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출토 청동거울의 표면처리 기법에 관한 연구

Surface Treatments of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Korean Peninsula

  • 전익환 (경기도박물관 보존과학실) ;
  • 이재성 (경기도박물관 보존과학실) ;
  • 백지혜 (경기도박물관 보존과학실) ;
  • 박장식 (홍익대학교 금속공학과)
  • Jeon, Ik-Hwan (Conservation Science Lab., Gyeonggi Provincial Museum) ;
  • Lee, Jae-Sung (Conservation Science Lab., Gyeonggi Provincial Museum) ;
  • Baek, Ji-Hye (Conservation Science Lab., Gyeonggi Provincial Museum) ;
  • Park, Jang-Sik (Department of Metallurgica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 투고 : 2008.01.25
  • 발행 : 2008.03.20

초록

본 연구는 한반도에서 출토된 총 24점의 청동거울을 대상으로 합금의 화학조성과 경면처리법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형분석기로 분석한 내용이다. 고려 고분군에서 출토된 2점의 유물을 제외하면 이들에 관련된 출토지나 제작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청동거울의 경면처리법으로는 주석함량이 높을 경우 합금자체가 은백색을 띠는 점을 이용하여 연마만으로 마무리하는 방법과, 주석과 수은을 이용하는 주석칠도금법이나 주석아말감도금법, 그리고 수은도금으로 피막처리를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일부 거울에서는 경면뿐 아니라 문양면에도 피막처리가 수행된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일부에서는 경면과 문양면에 서로 다른 처리가 적용된 예가 관찰되었다. 적용된 피막처리법을 추정함에 중요한 단서가 되는 수은의 존재는 거울의 표면에서는 물론 단면에서도 황화물 형태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도금층이 결실된 경우에도 표면처리 여부는 물론 그에 적용된 방법에 관한 추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앞으로 청동거울의 경면처리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될 경우 기술의 시대별 또는 지역별 특성이 밝혀지게 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청동거울의 제작시기나 제작지에 대한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Microstructure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24 bronze mirrors recovered from the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quipped with the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in an effort to characterize the treatments applied on their surface. Their provenance and chronology are mostly unspecified except for two objects from a Koryo burial site. In antiquity the surface of bronze mirrors was frequently finished by mere polishing when their tin content was high enough to guarantee the required reflectivity. In many cases, however, their surface was given a special treatment. The most typical treatment was to coat the surface with tin in two different processes referred to as wipe-tinning and amalgam-tinning. In wipe-tinning only tin was used, but in amalgam-tinning tin and mercury were used together. The surface was often coated with mercury in a process known as mercury-polishing. The present mirrors showed that all these techniques were in fact practiced, not only on the reflective surface but, in some cases, on the decorative surface. The detection of mercury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assessment of a specific technique applied in each mirror. Mercury often remained in the substrate in the form of sulfide and thereby allowed the method of surface treatment to be estimated even when the coated layer was completely lost. The future study is expected to uncover the regional and temporal variation of the surface treatments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bronze mirrors with respect to provenance and chronolog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