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ulence Gene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reas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aureus 병독소 유전자의 분자적 연구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Nine types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 (SE) genes (sea~see, seg~sej), 3 types of virulence genes (eta, etb, tst), mecA and 16S rRNA as internal positive control were detected from 187 clinical MRSA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solated from a variety hospitalized pati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reas using the multiplex PCR. The frequency of the S. aureus strains harboring recently reported SE genes (seg~sej) were found to be very high (65.9%) and greater than that of the strains harboring classical SE (sea~see) genes (47.8%) as previously established.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newly described pairs form SE genes (i.e., sec+seg+sei, seg+sei) were many, in the other hand, single form SE genes (i.e., seg, seh, sei and sej) were rarely detected. The S. aureus with pairs form enterotoxigenic genes become more potentially toxigenic strains. Furthermore, this work indicated a systematic association between the seg and sei genes and their high incidence among the S, aureus strains, which suggests that these two SE's could be an important phylogenetic link among the staphylococcal enterotoxins.

Multiplex-PCR을 이용하여 대구와 경상북도 내의 다양한 입원 환자들로부터 분리된 187주의 MRSA 균주를 재료로 9가지 종류의 내독소(sea~see, seg~sej ), 3종류의 병독소(eta, etb, tst ) 그리고 내부 양성 지표로써 16S rRNA와 MecA 유전자를 검출하였다. S. aureus 균주에서 새로운 형태의 내독소 유전자(seg~sej)의 빈도가 65.9%로 매우 높게 잠복하고 있었으며, 고전적 형태의 내독소 유전자(sea~see)도 47.8%로 선행 연구에서 검출된 것만큼 높게 잠복하고 있었다. 새로운 형태의 내독소 중 쌍을 이룬 형태(즉, sec+seg+sei, seg+sei)는 많이 검출된 반면 단일 형태의 내독소(즉, seg, seh, sei, sej)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거나 없었으며, 쌍을 이룬 내독소 유전자를 가진 S. aureus는 잠재적으로 보다 더 독성균주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 나아가 S. aureus 균주들 사이의 높은 보유율을 보이는 seg와 sei 사이의 체계적인 관련성은 staphylococcal enterotoxin들 사이에 중요한 계통발생적 연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암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