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iterature study on Emotional Intelligence

정서지능(情緖知能)에 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 Kim, Hy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Jang-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김현정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장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oriental medical concep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develop the ways of treatment. Methods: We investigated the literature of the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about an emotional intelligence. Results: Regarding an emotional intelligence from the oriental medicine, it will follow in attributes of five elements(五行), five emotions(五志), seven passions(七情). Due to the five emotions and seven passions will take to control themselves with following the principle of poles at interinhibition, and intergeneration among the five phases. There is a possibility of trying to apply in reflection control of emotion(partIV). Five emotions(五志), depression theories(鬱症), and a control of theories of seven passions(七情調節) will be applied an emotional stability and an emotional control.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oriental medicine has more merits better than western medicine about emotional intelligence, because oriental medicine consider that the body and mental is an inseparable relation. The further study is necessary with the concept formulation and a historical investigation about an emotional intelligence.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정서지능의 한의학적 개념의 정립하고,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도구: 우리는 정서지능과 관련된 문헌을 분석 및 조사하였다. 결과: 한의학에서 정서지능은 오행, 오지, 칠정의 이론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오지와 칠정은 오행상승과 오행상극의 이론에 따라 정서조절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서조절 영역 IV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오지, 울증, 칠정조절은 정서의 안정과 정서조절에 적용시킬 수 있다. 결론: 이 연구는 한의학이 서양의학보다 정서지능에 관하여 더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한의학은 정신과 육체를 불가분의 관계로 보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정서지능의 한의학적 개념의 정립과 문헌적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