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Domestic Fashion Information Service Industry for Systematization of Fashion Trend Information Planning Process

패션정보기획의 체계화를 위한 국내 패션정보산업의 고찰

  • Choi, Mi-Young (Dept. of Fashion Design, Duksung Women's University) ;
  • Son, Mi-Young (Dept. of Home Economic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최미영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전공) ;
  • 손미영 (한국방송통신대학 가정학과)
  • Received : 2008.09.03
  • Accepted : 2008.12.01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field of textile and fashion is regard to be sensitive to trend, however, the professional fashion information planning company for trend forecasting has not settled down in Ko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pose systemizing for fashion trend information planning in domestic fashion information service market. The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sing in-depth interview data and news-scrap contents about each fashion information planning company.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fashion information service showed a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fashion information companies, but they provided not only general fashion trends but also external market environmental information, survey-based consumer information and various segmented market research reports including academic information. Second, the fashion information planning process is largely divided into 3 stages; trend analysis, trend forecasting, trend application. The trend application step is the stage which connects the fashion information service industry to the fashion business. Thirdly, as a result of the competitive power evaluation for fashion information planning, the domestic fashion information planning companies came to reveal the fact that the possibility of carrying out and information analysis power were weak, however, how to present trend information had a relatively competitive. Consequen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 role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fashion trend information, and further ahead it would be helpful to organize the curriculum of fashion information planning subject in order to educate the future fashion executives.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선. (1999). 캐주얼 의류업체의 상품기획을 위한 정보활동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희숙, 유태순. (2006). 한국 패션디자이너의 해외 패션 트렌드 수용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1), 89-98
  3. 김소영, 양희영. (2006). 문화코드의 변화에 따른 패션 트렌드 경향 연구: 2005년 패션 트렌드를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지, 56(2), 134-146
  4. 김영인, 조민정. (2000). 국내 패션의류업계의 활용 색채전달도구 개발을 위한 색채연구. 복식, 50(4), 53-61
  5. 김영인, 이현수, 이현주, 이윤주. (2000). 이미지에 기반한 패션색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실용화 연구. 산업자원부
  6. 김윤경, 이경희. (2005). 트렌드 분석을 통한 남성 패션 이미지 연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5), 703-714
  7. 김지영. (2002). 국내 여성복 소비자의 최근 패션트렌드 수용과 배경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현경. (2003). 메가 트렌드의 형성요인과 디자인 트렌드 분석; 패션디자인관점과 20세기 후반 디자인 색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혜원. (1997). 상품기획과정에서 사용하는 패션정보의 감성 요소에 대한 연구(I). 복식문화연구, 5(3), 1-25
  10. 나산패션연구소. (1997). Fashion Point. 서울
  11. 남재경, 금기숙. (2001). 1990년대 패션 트렌드 분석 연구: 여성패션의 테마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9), 1645-1654
  12. 노경혜, 이경희. (2002). 소비자 착장 스타일에 나타난 패션 트렌드 수용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5), 465-472
  13. 서성무, 홍병숙, 진병호. (2002). 패션비지니스. 서울: 형설출판사
  14. 서희정. (2005). 패션 산업의 정보 소통체계와 패션 정보 활용화를 위한 마케팅 기획 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국내.외 패션 산업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송금옥. (2005). 패션디자인을 위한 유행색 정보기획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1(4), 60-70
  16. 신수래, 류숙희. (2005).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에 따른 패션 트렌드 수용도. 복식문화연구, 13(2), 280-288
  17.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1999). 패션마케팅. 서울: 수학사
  18. 안병기. (2000). 패션트렌드 정보기획론. 서울: 학문사
  19.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20. 이은옥. (2005). 국내 소재업체의 패션정보 수집 대상 선호 브랜드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3(5), 844-855
  21. 이인성. (2003). 패션정보지의 디자인 트렌드 예측과 소비자의 수용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4(10), 185-198
  22. 이호정. (2004). 패션머천다이징. 교학연구사: 서울
  23. 전국경제인연합회. (2001). 산업디자인에 관한 기업간 공동연구 최종보고서. 산업자원부
  24. 전유미. (2005). 국내 트렌드 정보산업의 현황 분석; 국내 텍스타일 및 패션업계의 정보 이용실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송향. (2004). 패션기업의 패션정보 활용.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6), 699-706
  26. 최미영, 심영완. (2005). 소비자 선호 컬러 활용과 컬러 트렌드 기획. 패션정보와 기술지, 2, 3-13
  27. 최선형, 박혜선, 손미영, 전양진. (2005). 21세기 패션마케팅. 서울: 창지사
  28. 한소원. (2003). 패션 트렌드 정보기획 프로세스와 체계화의 지원도구의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Brannon, E. L. (2005). Fashion Forecasting: Research, Analysis, and Presentation. New York: Fair Child
  30. Celente, G., Milton, T. (1991). Trend Tracking: The System to Profit from Today's Trends. New York: Warner Books
  31. Hope, A., Walch, M. (1990). The color compendium.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32. Jarnow, J, Guerreiro, M. (1991). Inside the Fashion Business(5th e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33. Sproles, G. B., Burns, L. D. (1994). Changing Appearance.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
  34. Premiere Vision. (1998/1999). L'Observatoire. Lyon: Premiere Vision
  35. http://www.cft.or.kr
  36. http://www.firstviewkorea.co.kr
  37. http://www.ifp.co.kr
  38. http://www.nellvrodi.com
  39. http://www.peclersparis.com
  40. http://www.promostile.com
  41. http://www.sf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