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과 "노년기"연구 - 가정학전문학술지를 중심으로 한 연구동향과 과제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and Tasks on Senior Citizens and Later Life in the Aging Society - Focused o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 발행 : 2008.06.30

초록

Nowadays, social circumstances have changed rapidly due to the decreasing birthrate and increasing number of senior citize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past research for present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for improvement of welfare for the elderly. For this study a total of 231 articles within four kinds of major home economics journals are used. The articles were published from 2000 to 2007. Specific research topics (subjects) ar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topics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elds: facilities for the elderly, family relationships in later life, quality of life, economical aspects of the elderly, physical and metal health, leisure, awareness and the attitudes about elderly people, clothing, death and welfare services for elders. According to this study,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relationships in later life' are the most frequent topics of inter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the governmental aging society plan, SEROMAZI PLAN 2010,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about senior citizens and later life in our home economics major science field are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중돈(2007). 노인복지론. 서울:학지사
  2. 노인복지법(2006). 보건복지부 법령모음
  3. 대한상공회의소(2005). 고령사회극복을 위한 산업전략
  4. 모선희(2006). 현대노인복지론. 서울:학지사
  5. 박차상.김옥희.엄기욱.이경남.정상양.배향진(2005) 한국노인복지론. 서울:학지사
  6. 박창형(2005). 우리나라 고령친화산업의 정책 추진 현황 및 과제. 제2회 실버산업활성화를 위한 국제심포지엄자료집, 1-13
  7. 백경숙.권용신(2003). 노인복지 연구동향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8(2), 23-38
  8. 보건복지부. www.mohw.go.kr
  9. 양옥남.김혜경.김미숙.정순둘(2007). 노인복지론. 서울:공동체
  10. 이해영(2006). 노인복지론. 서울:창지사
  11.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www.precap.go.kr
  12.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2006). 보건복지부 법령모음
  13. 정부관계부처합동(2006).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안:2006-2010
  14. 정옥분.김동배.정순화.손화희(2008). 노인복지론. 서울:학지사
  15. 통계청. www.nso.go.kr
  16.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5).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정책방향과 과제-위기의 고령사회를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기회로
  17. 현외성.김상희.조상희.하문기.박은주.신원식.김진희(2005). 실버산업론. 서울:학현사
  18. 곽인숙(2001). 미국의 연속 보호은퇴주거단지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2), 91-106
  19. 곽인숙(2002a). 치매나 알츠하이머 환자를 위한 주간보호시설의 프로그램에 관한 미국사례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0), 123-139
  20. 곽인숙(2002b). 치매노인을 위한 주간보호시설 이용자의 가족부양현황과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13-26
  21. 곽인숙(2003a). 치매노인을 위한 시설의 옥외공간에 관한 연구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3), 1-13
  22. 곽인숙(2003b). 미국의 노인을 위한 주거대안과 서비스의 특성을 통해 본 한국의 노인주거 정책에 대한 제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81-95
  23. 권오정(2004). 반의존 노인용 시설주거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미국 버지니아 주 농촌지역의 우수 노인생활보조주택관리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27-45
  24. 권오정.김대년(2004). 한국중년층의 유료노인요양시설에 대한 견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4), 1-14
  25. 권오정.김대년.최정신.이옥경(2002). 치매 노인을 위한 주거대안으로서의 그룹홈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97-111
  26. 김대년.권오정.최정신(2001). 중산층 이상 가족이 인식하는 치매노인 그룹홈의 장점과 국내 도입의 문제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113-128
  27. 김대년.최정신.권오정(2002). 저소득층의 치매노인 그룹홈 계획에 대한 요구. 대한가정학회지, 40(4), 1-12
  28. 김순미.홍성희.김혜연.김성희.(2004). 봉급생활자의 은퇴설계: 노인부양으로서 유료노인시설 선호 및 요구도. 대한가정학회지, 42(5), 175-192
  29. 김양현.홍형옥(2005). 노인공동생활주택의 선호개발유형에 따른 주거사용 특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33-143
  30. 김영주(2005). 미국 노인보호주택 거주자들의 '집'으로서의 속성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67-77
  31. 김영주.권오정.박남희(2006). 노인가구의 자립생활증진을 위한 주택개조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인가구의 주택개조실태와 요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6), 79-93
  32. 김현지.오혜경.홍이경(2006). 노인을 위한 부엌 작업공간의 계획지침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89-99
  33. 김현진.안옥희(2003). 고령자가 거주하는 독립주택의 주거환경 실측. 한국생활과학회지, 12(1), 85-94
  34. 김현진.임희경.안옥희(2006). 고령자 그룹홈 거주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공간이용행태. 대한가정학회지, 44(7), 177-188
  35. 두경자(2003). 소규모 노인공공가정설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2), 187-205
  36. 박공주.김양희.박정윤(2007). 은퇴후 귀농인의 농촌이주준비 및 농촌적응과정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1), 9-21
  37. 서예영.홍형옥(2005). 노인공동생활주택 개발을 위한 다세대, 다가구주택의 접근성 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6), 67-77
  38. 서은미.홍형옥(2004). 중년층의 노후의 주거문제에 대한 태도와 노인공동생활주택에의 입주 의사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121-131
  39. 서은미.홍형옥(2005). 노인공동생활주택의 개발자 유형에 따른 개발과 관리 특성 선호경향 - 개발, 거주, 비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6), 39-51
  40. 신영숙(2001). 선호하는 유료 노인시설주거 디자인을 위한 중산층의 집에 대한 개념 - 내 집과 같은 노인시설주거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2). 대한가정학회지, 39(12), 141-158
  41. 신영숙(2002). 내 집과 같은 노인시설주거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3) - 중년층의 선호하는 주택과 노후 주택의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9), 191-205
  42. 오혜경.홍이경.박민진(2003). 미국 노인주거시설의 공간구성 특성에 대한 연구 -캘리포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107-115
  43. 오혜경.홍이경.김현지(2004). 한국 노인주거시설의 공간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133-142
  44. 유병선.전경화.홍형옥(2004). 프랭클린(Franklin)의 사회구성주의 모델 관점으로 본 한국의 노인주택 맥락.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03-114
  45. 유병선.홍형옥(2005). 영국, 미국, 일본의 노인공동생활주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플랭클린(Franklin)의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27-38
  46. 유병선.홍형옥(2006). 노인공동생활주택 개별주호 특성에 대한 예비노인의 선호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4(2), 71-81
  47. 이민경.김양희.박정윤(2004). 중노년기의 실버타운 선호도 및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1-23
  48. 이민아(2004a). 노인전문요양시설의 일상생활 지원 서비스 작업흐름 분석 -식사 및 목욕공간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1-11
  49. 이민아(2004b). 전라북도 무료양로시설의 건물배치에 따른 공간구성 특성. 한국생활과학회지, 13(2), 225-235
  50. 이민아(2005a).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프로그램 수행공간 계획지침 - 공간현황 및 이용행태 조사를 통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101-112
  51. 이민아(2005b).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프로그램 실시 공간 사용실태. 대한가정학회지, 43(10), 125-139
  52. 이민아(2006a). 노인전문요양시설 공용공간의 위계적 특성분석: 휴게홀 및 복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6), 117-129
  53. 이민아(2006b). 프로그램 수행공간으로서 무료노인전문요양시설의 휴게홀 평가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5(3), 513-525
  54. 이민아.유옥순(2004). 노인 전문 요양시설 거주층의 복도 및 휴게홀 이용형태. 대한가정학회지, 42(11), 31-45
  55. 이선주.권오정(2003). 우리나라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실내공간 특성과 계획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1-12
  56. 이영심.이상해(2002). 호주 멜버른 지역의 저소득층 노인주거 사례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03-114
  57. 이인수(2002).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양로원 생활의 장단점에 관한 연구 -농촌지역 중류층 유료시설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5), 113-124
  58. 이인수(2006).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소진(消盡)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55-69
  59. 이지숙(2007). 노인주택 가구 디자인의 지침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16(6), 1243-1250
  60. 전경화.홍형옥(2004). 노인주택 계획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9
  61. 조명희(2003).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인식.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2권1호, 15-24
  62. 주서령.조유진(2004). 노인공동주거시설 단위주호의 설계지침 중요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111-119
  63. 지은영.홍형옥(2002). 노인주거 연구의 접근방법과 쟁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5), 137-147
  64. 최재순.이의정(2001). 노인과 장애인의 주택 신축 및 개조 사례 비교연구 - 한국 , 일본 , 스웨덴 3 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10), 39-53
  65. 최정신(2003). 덴마크 자치관리모델(Self-work Model) 노인용 코하우징의 디자인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1(4), 1-19
  66. 최정신.김대년.조명희.권오정(2000). 치매노인을 위한 스웨덴 그룹홈의 우리나라 적용가능성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5), 153-166
  67. 최정신.조재순(2006). 스칸디나비아 노인용 코하우징 주민의 이주동기와 생활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17-128
  68. 홍이경.오혜경(2005). 예비노인층의 노인공동생활주택 개별공간 계획요소에 대한 선호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37-47
  69. 홍형옥(2001a). 영국의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검토.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49-68
  70. 홍형옥(2001b).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태도의 선호- 한국에서의 노인생활지원주택 개발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47-166
  71. 홍형옥(2002). 노인의 지역사회보호에 있어서 주거관리의 역할과 장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5), 51-67
  72. 홍형옥(2005).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주택수리 및 개조 최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1-22
  73. 홍형옥.유병선(2003). 노후의 일.여가 태도에 따른 노인공동생활주택 선호 경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3-24
  74. 홍형옥.전남일.양세화.은난순(2006). 근대 이후 노인의 생활과 생활공간 변화에 대한 일상사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44(8), 47-61
  75. 홍형옥.지은영(2002). 사회계층별 노인생활지원주택에 대한 태도와 선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83-95
  76. 홍형옥.지은영(2004a). 지역사회보호체계를 위한 수요자와 복지서비스 전달자의 노인주거 서비스 요구도 - 노인공동생활주택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의 체계화.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1-12
  77. 홍형옥.지은영(2004b).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노인공동생활 주택에 대한 견해의 지역별 비교 -서울, 수도권, 부산, 광주,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2(7), 1-17
  78. 강현숙.김태현(2002). 무배우자 노인의 성욕구 실태와 해소유형.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3), 127-151
  79. 고선강(2005).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87-195
  80. 김경신.이선미(2003). 노년기 부부의 갈등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41(1), 139-153
  81. 김명자(2003). 퇴직한 남편과 그 부인의 탄력성과 적응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117-127
  82. 김밀양(2004). 고부관계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73-187
  83. 김선우.김태현(2003). 남녀 노인의 의사소통 행동과 결혼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141-155
  84. 김윤정(2003).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33-143
  85. 김윤정(2006). 노인부양부담에 있어 노인부양모델의 효과성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79-101
  86. 김태현(2003). 장기보호 여성노인의 수발에 관한 연구-수발특성과 우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6), 143-156
  87. 김태현.전길양(2002). 노년기 부부의 결혼특성요인과 결혼안정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197-206
  88. 김홍란.김윤정(2004). 노년기 부부의 성적 적응교육 프로그램.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43-69
  89. 박은아.이정우(2005a). 부부단독가구 노인의 부부간 의사소통 및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23-36
  90. 박은아.이정우(2005b). 부부단독가구 노인의 부부간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참여가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97-215
  91. 박충선.배나래(2005). 노년기 재혼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2), 115-132
  92. 박현정.최혜경(2001). 한국노인의 자녀와의 동거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노인의 노후 부양가치관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1), 63-75
  93. 배나래.박충선(2002). 홀로된 노인의 성과 이성교제가 노년기 재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2), 111-132
  94. 배선희.김순옥(2001). 기혼남성의 고부관계 인식 - 장남역할 남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51-66
  95. 손태홍(2001). 노인부양의 현실과 그 새로운 방향 : 1990년대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11), 27-42
  96. 신화용(2004). 노모를 부양하는 재미교포 자녀와 노모간의 상호지원교환, 지원교환에 대한 평가가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3), 33-54
  97. 신화용.조병은(2001).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자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1), 39-51
  98. 신화용.조병은(2004). 사회교환론적 관점에서 본 노모를 부양하는 성인자녀가 지각한 대가, 보상 및 관계의 질 - 한국과 재미교포자녀의 비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153-174
  99. 여순자.김윤정(2006). 노인복지시설의 성관련 환경이 노인의 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시설장, 시설종사자, 시설노인을 대상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97-121
  100. 옥경희(2005).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손자녀양육.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03-114
  101. 옥경희.천희영.황혜정.최성학.정계숙,(2006). 한국과 연변조선족 조부모 -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25-36
  102. 이미숙.조병은.강란혜(2004). 학동기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역할수행: 취업모가족과 비취업모가족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2(4), 69-84
  103. 이성희.이승미(2003). 노부모 부양자 교육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25-36
  104. 이숙현(2005). 여성과 돌봄: 모성과 부양의 여성화.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2), 133-149
  105. 이신숙.차용은(2000). 성인자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원가족에 대한 가족건강도 지각이 노모와의 유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8(4), 21-32
  106. 이신숙(2007). 대학생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 조모와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479-490
  107. 이영숙(2004). 청소년기 손자녀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673-681
  108. 이정연(2002). 고부관계개선을 위한 긍정적 사고훈련 프로그램의 적용.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1), 117-136
  109. 이주연.정혜정(2003). 부부의 노부모 부양부담 및 세대간 결속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1-13
  110. 임희경.금정범자(2005).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거주환경과 주생활에 관한 조사연구 - 노부모와 자녀간의 거주형태의 실태 및 동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491-504
  111. 장윤옥(2003). 치매노인 부양주부의 가정자원에 따른 부양스트레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3), 157-169
  112. 장윤옥.정서린(2004). 치매노인 부양주부의 가정자원이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6), 73-88
  113. 장진경(2004). 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태도 연구 1. 대한가정학회지, 42(12), 31-54
  114. 정순희(2005). 노인의 가사노동 기여도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53-62
  115. 조명희(2003).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인식. 한국생활과학회지, 12(1), 15-24
  116. 조병은(2007). 노년기 가족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현황과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1), 59-65
  117. 최영아(2005). 노년 초기 재혼자의 결혼성립 과정과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5), 15-42
  118. 최정신.권오정.김대년(2002). 치매노인 부양경험 유무에 따른 부양요구의 차이와 치매노인 부양실태. 대한가정학회지, 40(5), 195-210
  119. 최덕경.이혜자(2007).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장기요양보호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노인주간보호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1), 147-165
  120. 한경혜.이정화(2001). 부양의식, 형제자매 지원과 노부모 동거에 대한 혜택-비용 지각-도시와 농촌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11), 129-144
  121. 한지수.홍공숙(2007). 노부모와 동거하는 기혼여성자녀의 시장노동참여 및 참여시간 결정요인: 기혼여성자녀와 노부모와의 시간자원 이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6), 61-75
  122. 홍달아기.이남주(2005). 결혼만족도와 노년기부부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 중.노년기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4(6), 883-898
  123. 홍달아기.하근영(2002). 조부모-손자녀 유대관계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1(2), 107-121
  124. 황정해(2007). 손자녀를 둔 남성의 부성경험에 관한 일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87-99
  125. 강유진(2003). 한국여성노인들의 노년기 적응과 노년기 삶의 모습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3), 131-146
  126. 강유진.한경혜(2002). 한국여성노인의 생애사 분석에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인생전환점, 삶의 맥락, 적용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3), 99-126
  127. 김명자.박미금.송말희(2005). 남성퇴직자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2), 143-158
  128. 김은경(2002). 농촌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27-36
  129. 김정옥.박자영(2007). 도예활동이 노인의 우울정서와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95-109
  130. 김태현.한은주(2004).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3), 81-106
  131. 박미석(2002). 노년기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5), 133-146
  132. 박충선.이춘옥(2003). 노년의 정보화태도와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 경북지역 노인들의 정보화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2), 25-44
  133. 백지은.최혜경(2005).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16
  134. 성혜영.조희선(2006). 노년기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안녕. 대한가정학회지, 44(6), 35-45
  135. 신효식.이선정(2007). 퇴직한 남자 노인의 가족자원 및 관련변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187-213
  136. 여인숙.김춘경(2006). 생애회고적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4(5), 157-169
  137. 윤종희.김덕성.안령미(2001). 거동불편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5), 65-74
  138. 이예종.장진경(2002). 노인의 이성교제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이성교제를 하는 홀로된 노인을 대상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7), 141-156
  139. 이원진.김정옥(2003). 여성노인의 화장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2), 45-60
  140. 이유리.박미석(2006). 무료양로시설거주노인의 여가와 삶의 질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11), 117-131
  141. 이은실.안성아(2005). 노년기 여성의 자아통합감과 인구통계적 특성, 건강 및 외모행동과의 관련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12), 153-163
  142. 이형실(2003). 농촌 노인의 세대간 사회적 지원 교환과 생활만족: 성별 및 연령집단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1(4), 57-69
  143. 전길양.김정옥(2000).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 155-170
  144. 전영자.박경란(2006). 노인의 종교성,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5(2), 239-249
  145. 정혜정.이동숙(2000). 부부단독가구 노인과 자녀동거 가구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 변인 연구 - 전북지역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67-91
  146. 조윤주.이숙현(2007a). 생산적 활동 유형에 따른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차이: 요구-조절-지지 모델의 적용.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1), 119-145
  147. 조윤주.이숙현(2007b). 경제 활동을 하는 남녀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요구-조절-지지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27-141
  148. 지금수(2001). 노인의 가정내 의사결정권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생활적응. 한국생활과학회지, 10(1), 127-139
  149. 최보아.지영숙(2004). 은퇴자의 생활설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47-61
  150. 최혜경.백지은.서선영(2005). 노인들의 인식을 통한 한국적인 성공적 노화의 개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10
  151. 하정연.오윤자(2003).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선택. 적정화. 보상책략 관련 변인 연구 -중산층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31-144
  152. 홍현방.최혜경(2003). 성공적인 노화 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45-154
  153. 권정원.이기춘.김정숙.장오준개(Shunsuke Nagashima)(2003). 제주지역 고령자의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에 관한 연구 - 제 1 보, 소비자능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2), 13-29
  154. 김효정.김미라(2006). 노인들의 건강식품 피해예방을 위한 사용실태 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849-858
  155. 박진영(2007). 노인가계의 재무전략유형별 재무성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25-44
  156. 박진영.김영숙(2007). 노인가계의 재무전략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75-87
  157. 배미경.홍공숙(2006) 노인가계 포트폴리오 구성 및 영향변수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5(6), 973-984
  158. 배희선.최현자(2002). 중.노년기 가계의 성인 자녀에 대한 경제적 자원이전의 분배기준. 대한가정학회지, 40(6), 99-115
  159. 성미애.옥선화(2006). 여성 퇴직자의 생애사를 통해서 본 취업 지속 배경에 관한 질적 연구: 교직. 공무원직 퇴직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69-87
  160. 성지미.이윤정(2001). 노인독신가구의 경제상태와 경제적 불평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2), 111-130
  161. 심 영(2000a). 노인소비자의 저축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4), 113-125
  162. 심 영(2003b). 주택소유형태와 주거비용을 토대로 한 노인 단독 가계의 경제복지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2(1), 25-38
  163. 심영(2003). 충북 지역 노인 소비자의 소비자 정보화 교육 방안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충북의 정보화 교육과의 연계. 대한가정학회지, 41(5), 15-39
  164. 양세정.성영애(2001). 노인가계의 경제구조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1), 173-190
  165. 양정선(2007). 노인가계의 의료비 지출과 부담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1), 1-13
  166. 양정선.김영순(2004). 노인가계의 지출적정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83-292
  167. 여윤경(2003). 노인부부가계와 노인독신가계의 소비패턴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12
  168. 유우정.배미경(2007). 재정비율을 이용한 노인가계의 재정상태평가. 대한가정학회지, 45(4), 17-28
  169. 이선형.이연숙(2002). 노인부부가계를 위한 노후 월평균생계비 산정 - 최저생계비, 표준생계비, 유락생계비의 산정. 대한가정학회지, 40(4), 139-152
  170. 이영숙(2007). 노인의 취업성향에 관한 연구 -취업노인과 비취업노인의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85-298
  171. 이윤정.김순미(2004). 남녀 노인독신가구의 경제상태와 소비지출의 영향요인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2(12), 93-106
  172. 이재희(2004). 여성의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의 개선방안.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555-568
  173. 이정읍.김명자(2001). 중노년기 기혼남녀의 재산상속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151-165
  174. 이지은(2005). 미국 노인층의 자산 상속 계획 - 유언장 준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6), 113-131
  175. 임정빈.김윤희(2000). 노인가계와 비노인가계의 소득 소비지출비교 : 1982-1998 - 도시근로자 가계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4), 163-176
  176. 이희숙(2007). 농지를 포함한 농촌형 역모기지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5(9), 99-111
  177. 이희숙.신상미(2003). 은퇴노인가계의 경제구조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4), 103-116
  178. 전지원.박미석(2006). 노인의 직업활동 활성화 방안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7), 21-39
  179. 정순희.김현정(2002). 소득, 지출 및 자산 충분성 분석을 통한 취업노인가계와 비취업노인가계의 재정상태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113-122
  180. 채옥희(2000). 농촌 노인단독가구의 가정경영 실태와 문제. 대한가정학회지, 38(3), 85-97
  181. 김정옥.엄인숙(2007). 노인의 여가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5(4), 29-42
  182. 김정현.이영미.이기완.명춘옥.박영심.남혜원(2000). 노인 부모의 식생활 의존도 및 노인 급식 프로그램에 대한 의식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38(4), 33-48
  183. 박미연.천병렬.정구범.오현미.이정현.박필숙(2007). 영향위험 농촌 노인집단에 적용한 영양중재 프로그램의 추후관리 효과(II).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193-204
  184. 권영숙.김희선(2004). 아산시 거주 노인들의 비타민 A 섭취 실태 및 레티놀 영양상태. 한국생활과학회지, 13(1), 75-84
  185. 김희선.김지선.송라윤(2001). 양로원 거주 여자 노인들의 비타민 E 섭취 상태 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10(4), 411-419
  186. 구난숙.박지연(2000). 노년기 식생활에 대한 중.장년층의 가치관. 한국생활과학회지, 9(2), 223-230
  187. 서지원(2006). 중고령기 건강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4(10), 133-144
  188. 손화희(2004). 서울지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12), 77-92
  189. 양순미.홍숙자(2003). 농촌노인의 독거 .동거 가구형태가 심리적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129-139
  190. 여인숙.김춘경(2006). 노년기 우울과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생애회고적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13-128
  191. 오미나.최외선(2005).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아존중감, 죽음불안 및 우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3), 105-118
  192. 이신숙.차용은(2003). 기능손상노인의 우울감과 가족지지, 공적지지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1(3), 165-180
  193. 이인수(2002). 초기노년기 건강문제의 가족사회 속성별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1-12
  194. 이인수(2007). 자원봉사자가 경험한 저소득층 복지시설 거주노인의 문제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1), 127-144
  195. 이정화.김경신.김경명(2007). 농촌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신체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3), 57-69
  196. 이정화.한경혜(2006). 농촌 전기고령자와 후기고령자의 신체적 건강과 의료시설 이용.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175-197
  197. 전혜정(2004). 미국노인의 종교활동참여와 우울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191-199
  198. 전혜정(2007). 한국 노인의 생산적 활동참여와 정신건강. 한국가족관계학회지,12(1), 167-190
  199. 조경자(2002). 노인의 지방섭취 식습관과 심혈관계 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5), 1-14
  200. 천종희.우경자.최은옥(2003). 인천광역시 노인의 연령별 체위 및 건강관련 인자 비교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2), 171-185
  201. 최혜경(2000). 부양형태에 따른 신체취약 노인들의 정신건강. 대한가정학회지, 39(1), 81-90
  202. 김성연.박미석(2000). 도시노인의 여가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67-84
  203. 박경란.이영숙(2007). 노인의 여가활동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465-477
  204. 박미석(2004). 우리나라 노인의 은퇴 후 여가선용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12), 107-122
  205. 박미석(2005). 서울시 시설거주 노인의 여가프로그램제약정도와 여가생활만족도 - 무료양로시설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4), 203-223
  206. 박미석.이유리(2003). 한국 노인의 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37-48
  207. 신화경.이준민(2005). 예비노년층이 선호하는 노후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6), 15-23
  208. 이유리.박미석(2004). 무료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여가프로그램 참여동기 및 여가생활만족도 - 서울특별시를 중심 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99-109
  209. 이인수(2003). 중소도시 경로당의 복지서비스와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17-130
  210. 정순희.최혜경(2006). 한국노인과 캐나다노인의 여가활동시간 관련변수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1-23
  211. 조명희,(2005). 청주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실태.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223-232
  212. 조명희(2007). 노년기 여가활동 : 노년기 여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1), 209-222
  213. 홍성희(2000). 중노년기 여가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공공시설의 여가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5), 121-136
  214. 홍성희.김성희(2000a). 공공시설의 여가프로그램 이용실태 분석-중년기와 노년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97-113
  215. 홍성희.김성희(2000b). 공공시설의 여가환경 적합성 인지와 물리적 상태 평가 -중노년층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9(3), 349-362
  216. 김금화.최혜선(2000). 노년여성의 스커트 착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2), 155-166
  217. 남윤자.최인순(2002). 노년여성을 위한 재킷원형 설계, 대한가정학회지, 40(10), 177-189
  218. 류은정.박혜원.배현숙(2006). 치매 환자복의 착의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4), 123-131
  219. 박은주.강은미(2006). 노년기 여성들의 의복구매동기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4(2), 61-69
  220. 이영주.김점해(2007) 노인여성의 의복행동과 기성복 맞음새.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123-135
  221. 이영주.김 현(2003). 60대와 20대 남성의 하반신 체형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2(5), 777-786
  222. 이원진.김정옥(2003). 여성노인의 화장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2), 45-60
  223. 이진화.김칠순(2007).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중노년기 여성 세분시장의 구매기준 및 패션정보원 비교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5(5), 39-49
  224. 임재린(2007). 노년기 여성의 Suit Design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813-824
  225. 정명숙(2006). 미국 노년여성의 신체 만족도 및 의복 중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169-176
  226. 조진숙.최진희.허은영(2000). 거동 부자유 노인을 위한 일회용 기저귀 개발에 관한 연구 (2). 대한가정학회지, 38(12), 73-84
  227. 최진희.박현정(2005). 남성의 내의류 구매 실태 및 디자인 선호도 연구 - 20-60대 남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6), 133-144
  228. 홍병숙.조유현(2006a). 중노년 여성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품 구매의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2), 1-7
  229. 홍병숙.조유현(2006b). 중노년 여성의 웰빙추구성향에 따른 화장품 사용 및 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44(11), 43-50
  230. 강유진(2004). 중년후기 한국 여성의 노년기 전환기 경험. 대한가정학회지, 42(7), 145-164
  231. 김윤정.강 인.이창식(2004). 청년 중년 노년세대별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65-75
  232. 김윤정.정선아(2001).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인식과 행동간의 관계 규명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173-183
  233. 김지형.장윤옥(2001).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노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83-99
  234. 박경란.이영숙(2001). 청소년과 중년이 갖고 있는 노인의 고정관념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221-239
  235. 박경란.이영숙(2002). 노인에 대한 지식과 경험 증가가 대학생의 노인지각에 미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 37-51
  236. 박경란.전예화.김회년.오찬옥(2004). 아동과 노인 간의 관계 향상을 위한 세대통합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세대간 상호작용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3(1), 17-27
  237. 안옥희.임희경.김현진(2002).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의 이미지에 관한 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11(4), 347-355
  238. 양순미.홍숙자(2002). 중년기 농촌여성의 노후준비와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141-149
  239. 이신숙(2006). 한.미 대학생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 조모-손자녀 간의 친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53-68
  240. 이신숙.소니아살라리(2005). 한,미 대학생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195-218
  241. 조명희(2006). 노인에 대한 주부들의 태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95-106
  242. 김선중.류현주(2006). 노인복지법 시설기준에 따른 울산시 노인의료복지시설 평가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9), 103-117
  243. 김한곤(2003). 재가치매노인 복지서비스 실태 및 수요전망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3), 39-46
  244. 박미석(2005). 우리나라 노인복지서비스 기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노후생활준비와 노인복지서비스 요구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1-15
  245. 홍달아기.하근영(2000). 익산시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실태 및 요구도. 대한가정학회지, 38(9), 75-92
  246. 임찬란.이기숙(2006). 노인대상 죽음교육 프로그램.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123-150
  247. 최외선.박인전(2007). 노인의 죽음불안과 별-파도 그림 반응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5-29
  248. 현은민(2005). 노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2), 31-56
  249. 조명희(2004). 노인의 환경친화적 가치관과 관련변인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3(1), 4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