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y Evaluation of Take-out Services at Restaurants in Chungbuk Province

충청북도지역 외식업체의 테이크아웃서비스 품질특성 분석

  • Lee, Young-Eun (Dept. of Food and Nutri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이영은 (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8.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take-out services at restaurants in Chungbuk Province. A questionnaire survey by 450 customers who had experience in take-out service at the restaurants was conducted and 378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vailable for statistical evalua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made of raw data by SAS V8.2. The scale for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ervice quality was composed of 5-point Likert sca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quality attributes of take-out service were rearranged into four factors in terms of food, sanitation, access and service. The importance score was higher than performance score. IPA showed that 'freshness of food material', 'cleanliness and hygiene in food', 'sanitation of facilities', 'neatness of employees' and 'price in food' was included in 'focus here' area.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such as food, sanitation, access, service and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p<.001); between factors and repurchasing intentions (p<.001); and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s (p<.001).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26.27% of the variance in respondents' overall satisfaction score and 9.21% of the variance in respondents' repurchasing intention score could be explained by factors such as food, sanitation, access and service.

본 연구는 충북지역 테이크아웃서비스의 경쟁력 강화 및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테이크아웃서비스의 이용실태, 품질평가, 전반적인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충북지역에 거주하는 테이크아웃 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는 일반사항, 테이크아웃서비스에 대한 이용실태, 중요도 및 수행도, 전반적인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를 조사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대상자 중 남자는 45.8%, 여자는 54.2%이었으며 20대가 34.9%로 가장 많았다. 미혼이 54.2%, 기혼이 45.8%이었으며 직업은 대부분(41.0%)이 학생이었다. 테이크아웃서비스의 이용실태에 대한 조사결과 대부분(83.9%)이 주 1회 이하의 이용 빈도를 나타냈다. 구입한 음식의 주 용도는 간식용이 65.1%로 나타나 식사보다는 간식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테이크아웃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지출하는 월 평균 비용은 $1{\sim}3$만원 미만이 45.5%로 나타나 월 평균 외식비 중 테이크아웃서비스 이용에 지출하는 비용은 많지 않았다. 조사대상자의 58.7%(222명)가 5천원 미만의 저렴한 가격대의 테이크아웃서비스를 이용한 음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매장이외의 장소에서 테이크아웃서비스를 이용한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가 대부분(81.7%)이었다. 또한 테이크아웃서비스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가 '편리성'과 '시간절약'이었다. 중요도와 수행도 측정 결과를 중심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음식, 위생, 접근성, 서비스영역 등의 4개의 주요차원이 도출되었으며 4개의 요인에 의해 설명되는 누적비율이 60.30%이었다. 테이크아웃서비스 품질특성에 대해 중요도 및 수행도를 분석한 결과 17개의 속성과 이를 구분한 4개 요인 모두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평가되어 모든 품질에 대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1구간(Focus here)에는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위생', '매장시설의 위생', '종업원의 청결함', '판매가격' 등의 속성이 포함 되었으며 집중적인 관리와 개선이 요구되는 품질 특성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및 이용현황에 따른 테이크아웃서비스품질특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비교한 결과 남녀 모두 접근성영역을 제외한 요인들의 중요도점수가 '중요하다(4점)' 이상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직업군에서 요인에 대해 중요도점수가 '중요하다(4점)'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인 경우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점수가 '중요하다(4점)' 이상이었다. 간식용인 경우에는 모든 영역에서 '중요하다(4점)' 이상이었다. 음료인 경우 위생 및 서비스영역에 대한 중요도점수가 '중요하다(4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음식 및 접근성영역은 '중요하다(4점)' 미만이었다. 테이크아웃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 평가한 결과 평균 3.08점과 3.33점으로 나타나 '보통이다(3점)'라고 평가되었다. 학생들의 재구매 의도(평균 3.46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주부들의 재구매 의도(평균 3.14점)는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점심용으로 구입 시 전반적인 만족도(평균 3.38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간식용으로 구입 시의 전반적인 만족도(평균 2.99점)가 가장 낮았다. 반찬류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평균 3.36점)가 가장 높은 반면 음료류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평균 2.86점)는 가장 낮았다. 또한 음료류와 식사 및 간식류의 재구매 의도(평균 3.30점, 3.37점)가 높았다. 전반적인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주는 테이크아웃서비스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는 품질특성들과 양(+)의 방향으로 높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접근성영역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다음에 위생영역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구매 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생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음식영역이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hoi HM, Park YS. 2004. Meal management. Kyomunsa, Seoul. p 3-12
  2. Yang IS, Lee BS, Cha JA, Han KS, Chae IS, Lee JM. 2003. Foodservice in Institutions. Kyomunsa, Seoul. p 202-246
  3.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0. Report 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4. Kang DW. 2000. A study on the marketing strategy of fastfood industry and cosmopolitanism.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3: 5-23
  5. The Culinary Institute of American. 2001. Remarkable Service . Wiley, NY. p 35
  6. Shin BK, Hwang JS. 2001. Restaurant Marketing. Hakmoonsa, Seoul. p 47
  7. Khan MA. 1991. Concepts of foodservice operation and management. Van Nostrand Reinhold, NY. p 5-25
  8. Lee MK. 2002.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analysis of customer characteristics in take-out specialty store, Cafe Amoj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p 3-6
  9. Lee YS. 2005. Single marketing. Businessbooks, Seoul. p10-12
  10. Lee KE, Hong WS, Kim MH. 2005. Students food preferences on vegetarian menus served at middle and high school. J Korean Diet Assoc 11: 320-330
  11. The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1998. Take-out food: A consumer study of carryout and delivery. Washington DC
  12. Lee SJ, Shin SY, Yang IS, Lee MK. 2006. A case study on the marketing strategy for a take-out specialty store through analysis of customer informations. Korean J Food Culture 21: 131-141
  13. Lee MK, Yang IS, Lee SJ, Shin SY. 2006. The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for a take-out specialty store.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9: 153-172
  14. Yu SE, Han YS, Joo NM. 2003. A study on the take-out food usage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some regions in Gyeonggi-do. Korean J Food Cookery Sci 19: 546-554
  15. Namkyung Y, Yang IS, Shin SY. 2005. Analysis of the usability and significance of family restaurant website.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8: 25-44
  16. Park MK, Kim JC. 2007. Development of LSM strategy using the IPA analysis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by the location in a theme restaurant. J Korean Diet Assoc 13: 277-294
  17. Weekly Paper on Food and Restaurants in Korea. 2007. Take-out service on Korean traditional food. Seoul
  18. Ladhari R, Brun I, Morales M. 2007. Determinants of dining satisfaction and post-dining behavioral intentions. International J Hospitality Management available online: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