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odified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ModKIMSTORM) (II) - Application and Analysis -

격자기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의 개선(II) - 적용 및 분석 -

  • 정인균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신형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박진혁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
  • 김성준 (건국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08.07.28
  • Accepted : 2008.09.08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This paper is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ModKIMSTORM (Modifi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by applying it to Namgangdam watershed of $2,293km^2$. Model inputs (DEM, land use, soil related information) were prepared in 500 m spatial resolution. Using five typhoon events (Saomi in 2000, Rusa in 2002, Maemi in 2003, Megi in 2004 and Ewiniar in 2006) and two storm events (May of 2003 and July of 2004),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by comparing the simulated streamflow with the observed one at the outlet of the watershed. The Pearson'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y E, the deviation of runoff volumes $D_v$, relative error of the peak runoff rate $EQ_p$, and absolute error of the time to peak runoff $ET_p$ showed the average value of 0.984, 0.981, 3.63%, 0.003, and 0.48 hr for 4 storms calibration and 0.937, 0.895, 8.08%, 0.138, and 0.73 hr for 3 storms verification respectively. Among the model parameters, the stream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was the most sensitive for peak runoff and the initial soil moisture content was highly sensitive for runoff volume fitting. We could look into the behavior of hyrologic components from the spatial results during the storm periods and get some clue for the watershed management by storms.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을 개선한 ModKIMSTORM을 유역면적 $2,293km^2$의 남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공간해상도 500 m의 GIS 입력자료(DEM, 토지피복도, 유효토심도, 토양종류도 등)를 구축하였으며, 5개 태풍(2000년 사오마이, 2002년 루사, 2003년 매미, 2004년 메기, 2006년 에위니아) 및 2개 강우사상 (2003년 5월, 2004년 7월)을 적용하여 모형을 검보정하였다. 모형의 자동평가 기능을 이용하여 모의유량을 실측유량과 비교하였으며, 유역의 출구지점에 대한 매개변수 보정결과 결정계수($R^2$), 모형효율(E), 유출용적편차($D_v$), 첨두유량의 상대오차 ($EQ_p$), 첨두시간의 절대오차($ET_p$)의 평균은 각각 0.984, 0.981, 3.63%, 0.003, 0.48 hr로, 검정에서는 $R^2$, E, $D_v$, $EQ_p$, $ET_p$의 평균이 각각 0.937, 0.895, 8.08%, 0.138, 0.73 hr로 분석되었다. 매개변수와 관련하여 초기토양수분함량이 유출용적에 민감하였고, 하천조도계수가 첨두유량에 가장 민감한 변수로 나타났다. 호우기간동안의 공간적인 결과로부터 수문학적 요소의 작용을 살펴봄으로써 호우시 유역관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준(1998) 격자기반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개발(II) -적용 예(연천댐유역을 대상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1권, 제3호, pp. 309-316.
  2. 김성준(2001) 분포형 수문. 수질 모델링의 최근 동향과 활용방안,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6호, pp. 33-45.
  3. 국토해양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 http://www.wamis.go.kr
  4. 국토해양부, 물관리정보유통시스템(WINS), http://www.wins.go.kr
  5. 박진혁, 강부식(2006) 댐유역 홍수예측을 위한 GIS기반의 분포형모형과 집중형모형의 유출해석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9권, 제3호, pp. 171-182.
  6. 정인균, 김성준(2003) 효과적인 유역 및 하도망추출을 위한 DEM전처리 방법의 비교,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3D호, pp. 393-400.
  7. 홍준범, 김병식, 윤석영(2006) VfloTM 모형을 이용한 물리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성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6B호, pp. 613-622.
  8. Chow, V.T., Maidment, D.R., and Mays, L.W. (1988) Applied Hydrology. McGraw-Hill, New York, pp. 20-52.
  9. Hellweger, F.L. (1997) AGREE-DEM Surface Reconditioning System. University of Texas, http:// www.ce.utexas.edu/prof/maidment/gishydro/ferdi/research/agree/agree.html
  10. Rawls, W.J., Brakensiek, D.L. and Saxton, K.E. (1982) Estimation of soil water properties. Transactions of the ASAE. Vol. 25, pp. 1316-1320, 1328p. https://doi.org/10.13031/2013.33720
  11. Refsgaard, J.C. (1997) Parameterisation,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198, pp. 69-97. https://doi.org/10.1016/S0022-1694(96)03329-X
  12. Vieux, B.E. (2004) Distributed Hydrologic Modeling Using GIS. 2nd Edi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pp. 9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