variety of activities for pedestrians. The pedestrians avoid access to the transit transfer center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transit transfer center is obstructed as the travel cost of the pedestrians increases. This study provides the pedestrians using the transit transfer center with the significant real-time routing service and helps the movement of pedestrians to minimize the economical loss considering the travel cost and congestion of the pedestrians in the transit transfer cent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lution to construct a spatial map for the pedestrians in the transit transfer center to receive the significant real-time routing service based on Ubiquitous technique which is big issue around the worl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소연(2003) 복합상업시설 내부에서의 공간구조분석과 길찾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2. 김혜영, 전철민(2007) Space Syntax를 이용한 인식성 위주의 보행네비게이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537-544
  3. 송제룡(1999) 경기도 대중교통 환승체계 개선방안 연구, 정책보고서, 경기개발연구원
  4. 안은희(2006) 대규모 상업시설물의 환경특성과 길찾기, 한국학술정보(주)
  5. 윤현정, 김영욱(2002) 지하철 역사 내 공용공간의 공간구조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Vol. 18, No. 9, pp. 187-194
  6. 이인성, 김현옥(1998) 도시주거지 보행경로 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Vol. 33, No. 5, pp. 117-129
  7. 이종언, 손봉수, 김형진(2008) 도심 쇼핑을 위한 보행 경로탐색 알고리즘 개발,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Vol. 28, No. 2, pp. 147-154
  8. 최윤경, 민병호(1998) 공간구조와 학습이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Vol. 14, No. 7, pp. 53-61
  9. Alasdair Turner (2004) Depthmap : A Researcher's Handbook, Bartlett School of Graduate Studies, UCL, Lodon
  10. Hart, P., Nilsson, N., and Raphael, B. (1968), A formal basis for the heuristic determination of minimum cost paths,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Science and Cybernetics, SSC-4, 2(July), pp. 100-107
  11. Jiang, B. and Claramunt, C. (2002) Integration of space syntax into GIS : new perspectives for utban morphology, Transactions in GIS, Vol. 6, No. 3, pp. 295-309 https://doi.org/10.1111/1467-9671.00112
  12. Micheal O'Neil (1991) A biologically based on model of spatial cognition and wayfind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 11, pp. 299-320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104-5
  13. Weisman, G.D. (1979) Wayfinding in The Built Environment : A Study in Architectural Legibility, PH.D., The University of Michigan, USA
  14. Weisman, J. (1981) Evaluation architectural lrgibility : Wayfinding in the built environment, Environment And Behavior, Vol. 13, pp. 189-204 https://doi.org/10.1177/001391658113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