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earning Motivation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Married Women - Focused on the Students i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중년기 기혼 여성의 학업동기 유형과 심리적 복지 - 방송대 재학생을 중심으로

  • Park, Ji-Sun (Dept. of Home Economics, Korea National Open Univ.) ;
  • Sung, Mi-Ai (Dept. of Home Economics, Korea National Open Univ.)
  • 박지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motive types and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married women attending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ing motives. For these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to 263 middle-aged married women from 36 to 60 at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learning motive types of middle-aged women could be classified into 3 types; a non-oriented type, an activity and goal-oriented type and a multi-oriented type. A multi-oriented types were the most popular among those. Second, the overall level of self-respect was above the median, but the life satisfaction level was below the median.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their self-respect level according to the learning motive types. That is, students who had a multi-oriented learning motive were higher self-respect level than those who had an activity and goal-oriented learning motive. Therefore, lifelong education is very significance in these days when average life span is prolonged.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동.이온죽(1994). 사회조사연구방법. 서울: 박영사
  2. 김경민(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생활사건 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동형(2005).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와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숙(2006). 중년기 여성의 내외통제성과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금운(1999). 중년기 기혼여성의 생활만족도와 다중역할 특성의 관계 및 생성감의 매개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명자(1989). 중년기 위기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명자.박수정(1992). 중년기 부인의 사회관계망과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연구지 7(12), 25-47
  8. 김명희(2006). 중년기 기혼 남녀의 부부친밀감과 부부의사소통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양희(2003). 여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교육 활성화 방안. 아산재단 연구보고서
  10. 김종서.이영덕.정원석(1994). 교육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11. 김재인(1987). 후기 성인의 사회 교육적 학습참여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탐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현숙(2006).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생활교육프로그램 참가가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현화(1992). 성격특성에 따른 중년기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문은식(2002).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손영익(2006).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원봉사활동 특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기영(1991). 중년기주부의 위기감과 사회관계망지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신기영(1999).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가족역할과 직업역할의 보상/비용에 따른 심리적 복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안범희(2007). 학습이론 및 심리. 서울: 하우
  19. 이경자(2006).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업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상곤(2005). 지방공무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및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영미(2007). 초등학생의 사교육과 학업동기, 부모양육방식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희영(1996). 시험불안 상황을 통한 Ellis의 A-B-C 모델의 타당성 검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희정.이숙현(1995).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긍정적 정서와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3(6), 25-41
  24. 임은미(1998). 학업동기 및 부모행동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전영자(1992). 전문직 취업주부의 역할갈등, 대처방안,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전효정(2007). 생태학적 가족복지모형을 적용한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심리적 복지. 대한가정학회지, 45(5), 121-133
  27. 정순례(2007). 학습이론의 이해와 적용. 서울: 북카페
  28. 정옥분(2000). 성인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9. 조예정(2002). 자원봉사활동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조옥희(2004).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역할갈등,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조옥희(2005). 기혼 취업여성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둔 취업모를 중심으로. 동강대학 논문집, 제 28집, 25-50
  32. 조현철(2007). 학습기술, 학습동기,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진미정(1993). 중년기 여성의 어머니역할 수행부담과 심리적 복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덕신(1992). 중년기 주부의 사회관계망과 자기존중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최돈민(2007). 평생학습사회만들기: 교육에서 학습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개혁포럼(공편). 평생학습제도의 발전과정과 과제(189-213).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6. 최돈민.양흥권.이세정(2005).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 실태조사. 한국교육개발원(편).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7. 최운실(1986). 성인교육유형에 따른 교육참여 특성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한국교육개발원(1986). 한국의 교육 지표, 198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9. 한민아(1994). 세대간 지원교환관계와 성인자녀의 심리적 복지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한혜경.성미애.진미정(2006). 가족발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41. Bryant, F. B. & Veroff, J.(1982).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 sociohistoric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4), 653-673 https://doi.org/10.1037/0022-3514.43.4.653
  42. Cam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Y.: Rusell Sage Foundation
  43. Houle, C. O.(1961). The inquiring mind: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44. Maslow(1968). 정순례 역(2007). 학습이론의 이해와 적용. 서울: 북카페
  45. McKinney, J. C.(1966). Constructive typology and social theory. N.Y.: Meredith Publishing Company
  46. Peck, R. C.(1968). Psychological developments in the second half of life. In Neugarten, B. L.(Ed.). Middle age and aging: A reader in social psychology(88-92).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7. Tennant, M. & Pogson, P.(1995). 황원철.홍기형.이광원.김성열.김경희.성미령 역(1998). 성인학습과 삶의 변화. 경남대학교 출판부
  48. Weathersby, R. P.(1981). Ego development. In Chikering, A. W.(Ed.). The modern american college: Responding to the new realities of diverse students and a changing society(51-75). .0San Francisco: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