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ite Suitability and Developable Amount Assessment for Riverbank Filtration in the Han River (II)

한강에서의 강변여과수 개발을 위한 적지선정 및 개발가능량 산정(II)

  • Lee, Sang-Il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Dongguk Univ.) ;
  • Yoo, Sang-Yeon (Hydrology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Lee, Sang-Si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Dongguk Univ.)
  • 이상일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유상연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 이상신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In Korea, riverbank filtration has drawn attention since 1990's as an alternative having potential to stably meet the ever-increasing water demand. Some cities located in the Nak-dong River Basin are currently supplying water through riverbank filtration. This research is on the application of riverbank filtration for stable water quality in Seoul. For this purpose, we have evaluated developable amount of water with riverbank filtration for the Han River. This paper focuses on the Kwangnaru site, which was selected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in the companion paper. We have conducted groundwater modeling for a proposed system of wells and an artificial lake. In the Kwangnaru district, the river length to constitute a well system was identified to be about 1,200m, due to the topography and the field condition such as ecosystem preservation zone. After many design changes,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developable amount of $23.36\;million\;m^3$/year could be obtained, when 16 pumping wells were built in every 80 meters along with an artificial lake upstream.

한국에서는 증가하는 용수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낙동강 유역의 지자체들에서 강변여과수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원수수질 안정을 위한 방안으로 강변여과 도입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선행 논문에서 계층분석과정(AHP)에 의해 선택된 광나루지구에 대한 개발가능량 평가를 위해 지하수 모델링이 수행되었다. 광나루지구에서는 생태계보존지역 등을 고려하여 하천부지 약 1,200m 구간에 대해 관정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취수량을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인공호수의 조성이 제안되었다. 80m 간격으로 16개의 관정을 설치할 경우 적정개발량은 연간 약 2,336만$m^3$으로 산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1). 수자원 장기종합 계획 보고서 (Water Vision 2020)
  2. 과학기술부 (2004). 지속가능한 지하수 개발 및 함양기술 개발 보고서
  3. 동국대학교 (2007). 인공함양을 활용한 한강 및 낙동강 유역 수도공급 방안 연구 보고서
  4.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 (2005). 간접취수 도입을 위한 기초조사 보고서
  5.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 (2006). 간접취수 도입을 위한 타당성조사 중간보고서
  6. 이상일, 이상신 (this issue). "한강에서의 강변여과수개발을 위한 적지선정 및 개발가능량 산정(I)."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8호, pp. 825-834 https://doi.org/10.3741/JKWRA.2008.41.8.825
  7. 통계청 (2006.5.8). http://www.nso.go.kr
  8. 한정상 (1998). 지하수환경과 오염, 박영사
  9. Waterloo Hydrogeologic, Inc. (2003). Visual MODFLOW Pro User's Manual
  10. Walton, W. C. (1988). Groundwater pumping tests, Lewis Publishers Inc., pp. 9-34

Cited by

  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odified hydraulic conductivity to consider turbid water for open-cut riverbed infiltration process: numerical modeling approach vol.49, pp.09, 2016, https://doi.org/10.3741/JKWRA.2016.49.9.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