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ong term Rainfall-Runoff Modeling Using Storage Function Method

저류함수를 이용한 일단위 장기유출모의 모형 구축

  • 성영두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
  • 정구열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물관리팀) ;
  • 신철균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
  • 박진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Published : 2008.07.31

Abstract

The purpose of developing a rainfall-runoff and reservoir model is to provide an analysis tool for hydrological engineers in order to forecast discharge of rivers and to accomplish reservoir operations easily and accurately. In this study, based on the short-term rainfall-runoff storage function model which has gained popularity for real time flood forecast in practical water management affairs, a long-term runoff model was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alculation method of effective rainfall and percolation at the infiltration area. Annual discharge was simulated for three dam watersheds(Andong, Hapcheon, Milyang) in Nakdong River basin to analyze the accuracy of the developed model and compare it to SSARR model, which is used as the long-term runoff model in current practical water management affairs. A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hydrographs, SSARR model showed relatively better results. However, it is possible for the developed model to simulate reliable long-term runoff using relatively little available data and is useful for hydrological engineers in practical affairs.

강우-유출 및 저수지운영 모형의 최종 개발 목적은 가용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실무자가 하천의 유량예측 및 저수지운영 업무를 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분석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관리 실무에서 홍수량 예측업무에 활용중인 단기 강우-유출 저류함수 모형을 확장하여 장기유출에 모의에 기여도가 높은 유효우량 및 침투량 산정기법을 개선하여 장기 유출분석이 가능하도록 저류함수기반의 장기 유출모형을 구축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내 3개 댐유역(안동,합천,밀양)을 대상으로 연간 유출모의를 실시 하였으며, 현재 물관리 실무에서 장기유출모형으로 활용중인 SSARR모형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수문곡선 비교 결과, SSARR 모형이 상대적으로 재현성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관측 가용한 자료만으로도 비교적 신뢰성 있는 장기유출모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향후 실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6). 한강수계 댐군홍수조절연계운영 시스템 구축 보고서. pp. 203-224
  2. 건설교통부 (2001). 낙동강수계 댐군최적연계운영 시스템개선 연구 보고서. pp. 157-176
  3. 선우중호 (1984). “한강유역의 홍수예보 - 저류 함수법에 의한 유출모형.”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45-450
  4. 신철균, 조효섭, 정관수, 김재한 (2004). “저류함수 기법을 이용한 격자기반의 강우-유출 모형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1호, pp. 969-978
  5. 윤용남 (1985). 공업수문학. 청문각, pp. 129-134
  6. 이정규, 김한섭 (2000). “홍수예보를 위한 통합저류함수 모형의 퍼지제어.”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6호, pp. 689-709
  7. 한국수자원공사 (2003). K-water 홍수분석모형 개발 보고서(Final Report). pp. 13-18
  8. Nash, J. E., and Sutcliffe, J. 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pp. 282-290 https://doi.org/10.1016/0022-1694(70)90255-6
  9.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87). SSARR User's Manual
  10. 木村俊晃 (1958). “洪水流出の推定法に關する硏究(I)-貯留關數に關する一考察 -.” 土木硏究所報告, 102號, pp. 9-16

Cited by

  1. Application of Rainfall Runoff Model with Rainfall Uncertainty vol.42, pp.10, 2009, https://doi.org/10.3741/JKWRA.2009.42.10.773
  2. Evaluation of the Tank Model Optimized Parameter for Watershed Modeling vol.56, pp.4, 2014, https://doi.org/10.5389/KSAE.2014.56.4.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