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gic Approach of Dredging the Port of Busan with the Change of Global Port Logistics Circumstances: Focusing on Financial Validity

항만물류환경 변화에 따른 부산항의 증심 준설 전략 - 재무적 타당성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financial validity of dredging the port of Busan with the change of global port logistics circumstances. In order to do so, NPV, IRR, B/C ratio, DPP techniques are adopted. The whole dredging at Northern port area is supposed to be negative at the depth of 16m water. Based upon its financial validity, however, the priority is Shinsundae (option 1) followed by Shinsundae (option 1) and Gamman (option 1), Shinsundae (option 1) and Gamman (option 2), Shinsundae (option 2) and Gamman (option 2), Shinsundae (option 2) and Gamman (option 2) and ShinGamman in sequence. In addition to this, Busan New port is considered to be the positive financial validity at the dredging of 16m water depth. This is because the ultra containerships of over 8,000TEU are trying to call at the port and Hanjin shipping and Hyundai Merchant shipping companies which are now the most significant customers in Northern port are scheduled to divert it.

본 연구는 선박 초대형화에 따른 부산항의 대응전략 중 증심준설 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와 달리 재무적 타당성에 근거한 증심준설 전략을 수립함으로서 부산항의 동북아 물류중심화 계획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국제 항만물류의 환경변화를 살펴본 후 부산항의 증심여건과 각 부두별 증심준설 비용 및 수익을 추정하여 부두별/시나리 오별 재무적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재무적 타당성 분석결과, 부산 북항 전체를 16m로 증심하는 것은 그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며, 증심 우선순위는 신선대(1안), 신선대(1안)와 감만(1안), 신선대(1안)와 감만(2안), 신선대(2안)와 감만(2안), 신선대(2안)와 감만(2안) 및 신감만(1안)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항의 경우, 선박의 초대형화 추세를 고려할 때 16m로의 증심은 재무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항 전체 준설의 경우, 분석기간을 30년으로 확장하면 20만 TEU물량증가효과 (또는 물량방어효과)에 대해서도 재무적 타당성이 확보되며, 초대형선 입출항 가능 선석이 30개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20만 TEU 정도의 물량증가효과 (또는 물량방어효과)는 충분히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