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Do the Journalists Perceive the Civic Journalism?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언론인 인식유형 연구

  • Kim, Hung-Kyu (Dep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Divis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 Hwang, On-Jung (Dep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Divis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김흥규 (한국외국어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 황온중 (한국외국어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Published : 2008.08.16

Abstract

Nowadays, newspaper industry faces a crisis in terms of two aspects: First, in this multi-channel era, it has competed with the online journalism appearing in many digital media. Second, with the decrease of numbers of reader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oles of newspaper has to be changed accordingly. The concept of civic journalism emerged as a solution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in how journalists perceive the civic journalism. The Q-methodology was adapted to identify the factors composing of the belief, values, attitudes, ideas, and opinions toward the civic journalism. Total of 24 Q-sample (statements) were sorted by 27 P-sample (journalists) who were selected by their gender, years of service, and the like. The Quanl program finally produced 3 factors that were interpreted and named as follows: Factor I, the Complimentary Journalism, the civic journalism would fulfill the functions that traditional journalism has neglected. Factor II, the Alternative Journalism inducing the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public areas. Factor III, the Functional Journalism, emphasizing dysfunction of the civic journalism.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기자들의 주관성 유형을 발견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 구조 탐구에 유용한 Q 방법론을 적용한 것으로 기자들이 갖는 시민저널리즘의 신념, 가치, 태도 등 가치체계로 구성된 진술문 24개의 Q 표본을 구성하고 P 표본으로는 성별, 경력 등을 적절하게 고려해 27명의 기자에게 Q 분류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기자들의 주관성 구조는 모두 세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상호보완형'으로서 시민저널리즘의 필요성과 기존 저널리즘과의 상호보완성을 보여주었다. 제2유형은 '대안형'으로 시민의 참여를 적극 수용하며 민주주의 위기를 극복하며 동시에 기존 저널리즘을 대체할 만한 대안적 저널리즘의 가능성을 주창한다. 제3유형은 '기능형'으로서 시민저널리즘의 역기능을 최소화시키며 합리적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기자들은 언론 위기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시민저널리즘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전통저널리즘의 상호보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는 시민이 신문제작에 직.간접적으로 참여케 함으로써 신문 산업이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유용한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형태가 상호보완형, 대안형, 기능형 등의 개념으로 도출된 것은 시민저널리즘이 단지 하나의 저널리즘 행태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기자들의 사회심리적인 미디어 환경에 입각해 다양하게 평가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Keywords