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Analysis of the Hallasan National Park in a Jeju Island Biosphere Reserve: Fragmentation Pattern

제주 생물권보전지역 내 한라산국립공원의 경관분석 : 단편화 현상

  • 강혜순 (성신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김현정 (성신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장은미 ((주)한국공간정보통신)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Roads are an indicator of anthropogenic activity causing ecosystem disturbances and often lead to habitat fragmentation, habitat loss, and habitat isolation. The Hallasan National Park(153.4$km^2$) on Jeju Island being distinguished for its unique geology, topography, and biota has also been designated as a core area of UNESCO Man and the Biosphere(MAB) Reserve. Although the high conservation value of this park has contributed to a rapid growth of tourists and road construction, landscape changes due to roads have not been examined yet. We used GIS systems to examine the fragmentation pattern caused by roads, in relation to its zonation, elevation, and vegetation. When a buffer was applied to roads(112m width for paved roads and 60m width for both legal and illegal trails), the park consisted of 100 fragments. The ten fragments generated after applying buffer to only paved roads and legal trails ranged from $0.002km^2$ to $38.2km^2$ with a mean of $14.2km^2$, and about 7% of both nature conservation zone and nature environment zone of the park were edge. Fragments in both east and west ends of the park and around the summit exhibited relatively high shape indices with means of 5.19(for 100 fragments) and 7.22(for 10 fragments). All five legal trails are connected to the pit crater of the mountain and vegetation changed from broadleaf forests and conifer forests to grasslands with elevation, consequently resulting in dramatic fragment size reduction in grasslands at high elevation, in particular above 1,400m, where endemic and alpine plants are abundant. These results show that in Hallasan National Park the risks of habitat deterioration and habitat loss due to fragmentation may be more severe in the nature conservation zone dominated by Baengnokdam than in the nature environment zone. Therefore, current road networks of the park appear to fall short of the goal of the national park for ecosystem conservation and protection. Considering that the entire Hallasan National Park also serves as a MAB core area, conservation efforts should focus, first of all, on park rezoning and road management to mitigate habitat fragmentation.

도로는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인간 활동의 지표이며 흔히 서식지 단편화, 서식지 축소, 서식지 고립을 유발한다. 제주도의 한라산국립공원(면적=153.4$km^2$)은 지형, 지질, 생물상의 특이성이 높으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MAB)의 핵심지역으로도 중복 지정되어 있다. 공원의 이러한 높은 보전가치가 많은 탐방객과 도로건설을 유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로 인한 경관의 변화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활용하여 한라산국립공원의 도로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 양상을 공원 용도지구, 해발고도, 식생에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포장도로와 법정 비법정탐방로에 각각 112m, 60m 버퍼를 적용시킨 결과 한라산국립공원은 총 100개의 단편으로 나뉘었다. 포장도로와 법정탐방로만을 고려했을 때 드러난 10단편의 면적은 $0.002km^2-38.2km^2$(평균면적=14.2 $km^2$)에 이르렀고 자연보존지구와 자연환경 지구 모두에서 각기 약 7%가 가장자리로 판정되었다. 이들 단편의 형태지수 평균은 5.19(100단편 중), 7.22(10단편 중)이었지만 공원의 동서 양단과 정상부근에 있는 단편들의 형태지수가 보다 높았다. 5개의 법정탐방로가 모두 분화구까지 연결되어 있고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엽수림, 침엽수림, 초지로 식생이 전환되기 때문에 높은 고도, 특히 고유식물과 고산식물이 많은 고도 1,400m이상의 초지에서 서식지 면적이 현저하게 감소했다. 이런 결과는 한라산국립 공원도 도로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를 겪고 있으며, 단편화로 인한 서식지 악화와 서식지 소실의 위험이 공원의 자연환경 지구보다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을 중심으로 하는 자연보존지구에서 더 높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라산국립공원의 현 도로망은 생태계 보전과 보호라는 국립공원의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한라산국립공원 전체가 또한 MAB 핵심지역임을 고려한다면, 공원 용도지구의 재설정과 단편화를 완화시키기 위한 공원 내 도로관리에 보전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효(2003) 한라산 - 오름의 왕국·생태계의 보고. 돌베개, 파주, 271쪽
  2. 강혜순, 김진영, 박경(2005) 야생동물의 행동권을 고려한 설악산국립공원과 오대산국립공원간 서식지 연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 150-161
  3. 강혜순, 백경진( 2005) 멸종위기종 반달가슴곰의 현장 내 복원을 위한 행동권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28: 395-404
  4. 고정군(2006)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훼손 및 복구현황(한라산연구소, '한라산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 249-274쪽), 제주
  5. 공우석(1998) 한라산 고산식물의 분포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33: 191-208
  6. 구경아, 박원규, 공우석(2001) 한라산 구상나무의 연륜연대학적 연구-기후변화에 따른 생장 변동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4: 281-288
  7. 국립공원관리공단(2007) 보도자료 - 지리산 등 4개 국립공원IUCN 카테고리 II로 변경 인증. 8쪽
  8. 국토지리정보원(2003) 수치지도
  9. 김보현(2000) 도로 건설이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지리산국립공원 성삼재관통도로를 사례로.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115쪽
  10. 김은식(1994) 환경변화와 고산지대 수목생장 쇠퇴현상과의 상관성 해석. 한국과학재단 연구보고서 KOSEF 921-1500-081-2. 89쪽
  11. 김종원, 남화경(1996) 한국 국립공원의 생태학적 특성 분석과 보전 전략. 한국생태학회지 19: 93-104
  12. 김찬수(2006)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식물(한라산연구소,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 109-137쪽). 제주
  13. 김태호(2006) 한라산 아고산 초지대 나지의 확대속도와 침식작용. 대한지리학회지 41: 657-669
  14. 목영규(2003) 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의 재설정에 관한 연구: 지리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0쪽
  15. 백경진, 박경, 강혜순(2005) 지리산 국립공원 내 도로에 의한 산림단 편화.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 63-72
  16. 서경주(1996) 식생지수를 이용한 설악산 국립공원 내 인간활동이 식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9쪽
  17. 오순자, 고정군, 고석찬(2000) 한라산국립공원 지역의 식생과 식물상(제주대학교, '환경연구논문집', 8: 39-49). 제주
  18. 이영노, 이명보(1959) 한라산 화구내 식물과 토도 식물. 대한약학회지 4: 21-34
  19. 임양재, 백광수, 이남주(1991) 한라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291쪽
  20. 임종환,우수영,권미정,천정화,신준환(2006) 한라산 구상나무 건전개체와 쇠약개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광합성 능력과 수분이용 효율. 한국임학회지 95: 705-710
  21. 제주도(2000) 한라산 기초조사 및 보호관리계획수립 보고서. 268쪽
  22. 제주도(2005)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 357쪽
  23. 제주도(2006) 한라산국립공원 내 포장도로 현황도
  2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6)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II. 390쪽
  25. 한라산국립공원(2006) 2006 한라산국립공원사업계획. 112쪽
  26. 환경부(1991) 전국녹지자연도 정밀조사
  27. 환경부(2003a) 자연환경현황도
  28. 환경부(2003b) 제1차 자연공원 기본계획(2003-2012). 48쪽
  29. 환경부(2006) 환경백서. 792쪽
  30. 현원학(2003) 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의 지질.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쪽
  31. Battisse,M.(1997) Biosphere reserves: a challenge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Environment 39: 7-33
  32. Collinge, S. K.(1996) Ecological consequences of habitat fragmentation: implications for landscape architecture and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6: 59-77 https://doi.org/10.1016/S0169-2046(96)00341-6
  33. Davies, K. F., C. R. Margules and J. F. Lawrence(2000) Which traits of species predict population declines in experimental forest fragments? Ecology 81: 1450-1461 https://doi.org/10.1890/0012-9658(2000)081[1450:WTOSPP]2.0.CO;2
  34. ESRI(2004) Arc/Info Users Guide. Ver. 9.0.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Redlands, California
  35. Fahrig, L.(2003) Effects of habitat fragmentation on biodiversity.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34: 487-515 https://doi.org/10.1146/annurev.ecolsys.34.011802.132419
  36. Forman, R. T. T.(2000) Estimate of the area affected ecologically by the road system in the United States. Conservation Biology 14: 31-35 https://doi.org/10.1046/j.1523-1739.2000.99299.x
  37. Forman, R. T. T. and M. Godron(1986)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640 pp
  38. Hanski, I.(1997) Metapopulation dynamics: from concepts and observations to predictive models. In: I. Hanski, and M. E. Gilpin(eds.),Metapopulation Biology: Ecology, Genetics, and Evolu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pp. 69-91
  39. Hawbaker, T. J. and V. C. Radeloff(2004) Roads and landscape pattern in northern Wisconsin based on a comparison of four road data sources. Conservation Biology 18: 1233-1244 https://doi.org/10.1111/j.1523-1739.2004.00231.x
  40. Jacquemyn, H., J. Butaye and M. Hermy(2003) Impacts of restored patch density and distance from natural forests on colonisation success. Restoration Ecology 11: 417-423 https://doi.org/10.1046/j.1526-100X.2003.rec0237.x
  41. Kim, M. H.(1991)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in Cheju Island. Korean Journal of Ecology 14: 39-48
  42. Kruess, A. and T. Tscharntke(1994) Habitat fragmentation, species loss and biological control. Science 264: 1581-1584 https://doi.org/10.1126/science.264.5165.1581
  43. Lennartsson, T.(2002) Extinction thresholds and disrupted plant-pollinator interactions in fragmented plant populations. Ecology 83: 3060-3072
  44. Li, Q., J. Chen, B. Song, J. J. LaCroix, M. K. Bresee and J. A. Radmacher(2007) Areas influenced by multiple edges and their implications in fragmented landscap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42: 99-107 https://doi.org/10.1016/j.foreco.2006.11.022
  45. Lindenmayer, D. B. and J. Fischer(2006) Tackling the habitat fragmentation panchreston.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22: 127-132 https://doi.org/10.1016/j.tree.2006.11.006
  46. MacArthur, R. H. and E. O. Wilson(1967)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224 pp
  47. Miller, S. G., R. L. Knight and C. K.Miller(1998) Influence of recreational trails on breeding bird communities. Ecological Applications 8: 162-169 https://doi.org/10.1890/1051-0761(1998)008[0162:IORTOB]2.0.CO;2
  48. Moen, J., K. Aune, L. Edenius and A. Angerbjorn(2004) Potential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reeline position in the Swedish mountains. Ecology and Society 9: 16. [online] URL: http://www.ecologyandsociety.org/vol9/iss1/art16 https://doi.org/10.5751/ES-00634-090116
  49. Noss, R., B. Csuti and M. J. Groom(2006) Habitat fragmentation. In:M. J. Groom, G. K.Meffe, andC.R.Carroll(eds.),Principles of Conservation Biology(3rd ed.),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pp. 213-252
  50. Reed, R. A., J. Johnson-Barnard, and W. L. Baker(1996) Contribution of roads to forest fragmentation in the Rocky Mountains. Conservation Biology 10: 1098-1106 https://doi.org/10.1046/j.1523-1739.1996.10041098.x
  51. Saunder, D. A., R. J. Hobbs, and C. R. Margules(1991) Biological consequences of ecosystem fragmentation: a review. Conservation Biology 5: 18-32 https://doi.org/10.1111/j.1523-1739.1991.tb00384.x
  52. Spellerberg, I. F.(2002) Ecological Effects of Roads, Science Publisher, Enfield, 251 pp
  53. Turner,M. G. (2005) Landscape ecology: what is the state of the science?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36: 319-344 https://doi.org/10.1146/annurev.ecolsys.36.102003.152614
  54. Wilcove, D.S., C. H. McLellan and A. P. Dobson(1986) Habitat fragmentation in the temperate zone. In: M. E. Soule(ed.), Conservation Biology: The Science of Scarcity and Diversity,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pp. 237-256
  55. Xu, W., Z. Ouyang, A. Vina, H. Zheng, J. Liu and Y. Xiao(2006) Designing a conservation plan for protecting the habitat for giant pandas in the Qionglai Mountain Range, China.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2: 610-619 https://doi.org/10.1111/j.1366-9516.2006.00236.x
  56. www.jeju.go.kr/contents/도로현황 제주특별자치도
  57. www.hallasan.go.kr 한라산국립공원
  58. www.knps.or.kr 국립공원관리공단
  59. www.nature.jeju.go.kr 제주자연환경생태정보시스템
  60. www.iucn.org/themes/wcpa/pubs/parks.htm#143 IUCN 자료목록
  61. www.unesco.or.kr 유네스코한국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