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Effects of Road Traffic Noise by The Noise Barrier Facilities Using a Noise Map Simulation

소음지도를 활용한 방음시설별 도로교통소음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 정재훈 (경원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 박진호 (경원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 권우택 (을지대학교 보건환경과학부) ;
  • 김형철 (경원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Received : 2008.05.26
  • Accepted : 2008.08.13
  • Published : 2008.08.01

Abstract

Since 1970's rapid urbanization and economic growth, the population was highly increased and residential type was changed from single detached house to high density and high-rise apartment. Recently more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generates more traffic volumes and it makes spatial concentration. The highly traffic volumed road and high residential building was constructed nearby, it occurs noise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ree type noise barrier between noise source and receiver using a noise map simulation. Three types were composed as road side planting trees, building side planting trees and noise barrier wall. Planting trees is less effective than noise barrier wall as a noise barrier. And they are all effective under 3 stories than over 5 stories, especially noise barrier function can't work over 5 stories.

Keywords

References

  1. 고준희 외1, 2006, 소음지도를 이용한 도시 교통 소음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48-53.
  2. 국립환경연구원, 1994,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GIS 활용기법에 관한 연구, 35-48.
  3. 김경우 외3, 2001, 식생 방음벽의 개발현황 및 적용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33-138.
  4. 김동완 외1, 1996, 공동주택 방음벽의 차음효과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공과대학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17-26.
  5. 김명용, 2004, 도로교통소음 관련법제의 개선방안, 한국법제연구원, 11-12.
  6. 김선우 외4, 2000, 방음벽에 의한 아파트 단지내 소음감쇠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6(8), 135-142.
  7. 김병희 외3, 2003, Simulated Annealing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음벽의 최적 설계,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020-1025.
  8. 김성균 외1, 2005, 도로변 방음 수림대 유형별 시뮬레이션 모형개발 및 평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1(2), 통권27호, 59-69.
  9. 김형철, 2007, 시흥시 도로교통 방음시설별 성능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시흥환경기술개발센터, 66-69.
  10. 김형철 외2, 2007, 소음지도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로교통소음 개선방안 연구, 한국음향학회지, 26(7), 353-360.
  11. 김환길, 1995, 도로 교통 소음에 관한 실태 및 저감 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12. 김흥식 외2, 1995, 방음벽 종류별 반사음 저감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건축음향 소음진동(대한건축학회 국제세미나).
  13. 박인선, 2003, GIS를 이용한 환경소음지도 개발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7-37.
  14. 오양기 외2, 2004, 방음터널 단면형상에 따른 소음저감 예측 및 특성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8), 181-188.
  15. 오진우, 2005, 국내의 소음지도 제작과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8-18.
  16. 이시원, 2006, 소음영향평가 개선을 위한 소음지도의 적용 방안, 서울시립대.
  17. 임영빈 외1, 1996, 현장측정을 통한 공동주택단지 인접도로변 방음벽의 차음성능,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8), 185-193.
  18. 정성수 외3, 2003, 축척모형실험에 의한 방음벽 보강용 수림 효과 연구, 한국소음진동공학회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193-1196.
  19. 조대승, 2006, GPS 연동 소음계측 결과와 GIS 정보를 이용한 소음지도 작성 시스템,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회지, 16(1), 통권 제79호, 18-22.
  20. 최정순, 2000, 도로교통소음의 수학적 예측과 소음공간의 오염도분석, 울산대학교.
  21. 최형일, 1995, 도로변 인구밀집지역의 교통소음에 관한 연구, 환경공해연구 학술 논문집, 1-32.
  22. 한국표준원, 2002, KS A ISO 1996-2 ; 음향-환경소음의 표시 및 측정방법-제2부 : 적절한 토지 이용을 위한 음향데이터의 수집.
  23. Braunstein+Berndt GmbH/SoundPLAN LLC, 2005, "SoundPLAN User's Manual", 63-230.
  24. Morris, Noel A., 2007, "Queensland Rail An example in effective noise mapping and noise control implementation for existing rail operations", Environmental Expert.
  25. 小野測器, 2002, SoundPLANによる予測結果と 音測定結果の-建設工事音予測手法 ASJ CN-Model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