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Block Patterns for of Korean fashion Models

졸업작품 패션쇼 모델의 치수에 적합한 원형 연구

  • 박상희 (안양과학대학 패션스타일리스트학과) ;
  • 강경희 (안양과학대학 패션스타일리스트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o most of the students studying fashion related major, the graduation fashion show is a big challenge. They have to put together all they learn and show what they can do to their future employers. They design, pattern work, and make up garments for the show all by themselves. Unfortunately. while they make up their garments, they usually don't Dow exactly body measurements of the models. So quite often they have to alter their art works up to the last minute of the fashion show opening. Sometimes such unadequate work process ruins their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lock patterns of Korean fashion models measurements for basic items, such as jacket and pants for male models and torso length block pattern, skirt and pants for female models. 20 male and 20 female professional models were measured. The block patterns were based on their measurements. After the first fitting test, patterns were corrected by their body characteristic. For both male and female models, it was found desirable to fix the shoulder width and make an adjustment to the patterns with a deviation of width and girth items. In case of the resultant patterns the satisfaction was made better. Model siz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considered closer to the size of average models, since they were based on A-grade model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Korea. The resultant patterns can be produced by simply making a slight adjustment to the width of the proposed pattern in this study.

국내 패션관련 교육기관은 대부분은 졸업작품 쇼를 행하고 있는데, 학생들이 직접 제작하는 작품 쇼의 경우는 시간적, 경제적 인 여유 부족과 정확한 모델 치수 및 이에 따른 인대와 원형패턴의 부재로 의상 제작 후, 사이즈 수정에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의 졸업작품 진행 과정의 문제점과 필요한 원형의 종류를 조사하고, 현역 A급 모델의 신체 치수를 계측하여 표준 사이즈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아이템에 따른 원형을 제작, 이를 현역 모델에 착장하여 졸업 쇼를 위한 기본 패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졸업작품 쇼는 학교에 따라 진행하는 과정과 기간에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 모델 가봉 후 수선 정도가 많고 경우에 따라서는 의상을 새로이 제작하여야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모델 사이즈의 기본원형에 대한 필요성이 많이 나타났다. 모델의 신체 계측결과 모델은 일반인에 비해 슬림하고 가는 체형이며 키가 크고 다리가 길다. 여자의 경우 어깨너비가 일반인에 비해 넓지만 가슴둘레와 허리둘레는 더 가늘게 나타났으며 어깨를 편 바른 자세여서 뒷품과 앞품의 차이가 적었다. 이는 남자 모델의 경우도 같게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다리길이와 소매길이의 비율이 크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토르소와 스커트, 바지패턴을, 남자의 경우 재킷과 바지 패턴을 머슬린으로 제작하여 현재 활동 중인 A급 남녀 모델 각각 2명씩에게 착장하였다. 제작원형들은 그 맞음새가 모두 적절하였고 남녀 모두 상의 경우는 편차가 적은 어깨너비는 고정하고 품과 둘레항목에서 편차를 주어 패턴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의의 경우 여자 모델은 엉덩이 부분에 여유가 없는 바지원형을 설계 제시하고, 이는 타이트 핏 팬츠나 스트레치 소재에 사용에 적절하고 여유 있는 바지의 경우는 엉덩이둘레 폭과 밑위너비 폭에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자모델의 경우 하의는 비교적 잘 맞아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없었으며 전체적인 둘레 편차 역시 3cm 내외로 작아 수정의 폭은 작다. 다만 키에 따른 다리길이 편차가 심해 모델에 따라 길이조정 이 필요하지만 전체적인 맞음새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 치수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A급 모델을 기준으로 제안되었으므로 평균적인 모델 치수와 근접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패턴 역시 현재 모델의 신체에 적절하게 잘 맞았으며 모델 개인에 따른 신체 치수의 편차에 따라 차이를 보이겠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된 패턴의 품 조절만으로도 충분히 잘 맞는 패턴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ody size of standard form by sex. (2005). Size Korea. Retrived April 30, 2008, from http://sizekorea.kats.go.kr
  2. Everett, J. C. & Swanson, K. K. (1993). Guide to producing a fashion show. NY: Fairchild Publications
  3. Information of college in Korea. (2006).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Retrieved April 10, 2008, from http://www.kcue.or.kr
  4. Information of univ. in Korea. (2003). Korean council for college education. Retrieved April 10, 2008, from http://www.kcce.or.kr
  5. Jang, A. H. & Park, M. E. (2001). Performance as a factor in the contemporary fashion show.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4), 71-80
  6. Jang, A. H. & Park, M. E. (2004a).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culture contemporary fashion show(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4(4), 1-14
  7. Jang, A. H. & Park, M. E. (2004b).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culture contemporary fashion show(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4(5), 1-12
  8. Kim, D. S. (2002). Model. Seoul: Goldenbough
  9. Kim, I. (2006). The influence of fashion models' personality and job stress cause to turnover intention. Master thesis, Honam University, Kwangju
  10. Kim, J. W. & Shin, S. W. (1992). An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n the fashion model in Korea(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Industry, 3(4), 313-322
  11. Kim, O. K. & Park, K. A. (2004). Men's wear pattern design. Seoul: Kyoungchunsa
  12. Kim, S. Y. & Yang, S. H. (2002). The fashion communication media and the beauty of Ideal body(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52(8), 139-154
  13. Koo, M. J. & Lee, J. I. (2005). Standardized body type and the suitability of figures of the twenties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Industry, 7(6). 601-608
  14. Lee, H. J. & Lee, Y. S. (1997). The dictionary of fashion business. Seoul: Kyohak publisig Co.
  15. Noelle, M. & Trouver, P. (1995). Pattern making manuel. In ESMOD (Ed.). Paris: Toute reproduction interdite
  16. Oh, H. N. & Kim, H. J. (2003). An analysis of the case study on fashion show planning and produc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11), 11-20
  17. Park, J. A., Lee, H. Y., & Choi, J. H. (2006).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existed female dress forms us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3), 10-16
  18. Seong, K. S. (2004). A study of fashion model image according to fashion trend since 196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and Beauty, 2(1), 21-33
  19. Song, J. A. (2000). The body cathexis difference between fashion model and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Industry, 2(4), 325-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