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Tech Fatale 유형에 나타난 패션 조형특성과 내적 의미 - 휴대전화 광고의 여성모델을 중심으로 -

The Fashio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in the Tech Fatale Types of the Post Digital Generation - Focusing on the Female Models of the Mobile Advertisements -

  • 김하림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
  • 권기영 (경북대학교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 이선희 (경북대학교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Kim, Ha-Lim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Gi-Young (Center for Beautiful Ag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hin-Hee (Center for Beautiful Ag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8.06.05
  • 심사 : 2008.10.22
  • 발행 : 2008.10.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ch fatale fashion image in female models of mobile advertisements and to find the fashion characteristics. The tech fatale emerging as new culture code is a compound word of the femme fatale and technology. It is characteristics of the femme fatale, the post digital culture and the female leadership.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The tech fatale types were the independence, the transformation and the tradition. The independence was a self expression, appealed to visual image, was showed the coating fabric, denim, space look and street fashion and reflected the creativeness and digital generation. The transformation appealed to sexuality and was showed luster fabric, exposure, body-conscious, glam look. The voluptuous beauty represented the pride of the post digital generation. The tradition appealed to emotion and was showed pale color, simple line, soft texture fabric and a feminine Image. The meanings of tech fatale were the imagination, the public, the duality, the game, the purity and the recurrenc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reflect the mind of post digital generation who is against authority and pursues the human being worth such as the identity establishment and the pure emo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권기영. (2003). 향수 광고에서 보여지는 신체 이미지 및 패션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1), 35-48
  2. 김광옥, 하주용. (2007). 지상파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 지: 고정관념 지수(Stereotype Index)를 이용한 성별 스테레오타 입 분석. 한국언론학보, 51(2), 453-478
  3. 김석준. (2007). 한국영상광고에 관한 연구: 1990년 이후 포스트모던 스타일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지, 11, 179-193
  4. 김성도. (2005). 디지털 확산과 생활문화의 신양식-모바일 미디어의 문화적 특질. 삼성경제연구소. 자료검색일 2008, 3. 24, 자료출처 http://www.seri.org
  5. 김소영, 양희영. (2006). 문화 코드의 변화에 따른 패션 트렌드 경향 연구: 2005년 패션 트렌드를 중심으로. 복식, 56(2), 134-146
  6. 김인철. (2004). 영화영상 이미지의 "전형"에 관한 연구:팜므 파탈 (Feme Fatale)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름, 10, 201-212
  7. 김주영. (2002). 걸 파워 의상에 표현된 3세대 페미니즘.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현희, 최문경. (2000). 과학기술의 발달과 여성: 과학, 기술, 컴퓨터 그리고 사이버 공간. 한국정보사회학회지, 2, 1-33
  9. 남인숙. (2005). 변화하는 사회와 여성적 리더십. 대한정치학회보, 13(2), 495-512
  10. 디지털 가전, 여성 구매력 쑥쑥, 테크파탈족을 잡아라. (2008, 1. 29).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07, 3. 24, 자료출처 http:// www.donga.com
  11. 변신원. (2005). 디지털로 사고하고 양성적으로 리드하라.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12. 변화순. (2003). 정보화시대의 가족변화와 지위. 동덕여성연구, 8, 71-86
  13. 송희영. (2007). 팜므 파탈 Femme Fatal: '룰루 신화' 드러난 유혹 과 죽음의 에로스-베데킨트의 드라마와 팝스트의 영화 비교.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16, 439-459
  14. 양정혜. (2002). 광고에 나타난 여성과 남성의 이미지 추이에 관한 연구: 1993$\sim$1999년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4(2), 243-277
  15. 윤혜린, 김영옥, 양민석, 조형, 정지영. (2007). 여성주의 리더십-새로 운 길 찾기 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6. 이기록. (2007). 포스트 디지털 세대를 위한 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자인 開發에 關한 硏究: 형태적 아이덴티티형성 중심으 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동후. (2006). 휴대전화 광고 담론의 젠더 이미지. 미디어, 젠더 & 문화, 5, 41-93
  18. 이명옥. (2003). 팜므 파탈. 서울: 다빈치
  19. 이어령. (2006). 디지로그. 서울: 생각의 나무
  20. 이은영. (2005). 디지털 마케팅, 소비자의 진화. 삼성경제연구소. 자료검색일 2008, 4. 3, 자료출처 http://www.seri.org
  21. 임창영. (2004). 디지털시대 산업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관 한 연구: 정보화와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디자인의 변화와 전망.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정기현. (2007). 한국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젠더표상의 변화에 관 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8, 71-225
  23. 정세희, 양숙희. (2002). 1930-1990년대 영화 의상에 나타난 젠더 정 체성(I): 남성성(masculinity), 여성성(Feminity)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5), 63-78
  24. 제일기획. (2005). 제일기획 트렌드 리포트 2005, June, 50-53. 자료 검색일 2008, 3. 24. 자료출처 http://www.cheil.com
  25. 최정화. (2007).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팜므 파탈(Femme Fatale) 이미지, 복식문화연구, 5(3), 431-445
  26. 최현숙. (2000).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페미니즘.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최혜실. (2003). 디지털 시대의 영상문화. 서울: 소명출판
  28. 한국여성의 리더십. (2007). 삼성경제연구소. 우수벤치마킹보고서. 자 료검색일 2008. 3. 24, 자료출처http://www.seri.org
  29. 홍광식. (1997). 카리스마 리더십과 Bass의 변혁형 리더십의 비교분 석. 교육행정학연구, 15(2), 251-268
  30. Aburdene, P., & Naisbitt, J. (1993). Megatrends for Women(김홍 기 역).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원저 1992 출판)
  31. Cambell, W. S. (2007).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perceptions and uses of mobile telephony. new media & society, 9(2), 343-363 https://doi.org/10.1177/1461444807075016
  32. Eagly, A. H., & Carli, L. L. (2003). The female leadership advantage: An evalution of the evidence. The Leadership Quarterly, 14, 807-834 https://doi.org/10.1016/j.leaqua.2003.09.004
  33. Kaiser, S. B. (1990). Fashion as popular culture: The post modern self in the global fashion marketplace. The world and I, 520-529
  34. Katz, J. E., & Sugi Yama, S. (2006). Mobile phones as fashion statements: evidence from student surveys in the US and Japan. new media & society, 8(2), 321-337 https://doi.org/10.1177/1461444806061950
  35. Penn, M., & Zalesne, K. E. (2008). Microtrends(안진환, 왕수민 역). 서울: 해냄. (원저 2007 출판)
  36. Simmel, G. (1997). Simmel on culture: Selected writings. London: Sage
  37. Steele, V. (2004). Femme Fatale: Fashion and Visual Culture in Fin-desiecle Paris.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8(3), 315-328 https://doi.org/10.2752/136270404778051663
  38. Whitelock, J., & Jackson, D. (1997). Women in TV advertising: a comparison between the UK and France. Europe Business Revew, 97(6), 294-305 https://doi.org/10.1108/09555349710189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