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퇴적량 산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alculation System of the Sedi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Reservoir

  • 박준규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강준묵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부)
  • 발행 : 2008.06.30

초록

국가의 저수지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하고 각종 신기술의 적용을 통한 다양한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향후 대국민 서비스의 질 향상 및 관련 기술들의 활용도 증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에 장기간 축적되어 수질악화 및 저수용량의 감소를 야기하는 퇴적물 정보를 GPS, 음향측심기, 음파탐사기의 조합을 통해 신속 정확하게 구축하고 이러한 자료들을 2차원 및 3차원 공간정보 처리 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퇴적량 산출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토대로 저수지의 퇴적물 관리를 위해 필요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퇴적량 산출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의 적용을 통하여 건설된 지 오래된 저수지들에 대한 관리 기반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establishment of the scheme which could be managed the national reservoir efficiently and consideration of a variable management scheme by the application of a new technique for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national service quality and application of related techniques. In this study, sediment information which was accumulated in the reservoir for a long time and occasioned the decrease of pondage and increase of water pollution was constructed rapidly and accurately using GPS, sub bottom profiler and echo sounder. And the calculation system of sediment was efficiently designed through the applications of 2D and 3D spatial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s. As a results, the calculation system of sediment which was accomplished a various functions was developed and a basic information of management for the reservoir which was constructed quite a while ago was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준규 (2006), 댐저수지 하상의 퇴적물 관리를 위한 GIS 시스템 개발, 제11회 측량기술경진대회, pp. 35-45
  2. 서용운, 최윤수 (2000), 실시간 DGPS & Echo -Sounding 데이터를 이용한 방파제사석투하 토공물량 확인, 한국측량학회지, 제 18권, 제 4호, pp. 343-350
  3. 이동락, 홍정수, 백기석, 배경호 (2006), GPS/GPR을 이용한 저수지 준설능력 향상, 한국GIS학회지, 제 14권, 제 1호, pp. 57-65
  4. 이요상, 김형수 (2003), 다목적댐 저수지 퇴사 분포 및 수질 영향-주암댐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공사
  5. 이요상, 박종근,나 운철, 김용운(2001), 댐저수지 퇴적오염물질 분해 및 용출에 관한연구, 한국수자원공사
  6. 이진덕, 김현호 (2007), GPS와 Echo Sounder 및 GIS 조합에 의한 3D 하상측량시스템의 구축, 한국콘텐츠학회 2007 춘계 종합학술대회논문집, 제 5권, 제 1호, pp. 1-5
  7. 정영동, 강상구 (2002), 음향측심기와 위성항법을 이용한 하천의 수심 측량, 한국측량학회지, 제 20권, 제 4호, pp. 375-381
  8. Kenneth C. Kiesel (2000), A New Pitch/Yaw Stabilized Bathymrtic Survry System, L-3 communications/SeaBeam Instruments, pp. 201-205
  9. Loke R.E., Du Buf J.M.H. (1993), Fast Interpolation, Segmentation and Visualization of 3D Sonar Seabottom Data by using Tree Structures, Proceedings of the Oceans, pp. 1571-1576
  10. Yoshihiro Matsumoto (1986), Performing Centimeter -level Surveys in Seconds with GPS Carrier Phase : Initial Results,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Precise Positioning with Global Positioning System, Vol. II, pp. 1229-1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