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기술 및 웹을 활용한 콘크리트 품질시험 및 문서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oncrete Quality Inspection and Document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and Web Technologies

  • 발행 : 2008.08.31

초록

공동주택 습식 공사의 주 재료인 콘크리트는 불량 발생 시 시공 후 개선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실공사로 인한 건물 붕괴 등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품질시험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콘크리트 품질시험은 크게 품질시험 관리 조직이 수행하는 시험업무와 문서관리 업무로 구분된다. 콘크리트 품질시험 업무 후 발생되는 정보 및 문서의 양이 과다하고, 결재 시 잦은 이동을 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업무 프로세스는 품질 관리원기 업무량을 증가시키므로 품질시험 업무의 투명성 및 품질 이력 데이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정보기술을 콘크리트 품질시험 분야에 활용하여 품질시험 시 발생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품질시험 관련 문서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PDA 및 웹 기반 품질시험 관리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품질시험 관련 조직의 업무량을 절감시키고 품질시험을 적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품질시험 업무의 투명성 및 품질 이력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Quality is an important keyword representing the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image in today' s construction industry. Especially in concrete construction, any problems or defects in fresh concrete can significantly degrade the entire quality and performance of the facility built. Thus, adequate quality inspection and testing must be exercised over the fresh concrete, if concrete with the required strength, durability and appearance is to be obtained. The testing of concrete delivered to the construction job site involves testing of fresh concrete and performing strength tests on hardened concrete. The principal tests conducted on fresh concrete include the slump test and tests for air and salt content. The temperature of fresh concrete should be checked out hot or cold weather concreting. The 7-day and 28-day strength of hardened concrete are also determined by compression tests on usually cylinder samples. However, it is very complex and time-consuming process requiring a lot of efforts to document those on-site concrete testing results and to accumulate their historical data.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unique PDA and web-based system which enables an on-site quality manager to effectively conduct the concrete inspection and testing, automatically document and accumulate the collected historical data, and promptly obtain the approval from supervisors. Fin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e effective use of the proposed PDA and web-based system would be able to improve reliability of the concrete quality inspection and testing data as well as significantly reduce the approval process.

키워드

참고문헌

  1. Battikha, M. G. (2002), 'QUALICON: Computerbased System for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128, No2., pp.164-173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2)128:2(164)
  2. Kim, Young S. Oh, Se W., Cho, Yong K., and Seo, Jong W(2008). 'A PDA and wireless web-integrated system for quality inspection and defect management of apartment housing projects,'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17, No.2, Jan. 2008, pp.163-179 https://doi.org/10.1016/j.autcon.2007.03.006
  3. 김범기 외 4인(2005),' 인터넷 및 PDA를 활용한 흙막이 통합계측관리시스템 구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11, pp.183-190
  4. 박상민(2000),' 웹(Web)을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공학석사 학위논문
  5. 이종일, 박영기(1994), '건설공사의 품질향상을 위한 품질 관리체계의 모색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0, No12., pp.259-268
  6. 이현탁, 이현수(1996),' 현장 품질관리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품질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6, No.1, pp.435-439
  7. 원영호(2003),' 모바일시스템을 이용한 엔지니어링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공학석사 학위논문.
  8. 윤회수(2002),' 워크플로우기반 건설현장 문서관리 시스템 설계를 위한 프로세스모델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2 No.2, pp.871-874
  9. 장종문 외 3인(2007),' 웹 기반의 공동주택 AS관리 시스템 개발,' 건설관리, Vol.8, No.3 pp.66-75
  10. 정헌주(1993), '건축현장의 실험실 운용,'대림기술정보, pp.89
  11. 현명훈 외 4인(1998), '콘크리트 품질관리를 위한 맞춤식 체크리스트의 개발과 부재의 이력 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8, No.2, pp.779-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