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Design Proposal for Seoul Yeouido Riverside Park

여의도 한강공원 조성계획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Ran Gang is a huge, attractive river which meanders through Seoul, the capital of South Korea. However, during the modernization of Seoul, the river gradually lost its natural beauty and healthy condition. Han Gang Renaissance is a project to upgrade the look of the Seoul waterfront, by overcoming this disaster and reorganizing the surroundings of Han Gang. This research articulates the design strategies and description of the prizewinning work of the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Yeouido Riverside Park that was linked to the Han Gang Renaissance Project. There are three key points that basically speak to the identity of the new waterfront, Yeouido Riverside Park. First, the current day Yeouido was recreated as an artificial island through the rapid expansion of the city and the initiation of the shore protection works. However, because it is the only island still remaining that shows the history of Han Gang, the park was designed to be the place which preserves the lyric of sand island and the emotional memory of riverside. Secondly, among the six districts of the Han Gang Renaissance Project, the two districts that are facing each other, Yongsan and Yeouido, are the central areas promoting international finance and business. Despite Yongsan's complete urban image, the exquisite harmony of pastoral scenes and skyscrapers of the Yeouido waterfront is presented to develop an active mutual relation with Yongsan. Lastly, this design scheme re-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competition's site, Yeouido Riverside Park, and a neighboring site, Yeouido Park.

한강은 대한민국 수도 서울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스케일의 매력적인 강이다. 그러나 근대화 과정에서 일괄적 인 호안공사로 직강화 되어 본연의 자연스러움과 하천의 건강성을 점차 상실하였다. 이를 극복하고 한강 중심의 개혁을 통해 수변도시 서울의 이미지를 확고히 하여 고급 브랜드화 하겠다는 한강르네상스 계획이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한강르네상스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여의도 한강공원 국제 설계경기 공모 당선작의 설계전략과 내용을 서술하고자 한다. 계획의 주안점은 기본적으로 여의도 한강공원이라는 새로운 워터프런트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3가지 이슈를 가지고 접근하였다. 첫째, 여의도는 비록 개발에 의해 인공적인 섬으로 변했지만 한강에서 과거의 기억을 가지는 유일한 공간이다. 모래섬의 서정성과 물가의 감성적인 기억을 가지는 장소로 계획하고자 하였다. 둘째,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의 6가지 지구 중 서로 마주 보고 있는 용산과 여의도는 중심지 역으로서 국제적인 금융, 업무지 역으로 조성된다. 용산의 철저히 도시적인 모습에 반해, 목가적 풍경과 고층건물이 절묘하게 어우러지는 색다른 풍경의 여의도 워터프런트를 제안하여 용산과의 적극적인 상호관계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계획안에서는 현상공모 범위 밖인 여 의도공원과 본 현상공모 대상인 여의도 한강공원 관계를 재설정해 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헌호(2005) 한국인의 애독 작품-향토적 서정소설의 미학. 서울: 책세상
  2. 서울시(2007a) 한강르네상스 마스터플랜
  3. 서울시(2007b) 도심 재창조 프로젝트 마스터플랜
  4. 서울시 한강관리사업소(2007) 한강 수로조사 보고서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6) 여가공간으로서의 수변 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7) 한강 생태계 조사연구 보고서
  7. 이윤영(2000) 서울시 여의도 지구의 이미지형성과 인지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전유찬, 권영모, 김태윤(1992) 워터프론트와 미래형 도시개발. 부산직할시 시정연구단 보고서
  9. 전형준(2000) 여의도 샛강 및 밤섬이 한강 홍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정인하(1996). 여의도 도시계획에 관한 연구-김수근의 1969년 계획안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2): 123-134
  11. 진석현, 김진균(2005) 한강 시민공원의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창립 60주년 기념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5(1): 175-178
  12. 홍형순, 김도경, 정한호(2006) 광양항 동측배후단지 2단계 사업지구 상징공원 및 수변공원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4(3): 104-119
  13. http://hangang.seoul.go.kr
  14. http://seoul.go.kr
  15. http://www.incheonferry.co.kr
  16. http://www.portincheon.go.kr
  17. http://www.pps.org
  18. http://www.waterfrontcente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